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25. 2. 21. 18:29

서비스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실행파일과 동일 경로상에

static web을 넣어두었는데 찾지를 못해서 찾아보니

C:\Windows\System32 가 기본 실행 경로라고 한다.

실제로 static web 을 C:\Windows\System32\static 식으로 넣어주니 작동 확인

 

chatGPT 사라사대

Windows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GetCurrentDirectory 함수의 기본값은 일반적으로 C:\Windows\System32 폴더로 설정됩니다.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5. 2. 21. 11:50

변수를 설정하는 명령이 아니었나?

C:\> set
C:\> set 확인할 변수명

[링크 : https://hoohaha.tistory.com/93]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5. 2. 18. 12:01

심심해서(?) go로 작성한 echo 서버를 크로스빌드하고 서비스 등록했는데

"시작중"이 뜨다가 "종료됨"으로 떠버린다.

프로그램이 서비스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안되는건가 싶기도 한데..

 

빌드는 아래와 같이 하고

$ go mod ninit
$ go mod init echo
$ go mod tidy
$ GOOS=windows go build

[링크 : https://github.com/venilnoronha/tcp-echo-server]

[링크 : https://dadev.tistory.com/entry/GO-Windows-macOS-및-Linux용-Go-프로그램을-교차-컴파일하는-방법]

 

한번 그냥 실행해서 방화벽 예외 추가해주고, 관리자 권한의 콘솔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면 끝

C:\Windows\system32>sc create "echo service" binPath= "c:\echo\echo.exe 9000 hello"
[SC] CreateService 성공

C:\Windows\system32>sc delete "echo service"
[SC] DeleteService 성공

[링크 : https://blog.naver.com/battle50/220311915822]

 

특이하게도 옵션 이름에 =가 붙어야 해서 =" 하면 안된다.

C:\Windows\system32>sc create "echo service" binPath ="c:\echo\echo.exe 9000 hello"
설명:
        레지스트리 및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서비스 항목을 만듭니다.
사용법:
        sc <서버>create [서비스 이름] [binPath= ] <옵션1> <옵션2>...

옵션:
참고: 옵션 이름은 등호(=)를 포함합니다.
      등호와 값 사이에는 공백이 한 칸 있어야 합니다.
 type= <own|share|interact|kernel|filesys|rec|userown|usershare>
       (default = own)
 start= <boot|system|auto|demand|disabled|delayed-auto>
       (default = demand)
 error= <normal|severe|critical|ignore>
       (default = normal)
 binPath= <.exe 파일에 대한 BinaryPathName>
 group= <LoadOrderGroup>
 tag= <yes|no>
 depend= <종속성(슬래시(/)로 구분)>
 obj= <AccountName|ObjectName>
       (default = LocalSystem)
 DisplayName= <표시 이름>
 password= <암호>

 

테스트는 리눅스에서 아래와 같이 테스트 하면 끝. telnet에서 ctrl-c,d,z를 다 패스시키니

ctrl-[ 를 이용해서 메뉴로 나와 종료해야 한다.

$ telnet 192.168.220.253 9000
Trying 192.168.220.253...
Connected to 192.168.220.253.
Escape character is '^]'.

hello 
d
hello d
^]
telnet> quit
Connection closed.

[링크 : https://superuser.com/questions/486496/how-do-i-exit-telnet]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5. 2. 4. 09:08

군대 에서 썼던 bcwipe 와 같은 프로그램인데

sysinternal 이니 ms 공식이라고 봐야하려나?

아쉽게도 커맨드 라인용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sdelete]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5. 1. 5. 23:24

레노버 E15 사용중인데

키보드 가 텐키가 있어서 왼쪽으로 좀 쏠리는 바람에

한영/prtscr/한자 배치에서 자꾸 한영을 prtscr로 눌러서 짜증나는데

그 와중에 캡쳐도구가 실행되서 두배로 짜증 -_-

아무튼 찾아보니 끄는게 있어서 좀 번거롭지만 끄는 걸로..

 

'Microsoft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비스 등록  (0) 2025.02.18
sdelete for win  (0) 2025.02.04
윈도우 11 인터넷 없이 설치하기  (0) 2024.12.20
컴퓨터 구매, 포맷! 안되잖아?!  (0) 2024.12.20
윈도우 바탕화면 경로 변경하기  (0) 2024.07.13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4. 12. 20. 12:18

윈10 부터 슬슬 시동 걸리더니 11에서는 인터넷 연결을 강제하고 있네 -_-

그냥 오프라인 계정/로컬 계정으로 쓰고 싶은데 말이야 -_-!

 

shift-f10 (콘솔 열기 단축키)

oobe\bypassnro

[링크 : https://atecbs.tistory.com/entry/윈도우-11-인터넷-연결-없이-설치하는-방법]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4. 12. 20. 12:13

맨날 구석시시대 컴퓨터 쓰다가 라이젠 5 5800U 로 갈아탐(!)

윈도우 11 iso 받고 벤토이에 넣어서 설치하려고 F12 눌러 USB를 했는데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서

그냥 일정 시간이후 꺼진다.

Verifying shim SBAT data failed: Security Policy Violation
Something has gone seriously wrong: SBAT self-check failed: Security Policy Violation

 

찾아보니 별건 아니고(?) secure boot의 키 값이 usb 부트시의 OS와 매칭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니까

bios 들어가서 secure boot 키 전부 날려버리면 깔끔하게(?) 해결!

[링크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all/verifying-shim-sbat-data-failed/cbb85998-e7fb-4a61-a8a1-d7070dd3b093]

[링크 : https://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40840320]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24. 7. 13. 21:20

윈도우 바탕화면을 바꿀수 있다는게 신기한데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젝트 파일이 절대경로로 되어있는 경우에

다른 드라이브나 위치를 변경했을 경우 인식을 못한다는 문제아닌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경로를 누르고 이동을 누르면 바탕화면을 복사한다고 시간이 좀 걸리는데

삭제는 그 이후에 따로 하는지 좀 버벅댄다.

 

C 드라이브를 자꾸 채워서 바로가기로 하는걸로 관리가 절대 안되는 분들을 위한

나름.. 차선책이랄까..

 

[링크 : https://san51k.tistory.com/entry/윈도우10-TIP-13-바탕화면-폴더-경로-변경-과-복원하기]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vscode2024. 7. 11. 15:13

source insight 처럼 클릭하면 바뀌는 함수 목록을 원했는데

vscode의 outline이 ctags와 연동해서 작동하는 녀석이라고 한다. 너무 기본으로만 썼었나...

 

아무튼 explorer 패널에는

Folders / Outline / Timeline 세가지가 선택 가능한데

 

Open Editors는 열려있는 파일들만 따로 목록으로 보여주는 기능이고

Folders는 말그대로 탐색기 처럼 파일을 보는 녀석

Timeline은 모르겠고

Outline은 함수와 선언된 녀석들의 목록이 뜬다.

 

OUTLINE은 Follow Cursor가 체크되어 있지 않았는데

이걸 활성화 시키면 현재 선택중인 함수나 선언이 목록중에 어디것을 보고 있는지 네비게이션 대신 사용할 수 있고

 

 

OUTLINE을 드래그 해서 우측으로 가면 우측패널에 목록으로 띄워서 볼 수 있게 된다.

 

[링크 : https://code.visualstudio.com/docs/getstarted/userinterface]

[링크 : https://blog.naver.com/chcbaram/222682064638]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Visual Studio2024. 7. 11. 12:32

source insight 사달라고 했다가 뺀찌먹어서 찾아보는중

(아니 회산데.. 이정도는 사줘야지 ㅠㅠ)

 

확장을 설치하고

사용법은 Ctrl-Shift-P를 눌러 command pallette를 열고

 

incomming 과 outgoing중에 골라서 입력하면

 

새 탭에 그래프가 생성된다.

imcoming graph - 선택된 함수를 호출하는 녀석을 봄(해당 함수를 child로 parent 를  추적)

 

outgoing graph - 선택된 함수가 호출하는 녀석을 봄 (해당 함수를 parent로 child를 추적)

 

근데 둘다 그래프가 해당 함수를 시작으로 보고 있어서

내용을 좀 봐야 이해가 되는 느낌이라.. imcoming의 경우 그래프 순서를 바꿔서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그 와중에 당연(?) 하지만 매크로나 define에 대해서는 추적이 안된다.

source insight 시절에는 클릭만 해도 되던걸 이렇게 쑈를 해야 하다니 -_-

 

Quick start
1. Open your folder and select a entry function
2. Run CallGraph.showOutgoingCallGraph command using context menu or Ctrl+Shift+P to show outgoing calls
3. Or Run CallGraph.showIncomingCallGraph command using context menu or Ctrl+Shift+P to show incoming calls
4. Click save dot file or save as svg in the bottom left corner to save the graph
5. Add .callgraphignore file in your project root directory to ignore some files or folders in workspace (the syntax is the same as .gitignore)

[링크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LuoZhihao.call-graph]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