개소리 왈왈/독서2017. 12. 8. 09:37

현재 거주중인 지역의 도서관의 희망도서 규정인데...

불만인건.. 권당 3만원 제한과 원서

그리고 컴퓨터/과학 등의 자료는 2년 이내...


아놔.. 왜 컴퓨터 과학은 옛날 책이 더 좋은데 왜왜왜! 2년 제한이냐고 ㅠㅠ

그리고 책값이 드럽게 비싸고 원서가 더 좋은데 왜!!! ㅠㅠ


3.1일부터 희망도서 신청 규정이 변경됨을 알려드립니다.

oo시도서관 희망도서신청 규정 알림

  • 희망도서 구입제외도서
    • 1. 우리도서관이 소장하고 있거나 정기구입 자료에 포함된 자료
    • 2. 비도서자료, 연속간행물(일간지, 주간지등) 및 수험서, 문제집
    • 3. 5권 이상의 전집류, 전공서적, 1권당 3만원 이상의 고가서적, 원서
       * 단, 3만원 이상의 고가서적은 선별하여 신간도서로 구입하겠습니다.
    • 4. 만화/판타지/무협지/로맨스 소설 등
    • 5. 등급이 18세 이상의 성인자료
    • 6. 통상적인 형태가 아닌 자료(너무 크거나 작은 자료, 스프링 제본 도서 등)
    • 7. 출간된 지 5년 이상 된 자료(컴퓨터/과학 등의 자료는 2년 이내)
    • 8. 기타 도서관에 소장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료 등
  • 주의사항
    • 1. 월별 회원 당 oo시도서관 전체에서 최대 5권까지
       → 가족대표자에 한함
    • 2. 입수된 희망도서는 희망자에게 개별 통보 후 3일 이내 우선 대출됨
       → 신청한 희망도서를 3일내 대출하지 않은 이력이 2회 이상인 경우 3개월간 신청 제한
    • 3. 3일이 지난 후 희망자가 대출하지 않을 경우 각 자료실 서가에 비치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7. 12. 8. 09:34

도로공사에서 제공할줄알았는데

다른데서 알려주는 구만..


[링크 : http://its.go.kr/traffic/accident.do]

[링크 : http://its.go.kr/traffic/control.do]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FreeD  (0) 2018.03.19
photoscape win10에서 블루스크린 문제  (0) 2017.12.23
변증법/ 유물론  (0) 2017.10.16
보청기 관련 원리/프로그램 글  (0) 2017.07.07
어엌ㅋㅋㅋ 혈당측정 검사지 ㅋㅋㅋ  (0) 2017.06.06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VHDL2017. 12. 7. 23:11

뜬금없이 공부중!

일단.. 기본적인 문법은 아래와 같다.

대충 보면.. c++ 이나 begin-end 나오는 VB 같기도 하고..


cortex-m3로 따지면 

entity는 입출력 방향과 드라이버 모드 및 핀의 갯수를 설정하고

architecture 에서 해당 entity의(함수?) 내용을(함수 구현) 기재한다.



VHDL을 이용한 FPGA 디지털 설계 실급부터 응용까지

[링크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79146707]


1.2 기본 논리 게이트의 VHDL 설계

library ieee;

use ieee.std_logic_1164.all; entity AndOr_vhdl is port( a,b : in std_logic; and_out, or_out, not_out : out std_logic); end AndOr_whdl; architecture design of AndOr_vhdl is begin and_out <= a and b; or_out <= a or b; not_out <= not a; end design;


+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design-examples/design-software/vhdl.html]


의외로(?) if - else, switch - case 같은 제어는 보이는데 

for,while 루프는 존재하지 않네(너무 C언어 개발자 티내나? -ㅁ-)

[링크 : http://webdocs.cs.ualberta.ca/~amaral/courses/329/labs/VHDL_Reference.html]

'Programming > VHDL' 카테고리의 다른 글

VHDL 문법 공부중 1  (0) 2017.12.10
VHDL 문법 관련  (0) 2017.12.08
xilinx fpga with vhdl verilog  (0) 2017.12.02
FPGA / CPLD 차이..?  (0) 2017.11.09
CPLD, FPGA  (0) 2009.12.17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7. 12. 7. 18:15

읽어볼만한 내용인것 같아서 링크!

[링크 : http://fpga.tistory.com/28]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GA IP?  (0) 2017.12.11
fpga bitstream format?  (0) 2017.12.08
제조사별 FPGA 로직 게이트 갯수 차이  (0) 2017.12.06
altera fpga 라인업  (0) 2017.12.06
de0-nano / nios2  (0) 2017.12.06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Win32 MFC2017. 12. 7. 14:41

아.. 정리를 안해놨던가?


LPCSTR - LP Const STRing

LPCTSTR - LP Const Tchar STRing

LPCWSTR - LP Const Wchar STRing

[링크 : http://pelican7.egloos.com/v/1768951]


typedef wchar_t WCHAR;    // wc,   16-bit UNICODE character

typedef WCHAR TCHAR, *PTCHAR;


일단.. 시리얼 통신 할때는 대개 1byte로 통신을 하니까

아무생각 없이.. 인터넷상에서 굴러 다니는 MyComm.cpp를 주워서 쓰면

두개가 혼용되어 있어서 데이터가 이상하게 꼬이는 수가 발생한다.

int Receive(LPSTR inbuf, int len);

BOOL Send(LPCTSTR outbuf, int len); 

[링크 :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572404]


아무튼 되도록이면 둘다 LPCSTR로 쓰는게 상책!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7. 12. 6. 23:33

느낌으로는.. target으로 여러개 만들어서 프로젝트에 -D 옵션 줘서 준비해놓고

batch build 해야 할 느낌..

그게 아니라면 직접 armcc 를 이용해서 커맨드 라인에서 빌드하고(proj 파일 도움없이)

결과를 내야 할 느낌..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uv4/uv4_dg_adscc.htm]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docs/868.htm]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uv4/uv4_commandline.htm]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uv4/uv4_dg_batchbuild.htm]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uv4/uv4_ca_batchbuildmultiprojectfile.htm]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armcc/armcc_chr1359124194749.htm] armcc 옵션

[링크 : http://www.keil.com/support/man/docs/armcc/armcc_chr1359124909314.htm] -D 옵션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 MPMC(multiport memory controller)  (0) 2018.03.19
AMBA AXI  (0) 2018.01.30
카드크기 컴퓨터 벤치마크  (0) 2016.09.04
JTAG ETM  (0) 2016.09.02
j-link segger j-flash  (0) 2016.09.02
Posted by 구차니

성희롱 관련해서 문득 생각이 나서 조사..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몰카에 대한 처벌 규정에 대해서 성적 수치심이 나오는데

일반적인 성희롱에도 나오는 개념이니까.. 아무튼 6:2로 모호하지 않다고 합헌으로 나왔다고 함

“성적 수치심 개념 모호하지 않아”…헌재, 몰카 처벌 규정 합헌 결정

다만, 강일원·조용호 재판관은 몰카 처벌 규정이 모호하다는 소수 의견을 냈다. 두 재판관은"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은 주관적 감정이 개입되는 상대적 개념이므로, '성적 욕망 또는 성적 수치심을 유발'한다는 것이 성적 호기심을 발동시키거나 단순한 부끄러움 또는 불쾌감을 불러일으키면 충분한지, 아니면 사람의 존엄성과 가치를 훼손하거나 왜곡하는 정도에 이르러야 하는지 분명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링크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12599]


어떤 명예교수의 글. 내가 생각하기에도 다른 법들은 대부분 객관적인 행위나 횟수 등을 근거로 삼는데 반해 성희롱에 대해서는 너무 개인적이며 주관적이며 상황이나 감정이 치우친 "성적수치심"을 중심으로 한다.

(여자들은 매우 싫어하지만) 만약 옥동자와 원빈이 쳐다 본다면 어떤데? 라는 반박논리가 이걸 근간으로 삼는다.

가장 애매한 것이 있다. 상대가 성적수치심을 느꼈다면 성희롱이고 성추행이 성립된다는 점이다. 대단히 자의적이라는 것이 문제다.

[링크 : http://blog.naver.com/pnu2010/220843856969]



머.. 아동 청소년 성 보호법줄여서 아청이니 성이 들어가니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

법관 입맛에 맡겨버린 ‘참 모호한’ 아청법 

[링크 : http://www.bloter.net/archives/232493/amp]



일단  law.go.kr에서 찾으려니 범위를 몰라서 검색되는 것에서 시작!

성희롱의 개념
 '성희롱'이란 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단체의 종사자,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양성평등기본법」 제3조제2호).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상대방이 성적 언동 또는 요구에 대한 불응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거나 그에 따르는 것을 조건으로 이익 공여의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 


[링크 :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279&ccfNo=1&cciNo=2&cnpClsNo=1]



양성평등기본법에 명시된 성희롱의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양성평등"이란 성별에 따른 차별, 편견, 비하 및 폭력 없이 인권을 동등하게 보장받고 모든 영역에 동등하게 참여하고 대우받는 것을 말한다.

2. "성희롱"이란 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단체(이하 "국가기관등"이라 한다)의 종사자,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가.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또는 성적 요구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

나. 상대방이 성적 언동 또는 요구에 대한 불응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거나 그에 따르는 것을 조건으로 이익 공여의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

3. "사용자"란 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그 밖에 사업주를 위하여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링크 : http://www.law.go.kr/LSW/LsiJoLinkP.do?docType=JO&lsNm=양성평등기본법...¶s=1#]



근데 문제는.. 저 핵심인 "성적 굴욕감"과 "혐오감"에 대한 법령용어가 검색되지 않는다..

[링크 : http://www.law.go.kr/LSW/lsTrmScListP.do?q=성적%20굴욕감&outmax=15&fsort=10]

[링크 : http://www.law.go.kr/LSW/lsTrmScListP.do?q=혐오감&outmax=15&fsort=10]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7. 12. 6. 15:33

아키텍쳐가 다른 것에 대한 비교는 무의미 하지만

그래도 굳이 하자면..

xilinx는 6 input 이고 altera는 4 input 이라

1.3배 정도 쳐주면 된다 라는 결론?


adaptive logic module (ALM)

logic elements (LEs)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wp/wp-01003.pdf]

LUT, Logic Cell and Logic Element are all the same to me: the most basic FPGA general logic primitive. Xilinx use LUT, Altera LE, microsemi/lattice possibly something else.

The problem is, they are not the same. In their most recent architecture, Xilinx use 6-input LUT and altera 4-input LUT. They are aggregated in logic blocks which has other features like fast-carry chain, registers and distributed memory.

Converting to system gates is useful, but don't forget it's also a marketing war. A Xilinx FPGA should fit 1.5 times the logic of an Altera FPGA, since it's LUT have 6 instead of 4, right? Well, it largely depends on the design, if the design can't use 6-inputs much, the unused ones are wasted. Same with fast-carry logic, I don't know if they count that in equivalent gate number, but be advised that number is inflated.

System gates is a common measure of ASIC design complexity. The same design on two different foundries should have similar system gates number, as waste is not really an issue for ASIC.

If you're looking for an FPGA. I suggest you choose your vendor, port enough of your design to get an idea of how big a FPGA you need and choose a FPGA with an upgrade path (if you want to market). If it's for a single prototype, just use the biggest FPGA you can afford.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relation-between-luts-logic-cell-logic-elements-system-gates]


[링크 : http://ee.sharif.edu/~asic/Docs/fpga-logic-cells_V4_V5.pdf]



Cyclone IV 에는 LEs(Logic Elements)가

Logic array blocks (LABs) contain groups of LEs. 

Each LAB consists of the following features: 

■ 16 LEs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hb/cyclone-iv/cyiv-51002.pdf]


Cyclone V 에는 ALM이 언급되는데 LEs는 PCIe 관련으로 몇개의 LE가 사용된다 정도의 언급만 있다.

High-performance FPGA fabric Enhanced 8-input ALM with four registers 


The PCIe endpoint support includes multifunction support for up to eight functions, as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 The integrated multifunction support reduces the FPGA logic requirements by up to 20,000 LEs for PCIe designs that require multiple peripherals. 

[링크 : https://www.altera.com/content/dam/altera-www/global/en_US/pdfs/literature/hb/cyclone-v/cv_51001.pdf]


근데.. LEs와 ALM을 동시에 표기한게 보이네.. 도대체 ALM과 LE의 연관이 어떻게 되는거야..

[링크 : https://www.altera.com/content/dam/altera-www/global/en_US/pdfs/literature/hb/cyclone-v/cv_51001.pdf]


위에꺼랑 연관지어서 보면.. 25000 LEs = 9434 ALM 이고

평균적으로(?) 2.6LEs = 1 ALM 이 되는 건가?


음.. 아무튼 ALE와 LEs의 연관은 모르겠으나.. 

결론은 성능과 비용 사이에서 적절한 LUT4를 택했다 인가?

Designing the ALM The ALM is radically different from any other FPGA logic block, offering a number of major innovations. Getting from a classic 4-LUT with a single register block (with associated carry logic) to the ALM required a detailed understanding of customer requirements and a large investment in researching the tradeoffs of various architectures. Our pursuit for a larger LUT was inspired by research results indicating that a basic 6-LUT could yield a 14% performance improvement by reducing the number of levels of logic elements on the critical paths of circuits. Unfortunately, this performance increase also had a large area penalty, a 17% area increase resulting from a larger LUT-mask and more inputs for the LUT. Figure 4 illustrates the tradeoff between cost and delay for different sizes of LUTs. The basic approach in designing the ALM was to investigate building a larger LUT to reduce levels of logic and increase performance, but to also avoid the area increase by efficiently dividing the larger LUT into smaller LUTs when appropriate, as illustrated by the dashed line. The ability to divide a LUT is what makes it “adaptive.”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wp/wp-01003.pdf]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ga bitstream format?  (0) 2017.12.08
FPGA 개론?  (0) 2017.12.07
altera fpga 라인업  (0) 2017.12.06
de0-nano / nios2  (0) 2017.12.06
microblaze (xilinx) Nios II (altera)  (0) 2017.12.05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7. 12. 6. 13:17

엌.. cyclone이 그래도 메인급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cyclone 쏘리~ zynq 같은 거랑 비교했다니 억울했겠다.. ㅋㅋ


[링크 : https://www.altera.com/content/dam/altera-www/global/en_US/pdfs/literature/sg/product-catalog.pdf]


아무튼 Stratix는 LEs 갯수가 어마어마 하다

모델명 숫자가 k 단위니.. 큰건 5M LEs를 포함한다.(드럽게 비쌀 듯..)

[링크 : https://www.altera.com/products/fpga/stratix-series/stratix-10/overview.html]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PGA 개론?  (0) 2017.12.07
제조사별 FPGA 로직 게이트 갯수 차이  (0) 2017.12.06
de0-nano / nios2  (0) 2017.12.06
microblaze (xilinx) Nios II (altera)  (0) 2017.12.05
Cyclone IV,V (terasic de0-nano)  (0) 2017.12.05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7. 12. 6. 11:56

언제 살진 모르겠지만.. 웬지 살거 같으니 조사? ㅋㅋ


일단.. nios2 돌릴려면 외부 SDRAM을 달아줘야 하는데..

(DE0-Nano 뒷편에 32MB SDRAM이 FPGA용이 아니라 nios 2를 위한 SDRAM 이었나?)

도대체... nios2에서 돌릴 OS/프로그램은 어디에 구워지는거지?

[링크 : https://sikpigs.wordpress.com/2013/09/28/nios-ii-on-de0-nano/]

[링크 : https://sikpigs.wordpress.com/2013/09/30/adding-sdram-for-nios-ii-on-de0-nano/]

[링크 : https://www.altera.com/.../tt_nios2_hardware_tutorial.pdf]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oQWr-T6MX10]

[링크 : http://www.terasic.com.tw/cgi-bin/page/archive.pl?Language=English&CategoryNo=49&No=656]

[링크 : http://www.emb4fun.de/fpga/nutos1/]


+

2017.12.07

EPCS64를 탭재하는데 계산해보니. 64Mbit = 8MB 플래시가 EPCS로 쓰고 있고

FPGA 설정에 얼마의 용량을 쓰는지 모르겠지만

EPCS를 Nios 2의 용량으로 일부 사용하는 듯.

FPGA 내부적으로는 플래시 컨트롤러를 추가해서 어떻게 쓰는것 같은데

플래시 컨트롤러에서 EPCS의 일정 어드레스를 겹치지 않도록 해주려나?


Now the system contains a CPU, the Sys ID and an external SDRAM. The next step will be to add the EPCS Controller. Therefore select "Library > Memories and Memory Controllers > External Memory Interfaces > Flash Interfaces > EPCS Serial Flash Controller" and click the "Add..." button. We will use the default values of the wizard, press "Finish". Important, rename "epcs_flash_controller_0" to "epcs_flash_controller".

[링크 : http://www.emb4fun.de/fpga/nutos1/]


+

2017.12.10

5.1 Downloading the JIC file into the DE0-Nano Board

[링크 : ftp://ftp.altera.com/up/pub/Altera_Material/13.1/Tutorials/DE0-Nano/Using_DE0-Nano_Flash.pdf]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사별 FPGA 로직 게이트 갯수 차이  (0) 2017.12.06
altera fpga 라인업  (0) 2017.12.06
microblaze (xilinx) Nios II (altera)  (0) 2017.12.05
Cyclone IV,V (terasic de0-nano)  (0) 2017.12.05
xilinx USB cable 드럽게 비싸네  (0) 2017.12.05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