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방2025. 2. 25. 12:20

윈도우용 서비스 프로그램을 작성하지 않아도

서비스로 등록을 도와주고,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돌리게 해주는 래퍼?

 

[링크 : https://nssm.cc/usage]

[링크 : https://woony-sik.tistory.com/9]

[링크 : https://kimjihwan0618.github.io/os/window01/]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Deview for windows  (0) 2025.02.21
transmission for windows  (0) 2025.02.02
Apache ECharts  (0) 2025.01.14
AATU -> UXTU  (0) 2024.12.21
ryzen controller?  (0) 2024.12.21
Posted by 구차니

언제 왜 깔린지도 모르는 프로그램을 발견(!!)

[링크 : https://pcsc-tools.apdu.fr/]

 

pcsc_scan 관련 툴에서 같이 설치된건가?

 

thank you! lionel victor!!

 

Settings - Reader로 가서 리더를 골라야 하는데

 

테스트 해보니 Protol T=0 만 작동을 하지 않고, 나머지는 RESET 명령이 먹힌다.

T=1 이 멀 의미하는걸까..

+

T=0 프로토콜은 문자 기반 형식이며, T=1은 블록 기반 형식이다.

[링크 : https://blog.naver.com/eleexpert/140125412934]

PICC, SAM 이 있는데

 

일반 접속식 태그니까 SAM 보단 PICC가 맞을 것 같긴한데, 되는지 안되는지 해보면 되지(!)

SAM(Security access module)

[링크 : https://www.lgcns.com/blog/cns-tech/security/17597/]
 

PICC(Proximity Integrated Circuit)

[링크 : https://m.blog.naver.com/ittalentdonation/221215499032]
 

SAM 으로는 리더에 접속 자체가 되지 않는 것 처럼 보인다.

 

같은 명령어를 넣었는데 기대한거랑 많이 다른 값이 온다. 그런데 저 보낸게 멀 의미하는걸까?

 

카드가 없으면 ATR 응답도 없고, 당연히(?) APDU(?) 에도 응답이 없어 에러가 발생한다.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25. 2. 24. 23:22

손으로 돌려보면 둘다 팬이 멀쩡해 보인다.

LP 쪽은 트랜시버 쪽 써멀이 잘 붙어 있는것 같고

메인칩셋 쪽은 둘다 흔들 거리는게 그런식으로(?) 써멀 발라두는게 정석인 듯.

 

우분투가 문제인가.. 윈도우로 다시 도전을 해보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우분투에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진 어떻게 확인하는지 부터 찾아야 할지도..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671573/broadcom-netxtreme-ii-bcm57810-10-gigabit-ethernet-appearing-as-unclaimed-on-ubu]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노트북 쓸만하네?  (0) 2025.03.11
모니터 줍줍  (0) 2025.03.03
mx4 4g 써멀 지름  (0) 2025.02.24
10g 또 지름  (0) 2025.02.20
wacom 타블렛 주움 + 포기  (0) 2025.02.17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25. 2. 24. 14:57

귀찮아서(?) 대충 검색해보고 일렉트로마트(신세계)로 지름

이 정도면 가품은 아니겠지?

 

그 와중에 내 랜카드 왜 택배기사가 앞집에 두고

그게 또 사라지냐고 -_ㅠ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줍줍  (0) 2025.03.03
10g NIC 도착  (0) 2025.02.24
10g 또 지름  (0) 2025.02.20
wacom 타블렛 주움 + 포기  (0) 2025.02.17
줍줍 7세대?  (0) 2025.02.1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5. 2. 24. 00:06

LP 모델 망가트릴 각오로 한번 히트싱크 분해를 진행함

 

일단은 쪽집게로 모으고 밀고 반대편에서 흔들어주며 뽑았는데

어...라.. 저쪽이 메인 칩셋인가? 그런데 왜 써멀 보호용 알루미늄이 그대로 남아 있는게...냐?

 

필름(?) 벗겨내니 이런 완전 굳어버린 써멀구리스가 나온다.



BCM957810A1008G 라는 실크에

BCM57810SB0KFSBG 라고 써있는 Broadcom 칩셋 (아무런 작업하지 않은 상태)

 

트랜시버 쪽

여기는 완전 굳은건지 살살살 커터로 긁으니 알루미늄 포일 벗겨지듯 벗겨진다.

 

BCM84833B1KFEBG 같은데, 아래와 같이 문서가 검색되어 나온다. 

Broadcom BCM84833 Dual 10GBASE-T Transceiver
The Broadcom® BCM84833 is a complete dual 100BASE-TX, 1000BASE-T, and 10GBASE-T solution operating at 100m over CAT6a UTP cable

[링크 : https://docs.broadcom.com/docs/1235825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5. 2. 23. 23:26

꽂고 켠 김에 기록

 

장치는 제대로 잡힌건가 드라이버를 어떻게 확인해야 하지?

BCM957810A1008G <- 요게 모델로 알고 있는데 BCM 뒤에 9는 멀까..?

$ lspci -t -v
-[0000:00]-+-00.0  Intel Corporation Xeon E3-1200 v6/7th Gen Core Processor Host Bridge/DRAM Registers
           +-01.0-[01]--+-00.0  Broadcom Inc. and subsidiaries NetXtreme II BCM57810 10 Gigabit Ethernet
           |            \-00.1  Broadcom Inc. and subsidiaries NetXtreme II BCM57810 10 Gigabit Ethernet
           +-02.0  Intel Corporation HD Graphics 610
           +-14.0  Intel Corporation 100 Series/C230 Series Chipset Family USB 3.0 xHCI Controller
           +-16.0  Intel Corporation 100 Series/C230 Series Chipset Family MEI Controller #1
           +-17.0  Intel Corporation Q170/Q150/B150/H170/H110/Z170/CM236 Chipset SATA Controller [AHCI Mode]
           +-1c.0-[02]--
           +-1c.7-[03]----00.0  Realtek Semiconductor Co., Ltd. RTL8111/8168/8211/8411 PCI Express Gigabit Ethernet Controller
           +-1d.0-[04]--
           +-1f.0  Intel Corporation H110 Chipset LPC/eSPI Controller
           +-1f.2  Intel Corporation 100 Series/C230 Series Chipset Family Power Management Controller
           +-1f.3  Intel Corporation 100 Series/C230 Series Chipset Family HD Audio Controller
           \-1f.4  Intel Corporation 100 Series/C230 Series Chipset Family SMBus

 

SR-IOV를 켜놓고 VT 안 켜서 켜고 끄고 해봤는데 bnx 관련으로 달라지는건 없다.

두개의 칩셋을 하나의 pciex 보드에 올린 유형인가 두번 초기화 하네?

$ sudo dmesg | grep -i bnx
[    0.744607] bnx2x 0000:01:00.0: msix capability found
[    0.744788] bnx2x 0000:01:00.0: part number 0-0-0-0
[    0.892516] [bnx2x_iov_init_one:1210(eth%d)]ARI not supported (check pci bridge ARI forwarding), SRIOV can not be enabled
[    0.894780] bnx2x 0000:01:00.0: 32.000 Gb/s available PCIe bandwidth (5.0 GT/s PCIe x8 link)
[    0.894862] bnx2x 0000:01:00.1: msix capability found
[    0.895288] bnx2x 0000:01:00.1: part number 0-0-0-0
[    1.031529] [bnx2x_iov_init_one:1210(eth%d)]ARI not supported (check pci bridge ARI forwarding), SRIOV can not be enabled
[    1.033770] bnx2x 0000:01:00.1: 32.000 Gb/s available PCIe bandwidth (5.0 GT/s PCIe x8 link)
[    1.112794] bnx2x 0000:01:00.1 enp1s0f1: renamed from eth1
[    1.115593] bnx2x 0000:01:00.0 enp1s0f0: renamed from eth0
[    6.291401] bnx2x 0000:01:00.0 enp1s0f0: using MSI-X  IRQs: sp 127  fp[0] 129 ... fp[1] 130
[    7.339521] bnx2x 0000:01:00.1 enp1s0f1: using MSI-X  IRQs: sp 131  fp[0] 133 ... fp[1] 134
[   62.619485] bnx2x 0000:01:00.0 enp1s0f0: NIC Link is Up, 10000 Mbps full duplex, Flow control: ON - receive & transmit
[   62.672524] bnx2x 0000:01:00.1 enp1s0f1: NIC Link is Up, 10000 Mbps full duplex, Flow control: ON - receive & transmit

 

커널 모듈에서는 아래와 같이 bnx2x 모듈로 로드되었고

$ lsmod | grep bnx
bnx2x                1028096  0
mdio                   12288  1 bnx2x
libcrc32c              12288  1 bnx2x

 

케이블을 바꾸어도 watch -n 0 으로 해서 0.2초 간격으로 봐도 저 놈의 link가 떨어지는게 보이지 않는다.

커널로그로도 없고 도대체 어디서 탐지하는거지?

$ sudo ethtool enp1s0f0
Settings for enp1s0f0:
Supported ports: [ TP ]
Supported link modes: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Full
                        10000baseT/Full
Supported pause frame use: Symmetric Receive-only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Supported FEC modes: Not reported
Advertised link modes: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Full
                        10000baseT/Full
Advertised pause frame use: Symmetric Receive-only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Advertised FEC modes: Not reported
Link partner advertised link modes:  100baseT/Half 100baseT/Full
                                     1000baseT/Half 1000baseT/Full
                                     10000baseT/Full
Link partner advertised pause frame use: Symmetric Receive-only
Link partner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Link partner advertised FEC modes: Not reported
Speed: 10000Mb/s
Duplex: Full
Auto-negotiation: on
Port: Twisted Pair
PHYAD: 16
Transceiver: internal
MDI-X: Unknown
Supports Wake-on: g
Wake-on: d
        Current message level: 0x00000000 (0)
                              
Link detected: yes

[링크 : https://askubuntu.com/questions/1446694/nic-issue-says-link-is-up-link-is-down-continuously]

 

FEC는 Forward Error Correction 의 약자라는데 먼가 CRC 보다 강해 보이는데

[링크 :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docs/programmable/683040/1-1/setting-forward-error-correction-fec-mode.html]

 

이해를 포기(!)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Reed%E2%80%93Solomon_error_correction]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5. 2. 23. 20:50

다이소에서 CAT 8 까지 판다고 검색이 되길래 가서 후다닥 구매

과거 같았으면 인터넷으로 주문해도 꽤 비쌌을 녀석인데.. 이걸 기성품으로 사듯 할 수 있는 시대라니..

 

아무튼 CAT 8 , S/FTP PIMF PATCH CABLE 이라고 써있는데 전부 생소한...

SFTP 하면 먼가 ssh + ftp 같은데 찾아보면 shileded with foiled Twisted Pairs 라고 한다.

S/FTP: SHIELDED WITH FOILED TWISTED PAIRS

[링크 : https://www.universalnetworks.co.uk/faq/what-does-utp-s-utp-ftp-stp-and-sftp-mean/]

 

PiMF는 Pair in Metal Foil 흐음.. FTP와 동일 용어인가?

PiMF is an abbreviation of the English 'Pair In Metal Foil'. It is better known by the abbreviation U/FTP (Unshielded/Foiled Twisted Pair).

[링크 : https://netwerkkabel.eu/en/blogs/blog/what-is-a-pimf-network-cable]

 

확실히 CAT 5e 보다 뜨는 빈도가 줄었다.

줄었긴 한데 안뜨는건 또 아니라 접속불량이랑 케이블 품질에 영향을 이중으로 받는 듯

그것도 아니라면.. NIC이 오래되서 내장 트랜시버 RJ45 가 문제가 있는 걸지도..

이럴거면.. SFP 타입으로 가는게 나으려나?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M957810A1008G 히트싱크 분해  (0) 2025.02.24
BCM957810A1008G 10g linux 로그  (0) 2025.02.23
ubtuntu 24.04 랜 이름이 왜이래?  (0) 2025.02.22
10g nic 테스트, link unstable  (0) 2025.02.22
NPAR와 SR-IOV?  (0) 2025.02.20
Posted by 구차니

kvm 에서 sr-iov를 지원하는 nic 설정하는 방법

 

[링크 : https://hopulence.tistory.com/m/3]

 

 

 

'프로그램 사용 > kvm(virt-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첩가상화  (0) 2023.06.16
kvm cpuinfo proc hide  (0) 2020.01.19
kvm ubuntu Xorg cpu 100% 문제  (0) 2019.10.10
kvm/qemu 로그 위치  (0) 2019.10.07
kvm core 을 guest에 할당하기(affinity)  (0) 2019.08.28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25. 2. 22. 18:22

엥.. 이런 제약이 있었냐?

그 와중에.. 하루에 30개를 공개했다니..

도대체 한달 가까이 글 정리를 안한겨?! ㅠㅠ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다 죽었네 -_-  (2) 2025.02.26
엥 티스토리 글 번호 왜 이따구야?  (0) 2025.02.22
인기있을 블로그는 아닌데..  (0) 2025.02.20
해피빈 기부 시즌  (0) 2024.12.18
오블완 챌린지 완료  (0) 2024.11.28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25. 2. 22. 17:12

이전에는 글 작성 번호로 1 부터 시작해서 글 관리에서 뜨는 글 갯수가 그대로 사용되었었는데

13302 니까 글 번호도 13302 나 그거 보다 약간 높아야 할텐데

어라.. 523859 라고 써있네?

 

그래서 과거로 쭈욱 내려가보니

2024년 6월 26일 글 까진 12820.

 

6월 277일 글 부터 523270

 

글 번호가 연속적이긴 한데 어떤 규칙에 의해 저렇게 점프한거지?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다 죽었네 -_-  (2) 2025.02.26
공개 발행할 수 있는 글은 최대 30개 까지.  (2) 2025.02.22
인기있을 블로그는 아닌데..  (0) 2025.02.20
해피빈 기부 시즌  (0) 2024.12.18
오블완 챌린지 완료  (0) 2024.11.2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