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 왈왈/독서2025. 7. 3. 23:19

유튜브 보다가 발견한 책

어떻게 보면 별로 힘을 얻지못할 의사가 아닌 로스쿨 출신 저널리스트의 글.

그럼에도 요즘 현상에 대해서 꽤나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요즘 금쪽이니 머니 말들이 많은데,

어떻게 보면 무식하지만 "병원가서 진단받기 전까진 병이 없는거야!" 라고 외치듯

정신에 대한 병도 돈내고 진단명을 받고 약을 먹으며

스스로 회복하고 극복해 나감을 잃어 버린 아이들에게 미래가 있을까? 라는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와닫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34p. 의원병(iatrogenesis)은 이 모든 경우를 포괄하는 용어다.

104p. 그들은 진단명을 구매함으로써 아이에게 없던 부정적인 자아 인식이 생겨날 수 있다는 점을 결코 생각하지 못했다.

274p. 예민한 자녀를 두었다는 결론은 부모를 으쓱하게 만든다. 그 사실을 알아챌 만큼 충분히 예민하고 세심한 부모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293p. 그들에게는 권위있는 아버지가 필요하거든요.

294p. 극단적 우월주의에 빨려 들어가는 젊은이 대다수는  진보 성향 가정에서 자란 이들입니다. ... 상당수가 진보 성향의 온화한 가정 출신이에요.

295p. 극단주의 단체가 부모 역할을 대체하는 셈이지요.

 

331p. 그녀가 만든 새 규칙 덕분에 아웃당하는 사람이 아예 생기지 않자 긴장감이 없어졌고 따라서 재미도 없어졌다. 아이들은 더 이상 핸드볼 게임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갈등을 저희끼리 해결할 기회도 잃고 말았다.

371p. 육아 전문가는 종종 아이를 가질 결심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마치 아이를 갖는 것이 물건을 사는 일 처럼 들린다.

 

[링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5610947]

'개소리 왈왈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찬 회의론자  (4) 2025.05.19
데미안  (0) 2025.05.13
스태프 엔지니어  (0) 2025.05.12
플레인 센스  (0) 2025.02.10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2024.04.2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5. 5. 19. 23:12

유튜브 보다가 책 리뷰를 보는데 끌려서 희망도서 신청해서 1달 걸려 기다렸다 읽음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OEitN5nl-N8]

 

유튜브 리뷰가 워낙 책 내용을 알차게 잘 정리해놔서 딱히 적을게 없지만

난 비관론자, 극단주의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회의론자로 바뀌고 있다는 생각이 이 책을 읽고 문득 들었다.

이런이런 이유로 안될거야. 그러니까 회피를 하던가 극복을 하던가

그 포인트를 중점적으로 전략을 세워야 해 라는게 기본 관점이었는데

살면서 경험치가 쌓였기 때문일까 점점 "잘하면 망하겠는데" 혹은 "이건 거의 안되는거야" 라고

조금은 더 확언에 가까운 예측으로 포기하곤 한다.

 

아무튼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SNS와 코로나 시대의 여파로 인해서

이름하여 쿨병이 퍼져나가고 그게 극단으로 치닫게 되어

알면 다냐? 난 모른다! 라는 이상한 방향의 사회변화가 보이는 느낌이다.

 

뉴스도 유튜브도 점점

회의적인 제목들과 썸네일이 조회수를 끌며 점점 음의 피드백으로

사람들을 확증에 빠트르게 되고, 편향된 선택지가 점점 세상을 좋지 않게 만들어 가는 것 같다.

 

누군가가 시작하기에는 힘들지만 상호 믿음으로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갈수도 있겠지만

이야기가 더 필요하고 더 큰 용기가 필요한 상황에서

어쩌면 선을 넘어서 이제는 돌이킬수 없지 않았나.. 라는 생각을 하면

비관론자가 되어버린 걸까?

 

아무튼. 사회의 복잡도가 이상하리 만치 올라가면서

예측 자체가 불가능해지고 정보를 수집하고 가능한 해를 내려고 하다가 불가능해 지면서

점점 모르겠다라는 말만 늘어가고 있는데

그래도 조금은 일단 부딛혀 보자는 생각으로 세상을 대해봐야 하나 싶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챕터 10, 11 정도가 마음에 와닫는 부분.

 

 

[링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2600266]

'개소리 왈왈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 부서지는 아이들  (3) 2025.07.03
데미안  (0) 2025.05.13
스태프 엔지니어  (0) 2025.05.12
플레인 센스  (0) 2025.02.10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2024.04.2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5. 5. 13. 23:12

 

[링크 :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sam/E000003181489]

 

책 읽는 속도가 많이 늦어졌나.. 이걸 한시간만에 읽질 못하네..

 

아무튼 가장 유명한 문구만 알지 정작 읽어 보지 않았던 책. 그래서 빌려왔는데

문학을 읽기에는 이제 너무 마음이(?) 굳었는지 감동이나 무언가는 없었고

그냥 책에서 문구를 검색하는 느낌으로 쭈욱 읽기만 하게 된 명작(!)

 

데미안은 의외로(?) 주인공 이름이 아니라 주인공 절친이라고 해야하나 사상적 스승이라고 해야하나 신비한 존재이다.

인터넷에서 얼핏 리뷰를 보면 환상이라던가 자아라고 표현을 하는데

그냥 밋밋하게 읽기에는 소설상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사람이고

아무튼 주인공은 싱클레어이다.(영화 코코 같은 느낌?)

 

어릴적 거짓말 했다가 고생시키던 나쁜 녀석 하나 있고

자신과 동일한 생각을 하는 목사를 만나기도 하고

나중에는 데미안 엄마에서 사랑을 갈구하기도 하고(아니.. 친구의 엄마를?!?!?)

갑자기 전쟁났다면서 전쟁터에서 다시 데미안을 만나고 소설은 끝이 난다.

 

번역상의 문제인지 먼가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 것 같기도 하고 그런데

크게 와닫지 않는데 왜 명작이었을까.. 내가 그렇게 받아들이지 못할 만큼 너무 속세(?)에 찌든걸까..

 

 

사족 1.

아브락사스 어쩌구 하는게 가장 유명한 문구이긴 한데 정작 책에서는 한번 언급되고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는다.

이게 가장 유명하니 어떻게 이 내용으로 전개되나 기대했는데 아니라서 좀 의아한 느낌.

 

사족 2.

주인공은 스스로 방탕하게 살았다고 하는데 카인의 표식 어쩌구 하면서

뛰어난 혹은 새로운 시대의 사람이런 느낌의 용어가 나오는데 정확하게 어떤걸 의미하는진 모르겠다.

흔들림을 지닌 평범한 인간이면서 인간적으로 행동하려고 하는 신을 표현하고 싶었던 걸까?

 

사족 3.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 지는 것 처럼 상대를 조정하는 무언가가 나오는데 도대체 이건 무슨 내용일까

 

사족 4.

문득 시뮬라시옹 시뮬라크르가 떠올랐다. 유명한 문구는 다들 아는데 정작 내용은 모르는 소설.

'개소리 왈왈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 부서지는 아이들  (3) 2025.07.03
희망찬 회의론자  (4) 2025.05.19
스태프 엔지니어  (0) 2025.05.12
플레인 센스  (0) 2025.02.10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2024.04.2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5. 5. 12. 10:48

2022년 즈음에 유행이었던 것 같은 책유튜브 보다가 내용이 끌려서 도서관에 신청해 봤는데

[링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2904809]

 

개인적으로는 별로 도움이 되는 내용이 없는 책

스태프 엔지니어로 가기 위해서는 날 지지해줄 스폰서를 구해라 정도

어떻게 보면 외국에서도 개발자로 60세 까지 살아남기 이런게 환상일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도 들면서 현타가 거나하게 와버림.

'개소리 왈왈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찬 회의론자  (4) 2025.05.19
데미안  (0) 2025.05.13
플레인 센스  (0) 2025.02.10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2024.04.24
총, 균, 쇠  (0) 2021.06.17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5. 2. 10. 18:56

개인적으로는 유튜브가 더 재미있고 알찬(?) 조금 더 깊은 내용이 들어있어서

시간이 된다면 책 보단 오히려 유튜브 정주행을 추천하고 싶다.

[링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0375400]

[링크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eRiKrmYz8Cn12BIyyTDgRE8M1TCTLAiB]

 

 

책 이라고 해야하나..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비행에서의 위험 관리 "반응적, 선제적, 예측적"

We can understand the basic purpose of each type of risk management as follows:
  • Reactive: mitigate severity of safety events and threats;
  • Proactive: identify safety concerns before safety events happen; and
  • Predictive: anticipate future exposure based on past performance data.

[링크 : https://aviationsafetyblog.asms-pro.com/blog/understand-reactive-predictive-and-proactive-risk-management-in-aviation-sms?hs_amp=true%EF%BB%BF]

'개소리 왈왈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미안  (0) 2025.05.13
스태프 엔지니어  (0) 2025.05.12
AWS로 시작하는 인프라 구축의 정석  (0) 2024.04.24
총, 균, 쇠  (0) 2021.06.17
책 - 당황하지 않고 웃으면서 아들 성교육 하는 법  (0) 2020.06.0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4. 4. 24. 23:33

도서관에 있는 것 들 중에 그나마 신간이라(2022년 1쇄) 빌림

그런데 it 업계에서 2년이면 꽤 과거라.. 이거랑 또 안 맞다 보니 모르겠다.

그냥 클릭하면서 헤매야 하나?

 

아무튼 아무것도 모르면 이해가 쉽지 않은게 aws라

aws를 조금은 만져보고 실제로 인프라 만들어 볼 사람이 아니라면

약간 난이도가 있는 듯.

[링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9747932]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1. 6. 17. 22:33

근 일주일에 걸쳐서 읽은 책

 

그런데 농경으로 시작해서 가축을 만들고

가축과 지냄으로서 균이 만들어 진 것 까지는 설명이 있는데

총 과 쇠는 이렇다할 설명이 없는 느낌..

읽다가 건너뛴건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목차에서도 균에 대해서는 보이지만

총과 쇠에 대해서는 보이지 않는다.

 

우연의 일치로 발전한 문명이 현재의 문명이고

진보하지 못한 다른 문명이나 미개하다고 보여지는 흑인들/아프리카도

환경적인 요인이 충족되지 못해 발전하지 못했을뿐 미해한게 아니다 라는게 요지.

 

 

그런데 가로 방향으로는 잘 퍼지는데 세로로는 힘들다 라는 내용이 눈에 익은데

인터넷 보다가 본건지 이 책을 읽고 까마득히 까먹은건진 모르겠다.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0. 6. 4. 22:20

페미니즘 때문에 안 좋게 보이게 된 단어들이 보여서 그런가

무진장 보면서 몸이 꼬이고 아니꼽게 보이는 책 (성감수성 이라던가?)

 

아무튼 이수역 사건이랑 겹쳐서 기분이 꽁기꽁기 하게 만드는 구만

[링크 :https://news.v.daum.net/v/2020060419195818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0. 3. 19. 17:49

시간도 안나고 희한하게 손이 잘 안가서 겨우겨우 날로 읽은 책

2020년에 읽기에는 2년전 책이라 (원래는 몇년껄려나. 번역본이니)

지금 시점에서는 신기할 것도 없는 현재 이야기가 되어버린 내용.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20. 3. 13. 22:19

나의 슬기로운 감방생활에서 제목을 따왔을게 분명한 이 책

보면서 큰 깨달음을 얻기 보다는 앞서의 6개월 간의 일들을 돌아보게 되는 책이다.

 

[링크 : http://www.yes24.com/Product/Goods/59478437]

 

나의 성향은 부정적이라 긍정적일 수 있는 타입인데(내가 봐도 특이한 듯)

이것보다 나쁠순 없다. 는 가정하에 움직이기 때문에

반대로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감사일기와 비슷한 효과를 스스로에게 주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이보다 나쁠순 없다. 그래 최소한 내가 예상한 최악의 상황까진 가지 않았잖아."

라고 하면서 다시 일어날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지난 6개월 간은 이 책의 내용을 빌리자면

외부에 의한 학습된 무기력감에 스스로가 스스로를 죽여가고 있었던 건데

조금 악용하면 전 회사에 대한 면죄부이자 내가 날 잘 이끌어 갔어야 하는데 내가 잘 하지 못했다는 면피가 될 수도 있지 않나

읽는 사람이나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너무 다른 방향이 될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하는 책이 아닐까 생각이 되었다.

머.. 심리학 책들이 대부분 해석하기 나름이라는 특징을 지니긴 하지만 말이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