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님께서 nvidia 드라이버 깔기 짜증나는데 신경안써도 되는 좋은(!) OS가 있다고 해서 찾아봄
system76 이라는 하드웨어 생산업체가 ubuntu를 기반으로 rust로 갈아 엎었다는데 잘 모르겠네
[링크 : https://system76.com/pop/?srsltid=AfmBOory8SE6glZ2D4ND5kih8A5wB-pJnSS6SXs-5mfQwRsNyX-AJ4mo]
[링크 : https://system76.com/]
이사님께서 nvidia 드라이버 깔기 짜증나는데 신경안써도 되는 좋은(!) OS가 있다고 해서 찾아봄
system76 이라는 하드웨어 생산업체가 ubuntu를 기반으로 rust로 갈아 엎었다는데 잘 모르겠네
[링크 : https://system76.com/pop/?srsltid=AfmBOory8SE6glZ2D4ND5kih8A5wB-pJnSS6SXs-5mfQwRsNyX-AJ4mo]
[링크 : https://system76.com/]
시스코 스위치랑 라우터 사서 공부해볼까 하다가
프로그램으로도 웬만큼 해볼수 있다고 해서 고민중
그래도 실장비가 있는게 기분이 조크든요~ ㅋㅋ
Packet Tracer나 GNS3 |
[링크 : https://www.reddit.com/r/ccna/comments/i2e56g/best_router_switch_combination_for_ccnaccnp/?tl=ko]
[링크 : https://www.gns3.com/]
패키지 설치하려다가 Makeself version 이라는 문구가 나와서 검색해봄
대개는 .run 이나 .sh 으로 만들어지는건데 머.. 리눅스에서 딱히(?) 확장자가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니니 머..
$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v Unrecognized flag : -v Makeself version 2.4.0 1) Getting help or info about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help Print this message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info Print embedded info : title, default target directory, embedded script ...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lsm Print embedded lsm entry (or no LSM)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list Print the list of files in the archive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check Checks integrity of the archive 2) Running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options] [--] [additional arguments to embedded script] with following options (in that order) --confirm Ask before running embedded script --quiet Do not print anything except error messages --accept Accept the license --noexec Do not run embedded script --keep Do not erase target directory after running the embedded script --noprogress Do not show the progress during the decompression --nox11 Do not spawn an xterm --nochown Do not give the extracted files to the current user --nodiskspace Do not check for available disk space --target dir Extract directly to a target directory (absolute or relative) This directory may undergo recursive chown (see --nochown). --tar arg1 [arg2 ...] Access the contents of the archive through the tar command -- Following arguments will be passed to the embedded script $ file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eiq-toolkit-v1.16.0.106-1_amd64_b250703.deb.bin: POSIX shell script executable (binary data) |
패키지야 설치하면 되긴 하는 듯.
$ makeself 명령어 'makeself' 을(를)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음을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makeself |
[링크 : https://makeself.io/]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run_(makeself)]
[링크 : https://www.solanara.net/solanara/makeself]
소스를 보다 보니 glade라는 확장자로 xml 파일이 있길래
찾아보니 GTK를 이용하여 gnome용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는 일종의
wpf 같은 느낌의 무엇?
<?xml version="1.0" encoding="UTF-8"?>
<!-- Generated with glade 3.38.2 -->
<interface> |
gtk 공부하기 싫어서 맨날 피해다녔는데 이렇게 해주는 녀석이 있으면 써봐야겠다.
[링크 : https://glade.gnome.org/]
iptime 게시판 뒤지다 snmp 내용에서 보이길래
그래프가 이뻐서 사용해 보려고 찾아보는 중
The default credentials for the web interface is nagiosadmin / nagios |
[링크 : https://hub.docker.com/r/manios/nagios]
대충(?) 봐서는 cfg 파일에 host를 정의해야 하지 웹에서 GUI로 추가할 순 없는 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s://support.nagios.com/forum/viewtopic.php?t=54563]
[링크 : https://blog.boxcorea.com/wp/archives/3166]
[링크 : https://www.reddit.com/r/sysadmin/comments/z4t06/gui_or_other_easy_to_use_tools_to_add_hosts_to/]
다만 몇가지 gui로 도움을 주는 툴이 존재하는 하는 것 같다.
[링크 : https://www.nconf.org/wordpress/]
[링크 : https://www.centreon.com/] << 지금은 독립 제품인가?
suricata 검색하다가 걸려나온 도구.
간단하게 방화벽이 잘 막는지 테스트 하는 툴이다.
[링크 : https://blog.naver.com/nahejae533/221306816341]
[링크 : https://5log.tistory.com/90]
[링크 : https://ictsec.tistory.com/4]
[링크 : https://boying-blog.tistory.com/33]
hping.org는 오래되서 도메인이 사라진 듯.
suricata (0) | 2025.07.25 |
---|---|
hping (0) | 2025.07.25 |
nssm (0) | 2025.02.25 |
USBDeview for windows (0) | 2025.02.21 |
transmission for windows (0) | 2025.02.02 |
윈도우용 서비스 프로그램을 작성하지 않아도
서비스로 등록을 도와주고,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돌리게 해주는 래퍼?
[링크 : https://nssm.cc/usage]
hping (0) | 2025.07.25 |
---|---|
ntpwedit (0) | 2025.05.16 |
USBDeview for windows (0) | 2025.02.21 |
transmission for windows (0) | 2025.02.02 |
Apache ECharts (0) | 2025.01.14 |
윈도우에서 usb 장치의 상세 정보를 보는 유틸리티
USB HID 상세 기능은 출력해주지 않아, 개인적으론 별로 도움이 안되었음
[링크 : https://www.nirsoft.net/utils/usb_devices_view.html]
[링크 :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69247/how-to-uniquely-identify-usb-hid-class-device]
ntpwedit (0) | 2025.05.16 |
---|---|
nssm (0) | 2025.02.25 |
transmission for windows (0) | 2025.02.02 |
Apache ECharts (0) | 2025.01.14 |
AATU -> UXTU (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