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ARM2018. 1. 30. 16:04

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dvanced eXtensible Interface (AXI)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Advanced_Microcontroller_Bus_Architecture]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il window 버전별 지원버전  (0) 2018.07.19
ARM MPMC(multiport memory controller)  (0) 2018.03.19
keil build 관련 검색  (0) 2017.12.06
카드크기 컴퓨터 벤치마크  (0) 2016.09.04
JTAG ETM  (0) 2016.09.02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18. 1. 30. 13:07

한글에만 있는줄 알았는데 MS 워드에도 있었네?


[링크 : http://tame.tistory.com/40]


아래는 한글에서 excel 데이터를 이용해 메일머지 하는 방법

[링크 : https://blog.naver.com/gitae1120/220110599492]

[링크 : https://ming0211.blog.me/60143435101]

Posted by 구차니

아내에게 이야기 했었지만 아내가 신기해 하는 것



위대한 일들도 사람들이 해낸 것이고, 그 일들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해낸 것이다.

위대한 사람들도 사람이었고 나 역시 사람이다.

그들이 해냈다면, 나도 할 수 있다.


물론 해내는 것은 결과이고, 그 과정에 이르는 것은

수 많은 실패의 방법들 중에 실현 가능한 방법을 찾기 위한 지루하고 힘든 여정이 있겠지만 말이다.



+

무슨 근자감이냐고 할 중2병 넘쳐나는 오글오글 함 같긴 하네.

그래도 다시 한번. 그들이 할 수 있었다면 나도 할 수 있다!

Posted by 구차니
embeded/80512018. 1. 30. 09:08

문득 생각나서 Branch prediction을 8051에서 지원하나 찾아보다가 발견

다르게 보면.. ARM 계열의 성능이 좋긴 좋은거였구나..(Cortex-M3,M4)라는 생각이 든다.


  • A Dhrystone 2.1 performance rating of 0.252 DMIPS/MHz yields an unmatched 26.85 times speed up over the original 80C51 chip operating at the same frequency.
  • Maximum CPU frequency exceeds 500 MHz for a class-leading effective increase of more than 1,000 times over 80C51 chips (40nm G process) 

[링크 : https://www.design-reuse.com/news/33780/8051-microcontroller-ip-core.html]

[링크 : http://www.cast-inc.com/ip-cores/8051s/s8051xc3/index.html]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30. 07:48

ALTERA에서 Nios II 용 바이너리를 변환하는 녀석으로

확장자가 flash가 튀어 나오는데, 내부 포맷은 SREC 라고 한다.

Motorola에서 개발했으니.. 원래는 PowerPC 계열에서 쓰던 걸려나?

아무튼 기본 포맷 유형은 intel HEX와 유사하다.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SREC_(file_format)]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supports EPCS memory only. Boot copier is stored in the ROM within

the EPCS flash controller. The boot copier is included during Qsys and Quartus Prime project compila‐

tion time.

The next stage boot image is located in the EPCS memory flash. The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is

automatically appended into the SREC image (*.flash) file during the elf2flash utility execution in the

Nios II Flash Programming flow method.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ug/niosii_generic_booting_methods.pdf]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29. 20:47

생각을 해보니.. jic는 문제없이 만들어 진건데...

platform designer에서 EPCS Controller를 추가하지 않아서 작동하지 않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

다시 추가해서 시도해봐야겠다.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supports EPCS memory only. Boot copier is stored in the ROM within

the EPCS flash controller. The boot copier is included during Qsys and Quartus Prime project compila‐

tion time.

The next stage boot image is located in the EPCS memory flash. The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is

automatically appended into the SREC image (*.flash) file during the elf2flash utility execution in the

Nios II Flash Programming flow method.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ug/niosii_generic_booting_methods.pdf]


My first Nios II 문서에 있는거랑 구성이 거의 비슷한데 EPCS와 SDRAM Controller가 추가되어 있다.

My application contains:


1. Clock Source

2. Nios II Processor

3. System ID

4. JTAG UART

5. EPCS Serial Flash Controller

6. PIO

7. SDRAM Controller

[링크 : https://alteraforum.com/forum/archive/index.php/t-49224.html]


음.. 리셋 벡터까지 EPCS Controller로 해주어야 하나?

Make sure the Nios II’s Reset Vector is pointing at EPCS/EPCQ Controller.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knowledge-base/solutions/rd11192013_118.html]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os II BSP 빌드관련  (0) 2018.01.31
SREC - SRECord  (0) 2018.01.30
Nios II / Nios II Classic 차이점  (0) 2018.01.29
elf2flash와 nios2-elf-objcopy 사용하기  (0) 2018.01.29
Nios II 이미지 합치기 (조사)  (0) 2018.01.27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29. 19:07

Nios II Classic에 구분되도록

Nios II Gen2라고 부르는 듯


아무튼.. Nios II Classic의 /e는 Nios II Gen2의 /e와 다른 물건이 되어버린듯 하다.

Nios II Gen2 Processor Feature Enhancements

The Nios II Gen2 processor family consists of /e and /f cores. It offers improvements over the Nios II Classic processor cores:

• Optional full 32-bit address space 

• Optional user-defined Peripheral address region for data cache bypass 

• Improved Qsys interface

The Nios II Gen2 /e core is completely backwards compatible with the Nios II Classic /s core. The Nios II Classic /s core has no direct equivalent in the Nios II Gen 2 family, however the Nios II Gen2 /f processor (as it has a more flexible configuration capability) can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feature set as the Nios II Classic /s core.


The Nios II Gen2 /f core offers the following feature enhancements over the Nios II Classic /f core: 

• Optional full ECC support, including data cache and TCMs (Tightly-coupled Memories) 

• Optional static branch prediction 

• Higher performance multiplier

• Improved and more deterministic divider 

• 64-bit multiply supported on all devices 

• Improved low-cost shifter implementation up to 4 bits/cycle 

• Instruction cache is now optional even when JTAG debug is present 

• New system interface for system trace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an/an748.pdf]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EC - SRECord  (0) 2018.01.30
altera Nios II, epcs controller  (0) 2018.01.29
elf2flash와 nios2-elf-objcopy 사용하기  (0) 2018.01.29
Nios II 이미지 합치기 (조사)  (0) 2018.01.27
Nios II 프로그램 빌드..  (0) 2018.01.27
Posted by 구차니
embeded/openRISC2018. 1. 29. 18:31

'embeded > openRI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32 컴파일러.. 삽질  (0) 2015.12.14
openRISC OR1k(1000) OR1200  (0) 2015.12.11
openrisc 어셈블리  (0) 2015.12.10
openRISC chaintool  (0) 2015.11.27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29. 14:09

일단 필요로 하는 녀석은 아래 경로에 존재하는데

path가 설정안되어 있으면 에러가 날테니 적당히~ 사용

C:\intelFPGA_lite\17.1\nios2eds\bin

C:\intelFPGA_lite\17.1\nios2eds\bin\gnu\H-x86_64-mingw32\bin 


D:\>C:\intelFPGA_lite\17.1\nios2eds\bin\elf2flash.exe --input=hello_world_0.elf --output=swimage.flash --epcs

D:\>dir

2018-01-27  오후 01:19               946 hello_world.c

2018-01-27  오후 01:20           319,239 hello_world_0.elf

2018-01-27  오후 01:20            86,021 hello_world_0.map

2018-01-29  오후 01:53            11,824 swimage.flash


D:\>C:\intelFPGA_lite\17.1\nios2eds\bin\gnu\H-x86_64-mingw32\bin\nios2-elf-objcopy.exe -I srec -O ihex swimage.flash  swimage.hex

D:\>dir

2018-01-27  오후 01:19               946 hello_world.c

2018-01-27  오후 01:20           319,239 hello_world_0.elf

2018-01-27  오후 01:20            86,021 hello_world_0.map

2018-01-29  오후 01:53            11,824 swimage.flash

2018-01-29  오후 01:57            13,272 swimage.hex 


도대체 무슨 마법이냐.. 312KB 짜리가 12KB가 되다니.. -_-?

ELF에 이것저것 디버그 정보도 들어가서 커졌을수는 있지만 이해할수 없는 용량 감소네..

아무튼 위는 flash 파일 아래는 hex 파일 내용이다.

flash는 intel HEX 포맷이랑 비슷한거 같네.. 아무튼 덕분에(?) flash에서 hex로의 변환에서

용량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S00600002D454C3B

S325000000007C0F00000000010074004000140840083A6800080000000000000000000000008C

S3250000002000000000000000007400C0061400E0DE74008006148CA4D67400800014498510B4

S325000000407400C000144DC5182603C010150000100401801036FDFF10C0251000C03310003B

:100000007C0F00000000010074004000140840084C

:100010003A68000800000000000000000000000036

:1000200000000000000000007400C0061400E0DEC4

:1000300074008006148CA4D67400800014498510C6


아무튼 변경후에는...  SOF 추가하고

HEX도 추가했는데 시작주소가 auto라니 찜찜(?) 해서


Properties 에서 시작주소를 0x0 으로 해주니 정상대로 나온다.


췟.. 플래시 로더 안 넣었다고 못 만드네 아무튼 넣고 만드니 8MB 자리 jic 통~


구워는봤는데 안되네..

귀찮아서.. (!) Nios II 이미지인 sof를 그냥 jic에 넣어서 그런가.. 똑같이 hex로 변환해서 넣어야 하나?


sof는 jic로 변환한 내용 처음에 0xff로 시작한다.

합친건데.. 이미지 순서가 아마 반대로 들어온 듯 하다..


프로그램이 앞에 들어가있고 그 이후에 sof 내용이 들어있다.

(쭈욱 내려보면 sof파일의 내용이 시작하는 부분이 보인다)



---

sof2flash --input=<hwimage>.sof --output=hwimage.flash --epcs --verbose

elf2flash --input=<elf file>.elf --output=swimage.flash --epcs --after=hwimage.flash --verbose


nios2-elf-objcopy -I srec -O ihex hwimage.flash  hwimage.hex

nios2-elf-objcopy -I srec -O ihex swimage.flash  swimage.hex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knowledge-base/solutions/rd12092009_471.html]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knowledge-base/solutions/rd10132010_126.html]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tera Nios II, epcs controller  (0) 2018.01.29
Nios II / Nios II Classic 차이점  (0) 2018.01.29
Nios II 이미지 합치기 (조사)  (0) 2018.01.27
Nios II 프로그램 빌드..  (0) 2018.01.27
Nios II 명령어 관련 조사  (0) 2018.01.26
Posted by 구차니

솔찍히 여전히 비트 코인을 앞에 내세운 암호화 화폐에 대해서 모르겠다.

무엇이 "암호"이고

왜 이 망할(?) 블럭체인과 암호통화에 목숨을 거는지 말이다.


일단 딴지 걸 부분은

암호화(crypto-)와 분산화에 따른 기대감


암호화는 어떠한 내용을 타인이 알아보기 힘들게 만드는 것이고

요즘의 암호들은 단순했던(?) 고대 암호와는 다르게 수학과 비트단위 연산을 기반을 삼는다.

그리고 암호는 양방향과 단방향 암호가 있고

공개키와, 대칭키 암호 방식등으로 나뉘는데


도대체 비트코인에서 사용하는 고작(?) SHA-256 해시를 가지고

링크드 리스트로 구현한 구현체들 사이에서 어떠한 부분이 cryptography에 속하는지 모르겠다.

단순하게 해싱 함수를 이용한다고 암호화폐라면.. 너무 마켓팅적인 용어 아닐까?


그리고

decentralization에 대한 기대.

공유지의 비극으로 요약되는 상황이 기대되는데

"모두의 책임은 아무의 책임도 아니다" 이게 내가 주장하고 싶은 내용이다.

51% 공격 이야기도 있는데

전제는 이러한 시스템을 유지하며 얻는 신뢰의 비용이 조작을 하는데 드는 비용보다 적기에

시스템이 유지된다고 하지만, 반대로 그 시스템에 기반을 두지 않은 외적인 비용이 보상이 된다면

또 다른 충돌과 전쟁으로서 국가대 국가로 51%를 점령해서 상대 통화 자체를 무력화 시키는게

물리적 충돌-전쟁-보다 이득인 상황이라면 충분히 중앙통제가 없는 상황에 난입하여 파괴공작하는 것도

매우 비용이 낮게 산정이 될 것이고, WMD 처럼 어떠한 합의가 없는 이상

핵보다 싼 대량 살상무기로서 국가가 국가를 죽이는데 이용되지 않을까 한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공격하는데 국가적 역량이 필요하다면

즉, 값싸고 손쉬운 전쟁으로서 금융전쟁 시즌 2(?)가 진행될 수 밖에 없겠지.

(누군가 피 흘리고 쓰러지는 것이 아니니, 그리고 내가 속한 쪽이 당하는게 아닌 타국이라면 더더욱)


그리고 분권화로 인해, 의사소통 비용의 증가되고

해당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집중화된 시스템에 비해서 장점이 없다면

도대체 왜 이걸 차세대 통화로서 각광 받아야 한다고 이야기 하는 걸까?


현재 은행시스템의 결제 수수료는 반대로

해당 시스템을 유지/운용해나가는데 필요한 비용이고, 분권화로 인해

P2P 거래로 수수료가 낮아진다고 하지만, 현재 bitcoin 버블로 인해서

현행 주식과 다를바 없는 버블이 없는 상황이라면 "거래소만 돈을 버는" 기존의 패러다임을

하나도 벗어나지 못하고, 개선사항이 하나도 없는

오히려 평균 거래 시간과 수수료만 더 드는 


공유지의 비극과, 의사사통 비용의 증가로 인한

사회전체 네트워크 비용만 사회에 전가하는게 아닐까?

다르게 보면.. 지하철 실버퀵이네.

무상승차를 악용하듯, 망 중립성을 악용하여 다른 쪽에서만 돈을 버는 컨텐츠 사업자라는 시선과 비슷하게 말이다.

(어떻게 보면 비트코인으로 인한 네트워크 대역폭 점유는, ISP들에겐 제 2의 유튜브 악몽수준이 될지도 모르겠다)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ryptography]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ryptocurrency]


+

머.. 해시도 암호학에서 나온 내용이다 라고 하지만..

글쎄 암호학에 나오는 내용을 이용한다고 해서 그게 암호화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링크 : https://medium.com/@louislapat/cryptography-for-cryptocurrency-430e676d997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