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2009. 11. 17. 18:15
원본은 링크가 깨진듯 하고, 어딘가에 pdf 버전이 돌아다니길 기원하며
좀 더 찾아봐야겠다 ㅠ.ㅠ

[링크 : http://freeos.com/guides/lsst/index.html]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dfile family - pidfile_open, pidfile_remove, pidfile_write, pidfile_close  (0) 2009.11.20
쉘 스크립트에서 파일 존재유무 확인하기  (0) 2009.11.18
Fedora Core 12  (0) 2009.11.17
UVC - USB Video Class  (0) 2009.11.17
tree  (0) 2009.11.16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09. 11. 17. 17:55
apostrophe ( ' )
brackets ( ( ) ), ( [ ] ), ( { } ), ( < >)
colon ( : )
comma ( , )
dashes ( , , , )
ellipses ( , ... )
exclamation mark ( ! )
full stop/period ( . )
guillemets ( « » )
hyphen ( -, )
question mark ( ? )
quotation marks ( ‘ ’, “ ” )
semicolon ( ; )
slash/stroke ( / )
solidus ( )
Word dividers
spaces ( ) () () ( ) () () ()
interpunct ( · )
General typography
ampersand ( & )
at sign ( @ )
asterisk ( * )
backslash ( \ )
bullet ( )
caret ( ^ )
copyright symbol ( © )
currency generic: ( ¤ )
specific: ฿, ¢, $, , ƒ, , , , £, , ¥, , ,
daggers ( , )
degree ( ° )
ditto mark ( )
inverted exclamation mark ( ¡ )
inverted question mark ( ¿ )
number sign/pound/hash ( # )
numero sign ( )
ordinal indicator (º, ª)
percent (etc.) ( %, ‰, )
pilcrow ( )
prime ( )
registered trademark ( ® )
section sign ( § )
service mark ( )
tilde ( ~ )
trademark ( )
umlaut/diaeresis ( ¨ )
underscore/understrike ( _ )
vertical/pipe/broken bar ( |, ¦ )
Uncommon typography
asterism ( )
index/fist ( )
therefore sign ( )
because sign ( )
interrobang ( )
irony mark/percontation point ( ؟ )
lozenge ( )
reference mark ( )
tie ( )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Comma]

솔찍히 아직도 콜론, 콤마가 헷갈린다 ㅠ.ㅠ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믹(Gimmick)  (0) 2009.11.24
코드러너 - 웹에서 프로그래밍을!  (0) 2009.11.20
URI URL URN UNC  (0) 2009.10.27
memcpy 속도 향상에 대한 어셈블리 넘사벽...  (2) 2009.09.07
tarball  (0) 2009.07.30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09. 11. 17. 14:59
하고 싶은거 : 근래에 만져본 synergy 프로그램을 위한 도우미 한가지와 웹 캠을 이용한 DVR.
해야 하는거 : TOEIC / 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 하고 싶은것 -
Syngergy
syngergy는 솔찍히 GUI가 좋지 않아, 설정을 하려면 꽤나 귀찮다.
윈도우 네트워크 검색해서 pc들 목록 추가하고, 그 목록으로
드래그 해서 모니터 위치를 맞추는 정도면 상당히 쓸만할 듯 하다.



그런데.. MFC 외에 API라던가 동적으로 생성하게 하는건 해보질 않아서 갑갑하기 그지 없다 ㅠ.ㅠ
그래도 언젠가 쓸일이 있어 보이는데 흐음.. 공부할겸 다음 기회에 해봐야겠다(일단은 AVR이 우선!)


USB IP DVR

대충 구상은 되어 있는데
눈앞을 가로막는건, 시간
발목을 잡는건, 돈이다.


ffmpeg를 얼마나 뜯어 고치고, 어떻게 작동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openCV + ffmpeg + V4L 를 조합하면 제품하나 나올꺼 같은데
DVR이라고 하기에는 부끄럽지만, USB에 여러개 동시에 꼽을수만 있다면
USB라는 특성상 멀티 채널 CCTV를 매우 저렴하게 만들수 있다.

리눅스라는 특성을 감안하면 순수하게 H/W 가격만으로 말이다.
(물론 팔아먹을려면 개발비도 넣긴해야겠지?)

그래도 막상 착수하지 못하는건,
마음에 드는 플랫폼이 없다는거. DVR이면 그래도 계속 켜놔야 하는데 겨울용으로 적절한
프레스핫! cpu로 돌리고 있을수도 없고 ㄱ-

개인적으로는 Wibrain UMPC나 리플 미니 같은 아톰기반의 저전력 세컨PC를 이용하면 좋을꺼 같은데
20만원이라는 돈이 없다 ㄱ- 게다가 웹캠도 이것저것 테스트 해봐야 하니 우우우 ㄱ-

일단은 집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목적이 있으니까, 해보고는 싶은데.. 흐음..






- 해야만 하는것 -
11월 22일 써글 토익.. 이번주 일요일이다. 일어날수는 있을려나? ㄱ-
12월 06일 망할 리마 2급 일어날수는 있을려나? ㄱ-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익보러 갑니다!  (12) 2009.11.22
티스토리 초대장 뭥미?  (4) 2009.11.18
드디어! 만렙!  (2) 2009.11.14
12:12:12 작성된 글  (0) 2009.11.11
2012년 세상의 끝?  (6) 2009.11.10
Posted by 구차니
이래서 교수들이 배가 불러서 욕을 "쳐" 드시는게 아닐까 싶은 결정적인 예가 아닐까 싶다.
어느샌가 부터 개발자라는 직종이 무슨 연봉 억대의 돈 쳐묵쳐묵 일도 잘 안하는 직종으로 보이게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실상은 IT 하층민보다 더 낮은 21세기 대한민국의 노예일 뿐이다.

그래도 춥지 않게 사무실에서 일하니 다행아냐? 라고 하면 할말이 없고
그보다 더 대우 못 받는 사람들도 많지 않냐? 라고 해도 할말이 없지만

이렇게 짜증나는 대한민국이라는 동네에서
기술자로/장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욕나오는 시대/장소라는 점에서
결국에는 그렇게 돌팔매하고 싶어 하는 당신 역시 제대로된 처우를 받지 못하는건 같지 않냐? 라고 반문하고 싶다.





문득 영화 2012의 막장 스토리가 떠오른다.
유전자 감별로 인류를 샘플링하고 다음 세대를 준비 한다는 것도 웃기지만(건담 시드 데스티니 / 가타나 등을 보면 알듯)
실제로는 돈으로 쳐묵쳐묵한 상위 몇%만이 목숨을 구하는 이야기.
실질적인 기술은 없고, 말빨로 사람을 후리는 정치꾼들만 가득한 상황에서
이주가 완료되고 나면 토사구팽 당하는 선장들이 되지 않을까
아니 기술자들은 전부 몰살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마저 든다.






유독 기술자를 천대하고 썩어빠진 선비정신 따위나 숭상하는 21세기 좃선의 작태를 보면 참..
대한민국을 뜨는게 아니라, 지구를 떠나서 안드로메다로 가고 싶을 때가 종종있다.

선비정신 따윈 엿바꿔먹어! 라고 하고 싶지만
지금도 매한 마찬가지

선비대신 책장을 넘기면서 에헴~ 하는
'사' 직업들이 지천에 널려있다.
그래도 의사 정도는 빼주고 싶다만,
남에 입 들여다 보고, 가슴좀 주물러서 키워주고, 얼굴좀 만져서 이쁘게 해주는 돈벌이로 전락해버린 의사들과
사람은 보지 않고 돈을 보고, 이전 판결문만 보고 앵무새 처럼 망치 두드리는 판사, 그리고 하이에나 변호사

농민은 고사하다 못해 미이라가 되어버린지는 오래이고
기술자들은 최하층민으로 전락해서 돈 갚는 노예로 살아가는 오늘
그래서 상층민이라는 교수라는 작자가 이런 말을 하는 걸 보면 답답하기만 하다.








언제까지 버틸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파국으로 치닫게 될경우, 기술자의 난이 될지 성공한 쿠데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이 지긋지긋한 전쟁의 선두에 기술자/노동자들이 서서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하지만 걱정되는건.. 전쟁이후의 새로운 세계의 구축이 아닐까..
단순하게 세상을 파괴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세계가 만들어 지는건 아닌데 말이다..




단지 우리는 노동에 합당한 대우/댓가를 받고 싶을 뿐이고
단순하게 앉아서 존재만으로 몇억씩 배불리는 꾼들이 사라지길 바랄 뿐이다.




[링크 : http://www.thegames.co.kr/main/newsview.php?category=201&subcategory=5&id=143407] 요건기사
[링크 : http://dazai.egloos.com/2748283] <- 성지순례
[링크 : http://catclow.tistory.com/225]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후회  (2) 2009.12.05
공밀레~ 공밀레~  (2) 2009.11.18
"하루늦은" 퇴근일기 - 20091111  (8) 2009.11.12
2009/09/31 -> 2009/10/31  (2) 2009.10.31
절묘한 조화  (4) 2009.10.12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11. 17. 09:32

2009년 11월 18일에 나올 예정이라는데
벌써 FC12 라니 ㄱ-

간만에 FC11 받을려다가.. 내일 FC12 나오면 내일 받아야겠다 -ㅁ-


[링크 : http://fedoraproject.org/ko/inde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 스크립트에서 파일 존재유무 확인하기  (0) 2009.11.18
리눅스 셸스크립트 튜토리얼  (2) 2009.11.17
UVC - USB Video Class  (0) 2009.11.17
tree  (0) 2009.11.16
설치하지 않은 rpm에 포함된 파일의 내용 보기  (0) 2009.11.0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09. 11. 17. 01:12

Cables

The maximum length of a standard USB cable (for USB 2.0 or earlier) is 5.0 metres (16.4 ft). The primary reason for this limit is the maximum allowed round-trip delay of about 1,500 ns. If USB host commands are unanswered by the USB device within the allowed time, the host considers the command lost. When adding USB device response time, delays from the maximum number of hubs added to the delays from connecting cables, the maximum acceptable delay per cable amounts to be 26 ns.[28] The USB 2.0 specification requires cable delay to be less than 5.2 ns per meter (192,000 km/s, which is close to the maximum achievable speed for standard copper cable).[29] This allows for a 5 meter cable. The USB 3.0 standard does not directly specify a maximum cable length, requiring only that all cables meet an electrical specification. For copper wire cabling, some calculations have suggested a maximum length of perhaps 3m. No fiber optic cable designs are known to be under development, but they would be likely to have a much longer maximum allowable length, and more complex construction.

Maximum useful distance

USB 1.1 maximum cable length is 3 metres (9.8 ft).[30] USB 2.0 maximum cable length is 5 metres (16 ft). Maximum permitted hubs connected in series is 5. Although a single cable is limited to 5 metres, the USB 2.0 specification permits up to five USB hubs in a long chain of cables and hubs. This allows for a maximum distance of 30 metres (98 ft) between host and device, using 6 cables 5 metres (16 ft) long and five hubs. In actual use, since some USB devices have built-in cables for connecting to the hub, the maximum achievable distance is 25 metres (82 ft) + the length of the device's cable. For longer lengths, USB extenders that use CAT5 cable can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USB devices up to 50 metres (160 ft).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Universal_Serial_Bus]

결론만 말하자면 허브로 연장해도 30m, 연장하지 않고 단일로 사용하면 5m가 한계이다.
요즘에 USB 1.1 장비는 많이 사용하지 않으니까 무난하게 사용하려면 3m가 한계라고 보면된다.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F - Electronic View Finder  (2) 2009.12.15
AMD AM socket/CPU에 관한 짧막한 정리  (0) 2009.12.14
DV port(= IEEE 1394) != ZV port  (0) 2009.11.16
BogoMIPS - cpu 성능 측정하는 방법중 하나  (0) 2009.11.12
쇼트키(Schottky)  (2) 2009.11.11
Posted by 구차니
Linux2009. 11. 17. 00:49
요즘 웹캠보면 UVC라고 많이 나오길래 먼가 해서 봤더니 USB Video Class 라고 하며,
WinXP SP2 이후 부터, 그리고
리눅스 커널 2.6.26 이후 부터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결론은 리눅스라도 UVC 지원된다고 광고하는 웹캠은
신형 리눅스에서는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할 듯 하다.
(UVC 웹캠 + ffmpeg으로 DVR 구축?!)

[링크 : http://linux-uvc.berlios.d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USB_video_device_class]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셸스크립트 튜토리얼  (2) 2009.11.17
Fedora Core 12  (0) 2009.11.17
tree  (0) 2009.11.16
설치하지 않은 rpm에 포함된 파일의 내용 보기  (0) 2009.11.04
mount() 이용하기 - mount cifs using mount()  (2) 2009.10.22
Posted by 구차니
XP에서는 윈도98에서 설정하던 공유폴더의 암호 메뉴가 없습니다 네트워크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사용자가 서버와 아이디만 같으면 인증이 됩니다 많이 허술하지요.

XP홈의 경우는 네트워크 사용자를 Guest로 인증하기에 Guset에 암호를 설정해줍니다
아래와같이 해주면 다음부터 사용자계정에 Guest의 암호변경 및 제거 메뉴가 생깁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공유폴더에 접근하면 암호를 묻게 됩니다

[링크 : http://manian.paran.com/?mid=B0204004&page=8&document_srl=1081380]

흐음.. 그래도 삼바에서 기본계정 guest, 패스워드 없음으로 해도..
왜 윈도우에서 접속할때 계정/암호를 물어볼까?
Posted by 구차니






nmbd와 smbd가 사용하는 파일들은 주로
/usr/local/samba/var 와
/usr/local/samba/private에 집중되어 있다. (물론 그렇게 구조를 잡았으니 -ㅁ-)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09. 11. 16. 14:42
DV port는 IEEE 1394와 같고, 캠코더에서 캠코더 모드로 하면
PC에서 이미징 장치로 캡쳐를 받을수 있다고 한다.

(삼성 캠코더의 경우 별다른 설정없이 1394 꼽자마자 이미징 장치로 인식,
VISTA 내장 window maker에서 캡쳐되는것 확인)

[링크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category_id=KL]

Using IEEE 1394 Devices with Windows XP
Published: March 25, 2002
By Galan Bridgman, Windows XP Expert Zone Community Columnist
[링크 : http://www.microsoft.com/windowsxp/using/moviemaker/21/dvpassthrough.mspx]

Capturing Video in Windows Movie Maker 2.1 by Using DV Pass-Through
Published: August 25, 2004
[링크 : http://www.microsoft.com/windowsxp/using/moviemaker/expert/bridgman_02march25.mspx]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V]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EEE_1394_interface]

-------------

ZV 포트는 예전 486 이전 시절의 노트북에 장착되어 있던 녀석인데..
이름이 비슷하지만 기억속에 잊혀진 녀석이다. 아무튼 문득 기억이 나서 검색을 해보니 무시무시한 녀석이다.
(그래픽 카드 프레임 버퍼로 바로 때려박는다) 물론 과거의 컴퓨터에서는 MPC Level 1 , 2 이런 이야기가 나올정도로
CPU 파워도 약했고, 실질적으로 패러럴 포트를 제외하면 SCSI가 가장 빠르던 시절이니 비디오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In computing, a zoomed video port (often simply ZV port) is a unidirectional video bus allowing a device in a PC card slot to transfer video data directly into a VGA frame buffer, so as to allow laptops to display real-time video. The standard was created by the PCMCIA to allow devices such as TV tuners, video inputs and MPEG coprocessors to fit into a PC card form factor and provide a cheap solution for both the laptop manufacturer and consumer.

The ZV port i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PC card slot and VGA controller. Video data is transferred in real time without any buffering, removing the need for bus mastering or arbitration.

The ZV port was invented as an alternative to such methods as the VAFC (VESA Advanced Feature Connector).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ZV_Port]


A ZV-enhanced PCMCIA port accepts standard cards in addition to Motion Picture Experts Group (MPEG) cards that are ZV-compliant. A ZV-compliant MPEG card utilizes internal software to change the pin-out configuration of the port in order to provide a dedicated video bus. The card also features built-in ports for accepting video-in signals. By connecting devices to the video-in ports on the ZV-card, the ZV port becomes a capture port.

Using the ZV port with a MPEG ZV-compliant card, a laptop or notebook can capture television programs and record them to hard disk. The incoming signal is first displayed full-screen, then software hands off the signal to the CPU to process for storage on the hard disk. A ZV port card also captures digital audio and can play back in full digital surround sound. The MPEG ZV-card is the equivalent of an add-on desktop TV tuner card.

In addition to capturing programs, a ZV port card can also be used for streaming live video conferencing, gaming applications, and making home movies. Software provides the ability to edit movies for a professional-style home video studio.

Video input ports vary on MPEG ZV-compliant cards depending on the card itself. Most cards include composite video-in, S-Video and cable-in. Some utilize a single proprietary port that uses a multi-purpose cable or dongle which accommodates all of these tasks, even supporting a remote control. Typically, ZV port cards also feature composite and S-Video output for watching the movies you’ve created on an external monitor such as a television.


[링크 : http://www.wisegeek.com/what-is-a-zv-port.htm]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