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009. 11. 16. 10:49
$ tree --help
usage: tree [-adfgilnpqrstuxACDFNS] [-H baseHREF] [-T title ] [-L level [-R]]
        [-P pattern] [-I pattern] [-o filename] [--version] [--help] [--inodes]
        [--device] [--noreport] [--nolinks] [--dirsfirst] [--charset charset]
        [<directory list>]
    -a          All files are listed.
    -d          List directories only.
    -l          Follow symbolic links like directories.
    -f          Print the full path prefix for each file.
    -i          Don't print indentation lines.
    -q          Print non-printable characters as '?'.
    -N          Print non-printable characters as is.
    -p          Print the protections for each file.
    -u          Displays file owner or UID number.
    -g          Displays file group owner or GID number.
    -s          Print the size in bytes of each file.
    -D          Print the date of last modification.
    -F          Appends '/', '=', '*', or '|' as per ls -F.
    -r          Sort files in reverse alphanumeric order.
    -t          Sort files by last modification time.
    -x          Stay on current filesystem only.
    -L level    Descend only level directories deep.
    -A          Print ANSI lines graphic indentation lines.
    -S          Print with ASCII graphics indentation lines.
    -n          Turn colorization off always (-C overrides).
    -C          Turn colorization on always.
    -P pattern  List only those files that match the pattern given.
    -I pattern  Do not list files that match the given pattern.
    -H baseHREF Prints out HTML format with baseHREF as top directory.
    -T string   Replace the default HTML title and H1 header with string.
    -R          Rerun tree when max dir level reached.
    -o file     Output to file instead of stdout.
    --inodes    Print inode number of each file.
    --device    Print device ID number to which each file belongs.
    --noreport  Turn off file/directory count at end of tree listing.
    --nolinks   Turn off hyperlinks in HTML output.
    --dirsfirst List directories before files.
    --charset X Use charset X for HTML and indentation line output.


tree는 트리 구조로 보여주는 녀석인데, 기본적으로 Recursive 하게 디렉토리를 검색해서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조금은 귀찮았던 녀석인데, directory depth를 제한 할 수 있는 옵션이 있었다.

$ tree -d -L 1

이라고 입력하면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만 보여준다.(하위 경로까지 타고 들어 가지는 않음)

[링크 : http://linux.die.net/man/1/tree]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ora Core 12  (0) 2009.11.17
UVC - USB Video Class  (0) 2009.11.17
설치하지 않은 rpm에 포함된 파일의 내용 보기  (0) 2009.11.04
mount() 이용하기 - mount cifs using mount()  (2) 2009.10.22
execl()로 mount 실행하기 - samba  (2) 2009.10.14
Posted by 구차니
아이디어!2009. 11. 15. 02:20
저~~~얼대 강변북로에서 20분 가량 지체되서 적는 글은 아니진 않을거임 ㅋㅋ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사고/보수 통제시에 몇개 차선을 통제 하게 되는데
길어야 몇백 미터 앞에서 한번에 몇개 차선을 잡아 버린다.
물론 2개 차선을 통제 한다고 하면 사선으로 끼어 들도록 만들어 놓지만,
몇백 미터 이내에 달리던 차들이 통제되는 상황은 유쾌하지 않을뿐더러
끼어들기로 인해서 상당히 지체가 되는 문제가 있다.


어쩌면 500m 이런 짧은 구간이 아닌 2km 나 3km 전부터 단계적으로 한차선씩 좁혀 나가면서 사고구간이나
공사구간은 1차선만 사용하도록 멀리서 부터 전체적인 교통의 흐름을 제한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강변북로 4차선중, 도로 교량 보수로 인해 3차선을 통제 하는데,
대략 2km가 마비 되었고, 통제 구간은 길어야 200m 정도를 통제했다.

이럴바에는 차라리 이전의 3km 구간 정도를 500m 정도씩 거리를 두고 1차선씩 줄여 나가
자연스럽게 1차선으로 합쳐지도록 유도를 하고, 통제구간인 1차선을 가도록 하면 훨신 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명종이 / 방수종이  (0) 2009.12.05
파동, 파장, 주파수, 색상  (0) 2009.11.30
블로거 기상정보  (6) 2009.08.30
그림체 파괴 게임!  (8) 2009.07.27
헬스장 + 다음 로드뷰(혹은 구글 스트리트뷰)  (6) 2009.07.14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영화2009. 11. 15. 01:59

이번에도 애인님이 보여주신 영화!
솔찍히 매우 기대하고 본 영화이지만, 너무 기대를 해서일까. 그리 좋은 평은 내리지 못할것 같다.
물론 노잉의 막장 시나리오에 비하면 조금은 나은편이긴 하지만 말이다.

그래픽 : 5/5
시나리오 : 3/5
긴장감 : 2/5
사운드 : 4/5

솔찍히 별점을 주자면, 2점~3점 / 5점 을 주고 싶은 영화이다.
물론 돈주고 보기에는 나쁜 영화는 아니지만,
조금은 억지스러운 웃음을 지어내게 하는 코믹연기와 약간은 개연성이 부족한 전개
그리고 보여주기 위한 어거지성 3D 롤러코스터 액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영화가 나쁘지 않음은
싸구려 인류애를 조금은 자극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157분이라는 상영시간이 그리 길게만은 느껴지지 않은 시간 때우기에는 좋은 영화이다.
(보고나서 영화정보에서 시간을 확인하고 화들짝 놀람 -ㅁ-)


러시아 비행기로 나오는 녀석은 도대체 정체를 모르겠다.
크기라던가 이런 느낌으로 봐서는 AN-22 인거 같기도 하고, AN-124 같기도 하고..
검색을 계속 해보니.. AN-225 인거 같기도 하고.. 결국은 큰게 장땡?

'개소리 왈왈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밥팅이 생일 축하해!  (0) 2009.11.27
300번의 덤앤더머 커플  (2) 2009.11.21
빼빼로 데이!  (2) 2009.11.11
디스트릭트 9 - District 9  (4) 2009.10.18
불꽃처럼 나비처럼 (2009)  (6) 2009.09.2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9. 11. 14. 13:07


새벽 3시 까지 해서 겨우겨우 만든 만렙 ㅠ.ㅠ
와우 시작해서 만든 첫 캐릭인데. 그게 타우렌에 전사 ㄱ-
그래서 탈도많고 힘도 많이 들었던 녀석인데
죽음의 기사에 빼앗겨 한동안 소외당하다가 드디어 만렙을 찍었다 헉헉헉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초대장 뭥미?  (4) 2009.11.18
문득 하고 싶은게 생겼다. 해야 할게 생겼다.  (0) 2009.11.17
12:12:12 작성된 글  (0) 2009.11.11
2012년 세상의 끝?  (6) 2009.11.10
폭주  (2) 2009.11.08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09. 11. 13. 17:50

open source / LGPL 기반의 프로그램이며 콘솔 기반의 windows binary를 제공한다.

Source code license

This code is "open source", and is released under the LGPL. This allows you to use these libraries (via linking) inside closed-source products. It also allows you to make closed-source binary extensions to these libraries - for instance, to support proprietary media codecs that subclass the existing "liveMedia" class hierarchy. Nonetheless, we hope that subclass extensions of these libraries will also be developed under the LGPL, and contributed for inclusion here. We encourage develop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se libraries.


The "LIVE555 Media Server" is a complete RTSP server application. It can stream several kinds of media file (which must be stored in the current working directory - i.e., the directory from which you launch the application.):
  • A MPEG Transport Stream file (with file name suffix ".ts")
  • A MPEG-1 or 2 Program Stream file (with file name suffix ".mpg")
  • A MPEG-4 Video Elementary Stream file (with file name suffix ".m4e")
  • A MPEG-1 or 2 (including layer III - i.e., 'MP3') audio file (with file name suffix ".mp3")
  • A WAV (PCM) audio file (with file name suffix ".wav")
  • An AMR audio file (with file name suffix ".amr")
  • An AAC (ADTS format) audio file (with file name suffix ".aac")

[링크 : http://live555.com/]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synergy2009. 11. 13. 17:02

이 녀석은 컴퓨터에 개별 모니터는 있어야 하지만,
키보드/마우스를 없애는데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즉, KVM 에서 V가 빠진, KM 프로그램이라고 보면된다.
(최소한 본체별로 모니터는 하나씩 있어야 한다.)


서버는 키보드/마우스가 설치되어, 제어용으로 사용할 컴퓨터이며
클라이언트는 키보드/마우스 없이 모니터만 있는 제어를 당할 컴퓨터들이다.

클라이언트 설정

Step 1.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비하면 설정할 내용은 많지 않다.
           단순하게 Other Computer's Host Name:서버의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서버설정
Step 1. 서버는 서버답게(ㄱ-) 설정할 내용이 많다.


일단 서버의 이름을 확인하기 위해 Options 의
버튼을 클릭한다.


"Advanced..." 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별다른 것은 설정할것 없이
아.. 서버 이름"Screen Name:" 에 나오는 구나.. 라고 외워두면 된다.
(Screen Name: 위에 써있는 내용 - 시너지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이름을 화면 이름으로 사용한다)


Step 2. 본격적인 서버의 설정은 Share this computer's keyboard and mouse(server) 라고 쓰여진 부분을 클릭한뒤
           활성화 되는 Configure 내부에서 하면된다.


중앙의
버튼을 클릭!


활성화 되는 "Configure..."를 누르면 위와 같이 "Screens & Links" 창이 뜨게 된다.
이 화면에서는 스크린을 등록하고, 스크린의 위치 배열을 설정한다.

일단 위의 Screens: 에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의 Add Screen이 뜨게 되며
Screen Name: 에 일단 아까 확인한 서버의 이름을 추가해준다.
Aliases: 는 추가항목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추가된 내용은
버튼을 클릭하면 되며,
아래의 Add와 유사하게 생긴 Edit Screen [screen name] 창이 열리게 된다.



Screen을 추가했으면 이제 Link를 추가해야 한다.
Link는 모니터의 위치를 추가하는 것인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설정도 같이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서버기준 클라이언트의 위치 + 클라이언트 기준 서버의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문제는.. 아래의 입력방법이 매우 헷갈리기 쉽다는 것이다.
.. of the [방향] of [기준 모니터] goes to ... of [목표 모니터] 인데
엄밀하게는 PC가 기준이 아니라 모니터를 기준으로 연결점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두개의 모니터를 사용하고(서버/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가 왼쪽에 있다고 하면,

[서버 모니터]를 기준으로 서버의 모니터 [왼쪽]에 [클라이언트 모니터]를 연결하고
[클라이언트 모니터]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 모니터 [오른쪽]에 [서버 모니터]를 연결한다


위의 화면은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서 서버로 넘어가는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클라이언트 모니터]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 모니터 [오른쪽]에 [서버 모니터]를 연결한다
의 내용으로, [right] of [클라이언트 모니터] goes to [서버 모니터]로 입력해준다.


위의 화면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넘어가는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서버 모니터]를 기준으로 서버의 모니터 [왼쪽]에 [클라이언트 모니터]를 연결한다
의 내용으로, [left] of [서버 모니터] goes to [클라이언트 모니터]로 입력해준다.

Step 3. 일단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접속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버를 구동하는 PC의 네트워크 에서 Synergy가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주어야 한다.
           기본값으로는 24800 포트를 사용하므로, 네트워크 설정 - 방화벽에서 예외로 24800 TCP를 추가해준다.


여기까지는 다들 들어 갈수있을 것으로 굳게 믿고


예외 탭에서, 포트 추가를 눌러준다.


이름은 임의로 적어주고, 포트 번호는 24800 그리고 아래의 프로토콜은 TCP로 해준다.


Step 4. 서버에서
을 누르면 서버가 시작되며, 클라이언트로 가서
을 누르면 서버에 접속한다.
           클라이언트가 몇번 접속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를 먼저 켜놓고, 클라이언트를 켜야 바로 접속을 한다.
           (접속 못할 경우 5초 간격으로 3번 정도 시도 후, 시간을 늘려가며 접속을 시도하긴 한다.)

[공식 : http://synergy2.sourceforge.net/]
[참고 : http://cdmanii.com/193]

[패치 : http://mabook.com/blog/23]
[패치 : http://magoja.tistory.com/242] 한글패치


2010.02.08 추가
한가지 아쉬운 점은, compiz 와 같이 화면 경계 이상으로 커서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compiz cube 상황에서 원래대로라면 360도 무한으로 뱅글뱅글 돌릴수 있어야 하지만
synergy를 통해서는 중앙에서 시작하면 커서가 우측끝까지나 좌측끝까지 이동하는 만큼만 인식을 할 수 있다.
(즉, 무한으로 뱅글뱅글 돌리지 못하고, 한페이지 도 시작 위치에 따라서는 못돌릴수도 있다.)

2010.02.22 추가
여러PC에 개별 키보드/마우스가 있을 경우
서버의 마우스가 위치 하지 않는 곳에서 다른 키보드/마우스로 copy 시에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로 내용이 복사 되지 않음.
(예를 들어 A가 서버이고 B 의 키보드로 복사했고 마우스는 A에 있을 경우, B의 내용이 A로 붙여지지 않음)

'프로그램 사용 > sy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rrier on ubuntu 22.04 실패!  (2) 2023.06.15
synergyc - synergy client for linux  (2) 2010.03.20
시너지 (Synergy) for linux  (4) 2010.01.1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LC2009. 11. 12. 17:53



Ctrl - H로 토글하거나
위의 메뉴에서 처럼 "Minimal View" - "최소 보기" 로 토글 가능함
Posted by 구차니
[2009/11/11 08:17:07,  0] lib/util_sock.c:730(write_data)
[2009/11/11 08:17:07,  0] lib/util_sock.c:1468(get_peer_addr_internal)
  getpeername failed. Error was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
  write_data: write failure in writing to client 0.0.0.0. Error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
[2009/11/11 08:17:07,  0] smbd/process.c:62(srv_send_smb)
  Error writing 4 bytes to client. -1.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usr/local/samba/lib/smb.conf 파일에
smb ports = 139 를 넣어주면 해결이 된다고 한다.

These are generally innocuous. Windows XP will try to connect on both ports 139 and 445. Once an XP client connects on one of these ports, it silently drops the other. If you want to get rid of the error in your log, or just verify my answer, add the following parameter to the Global Section of /etc/samba/smb.conf , then restart samba.

[링크 : http://forums.opensuse.org/network-internet/413860-errors-log-smbd.html]

[링크 : http://threebit.net/mail-archive/samba/msg01516.html]
Posted by 구차니
I found a workaround which involves disabling Opportunistic Locking. This will have a small performance impact, but at least the thing wont hang up and use 100% CPU for no goddamn reason. Yes, this article has an angry tone, because this issue has eaten way too much of my time today.

To disable Opportunistic Locking, you have to set the contents of the file “/proc/fs/cifs/OplockEnabled” to 0. This file only exists after the cifs module has been loaded, and will be replaced if the module is unloaded and reloaded. Thus, I configured my /etc/rc.local script (use whatever equivalent your distro has to a startup script) to both load the cifs module and set the contents of said file:

# cifs client workaround
modprobe cifs
echo 0 > /proc/fs/cifs/OplockEnabled

[링크 : http://blog.dhampir.no/content/cifs-vfs-no-response-for-cmd-n-mid]

이 문서 앞부분에 나열한 Windows 운영 체제 중 하나를 실행하는 SMB(서버 메시지 블록) 클라이언트에서는 oplocks(Opportunistic Locking)가 기본적으로 설정됩니다. oplocks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파일을 잠가 다른 사용자가 파일을 변경하는 위험 없이 로컬로 정보를 캐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부분의 파일 작업에서 성능이 향상되지만, 다른 사용자가 해당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할 때 oplocks를 부여하는 서버에서 해당 잠금의 위반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작업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MRXSmb\Parameters\
OplocksDisabled REG_DWORD 0 또는 1
기본값: 0(해제되지 않음)

참고 OplocksDisabled 레지스트리 값은 원격 파일에 대해 oplocks를 요청하거나 요청하지 않도록 Windows 클라이언트를 구성합니다.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296264]



 CIFS VFS: No response to cmd 46 mid 21391
 CIFS VFS: Send error in read = -11
 CIFS VFS: No response to cmd 47 mid 21392
 CIFS VFS: Write2 ret -11, written = 0
 CIFS VFS: Write2 ret -9, written = 0   

CIFS로 samba 를 공유해서 사용할때 이러한 에러가 발생을 하면서 삼바서버에 파일을 장시간 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위의 방법으로 바꾸고 해봐도 그리 차이는 없어 보이는데 흐음..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09. 11. 12. 14:59

BogoMips (from "bogus" and MIPS) is an unscientific measurement of CPU speed made by the Linux kernel when it boots, to calibrate an internal busy-loop. An oft-quoted definition of the term is "the number of million times per second a processor can do absolutely nothing."

BogoMips can be used to see whether it is in the proper range for the particular processor, its clock frequency, and the potentially present CPU cache. It is not usable for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CPUs

For i386 architecture delay_loop is implemented in /usr/src/linux/arch/i386/lib/delay.c as:
/* simple loop based delay: */

static void delay_loop(unsigned long loops)
{
  int d0;
  __asm__ __volatile__(
    "\tjmp 1f\n"
    ".align 16\n"
    "1:\tjmp 2f\n"
    ".align 16\n"
    "2:\tdecl %0\n\tjns 2b"
    :"=&a" (d0)
    :"0" (loops));
}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BogoMips]

어쩌면 가장 단순하면서 명쾌한(?!) cpu의 성능 측정 비교 방법이다.

2010/03/03 - [하드웨어 관련] - bogoMIPS on E540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