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키워드가 티스토리의 유입 키워드와 비슷한 개념인데

구글은 SSL 지원하면서 키워드를 알 수 없어 (not provided)라고 뜬다고 한다.



[링크 : http://gammafive.tistory.com/67]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페이지 호스팅 결제  (0) 2018.02.19
어? 티스토리 이상하다?  (0) 2018.02.08
블로그.. 카테고리 주제 설정시 자동 공개?  (0) 2018.01.24
네이버 기부  (0) 2018.01.22
티스토리 희한한 버그 발견  (0) 2018.01.1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8. 2. 5. 23:46

라즈베리 2 + 카메라 상태인데


시놀로지 USB에 꽂아두니

500GB USB 외장 하드가 인식을 못하네..

뽑고 나서도 조금 불안정한 수준


흐음.. 접촉 불량일까 소비전력 문제일까?

딱히 공식자료로 최대 전류 내용을 찾지는 못함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18. 2. 5. 14:24

MATCH와 INDEX로 조금 도배를 했더니

한 10초 넘게 버벅대는 경우가 발생해서찾아 보는데

별 방법은 없을듯...

그렇다고 VLOOKUP으로 돌아가자니 정확도가 문제고... 끄응..

다중조건 검색용 VLOOKUP을 써야하나?



조회로 인해 계산에서 중요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조회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정확히 일치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함수 계산 시간은 일치하는 항목이 발견되기 전까지 검사하는 셀 수에 비례합니다. 넓은 범위를 조회하는 경우에는 이 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습니다.


정렬된 데이터에 대해 VLOOKUP, HLOOKUP 및 MATCH의 유사 일치 옵션을 사용하면 조회 시간이 단축되며 조회 대상 범위의 길이에 따라 조회 시간이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조회 특성은 이진 검색과 동일합니다. 


VLOOKUP과 INDEX 및 MATCH 또는 OFFSET 비교

VLOOKUP 대신 INDEX 및 MATCH 함수를 사용하십시오. VLOOKUP은 속도가 약간 빠르고(약 5% 더 빠름) 간편하며 MATCH와 INDEX 또는 OFFSET의 조합에 비해 메모리도 적게 사용합니다. 그러나 MATCH 및 INDEX는 VLOOKUP에 비해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정확한 MATCH의 결과를 셀에 저장한 다음 여러 INDEX 문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office/ff726673(v=office.14).aspx]

    [링크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office/ff700515(v=office.14).aspx]

    [링크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office/ff700514(v=office.14).aspx]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18. 2. 5. 14:20

읭.. 이거 단축키가 있었어?


자동 계산 -  변경 시 수식이 자동으로 다시 계산됩니다.

수동 계산 -  사용자가 F9 키를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요청하는 경우에만 수식이 다시 계산됩니다.

[링크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office/ff700515(v=office.14).aspx]


도구 - 옵션 - 계산 - 자동/수동 으로 설정이 가능

[링크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968142]


파일 - 옵션 - 수식 -자동/수동

[링크 : https://blog.naver.com/blogkay2/30177688225]

'Microsoft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첫 줄 반복하도록 인쇄하기  (0) 2018.02.07
엑셀 성능 개선  (0) 2018.02.05
엑셀 index와 match 그리고 vlookup  (0) 2018.02.02
엑셀 N/A 조건부 서식으로 숨기기  (0) 2018.02.01
MS 워드 메일머지  (0) 2018.01.30
Posted by 구차니

요즘 전세계 적으로 me too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데

[링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30/2018013001857.html]

[링크 :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13&key=201712061603338926]


개인적으로 느껴지는 이 꺼림직함은

맹수에서 고기 덩어리로 전락한 존재에 대한 조롱을 기반에 두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물론 여자라서, 약자라서 이야기 못하다

누군가가 이야기를 꺼냄으로서(약자들 사이에서 그나마 강자)

자기와 동조화하고, 힘을 얻으며 자기 치유를 이끌어 내겠지만


반대로 자기 기억을 조작해 나가면서

(마음이란 교활해서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거짓 기억을 쉽사리 만들곤 한다)

누군가를 망가트리며 얻는 쾌감과 그 사람의 생사여탈권을 쥔다는 느낌, 즉 내가 그 자 보다 우위에 선다라는 점에서

악용의 소지로 인한, 그리고 운동 자체의 방향성에서 위험한 느낌을 받는게 아닐까 한다.


물론 지금까지 밝혀지는 영화감독이라던가 상사에 의한 성추행을

옳다는 긍정하는 것은 아니며 죄를 경감하거나 감싸려는 것은 아니지만

타인에 의해 주입당한 가짜 기억으로 인해 엉뚱한 사람이 피해를 입거나

(속담에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

[링크 : http://scienceon.hani.co.kr/?document_srl=118328]

필요 이상으로 허위 진술들로 인해 가중 처벌 당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어떤식으로 보면 네트워크 상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현상 자체는

고발의 형태를 띄지만 체험의 네트워크를 통한 기억의 동기화를 통해

과장되고, 포장되며, 휘둘러질 가능성이 너무 높아 보인다.


일단 무고라고 하더라도, 그 사람의 사회적 생명 자체는

여자에 의해서 내질러진 상황에서 끝나버리고, 사람들에게 진위는 중요하지 않으니 말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

문장 그대로, 죽은 사람은 말을 할 수 없다로 해석을 할 수도 있지만

죽여 버리면 억울하게 덮어 씌우더라도 해명할 수 없기에 더 이득이다 라고 해석 될 수도 있다.


여자들의 공감능력을 바탕으로 벌어지는

이번 me too 운동에 대해서는 솔찍히 대세를 탔기에 거스를 순 없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이 든다.


+

기사를 검색하다 보니 유사한 논조가 조금 보이긴 한다.

[링크 : http://www.huffingtonpost.kr/2018/01/17/story_n_19019788.html]

[링크 : http://news.joins.com/article/22276976]

[링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0/2018011000655.html]


국내 기사로는 일부 보수층에.. 라는 식으로만 나오네

[링크 : http://v.media.daum.net/v/20180205103948357]


+

[링크 : http://v.media.daum.net/v/20180205115702338]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2. 4. 21:29

설마.. 리셋 안걸어 줘서 그런건 맞겠...지?!?!

QSYS와 SOPC 예제를 보니 이게 들어있네..

에이.. 설마.. 아니길 빌지만..

찔리는게 너무 많다...... ㅠㅠ


//=======================================================

//  Structural coding

//=======================================================


assign reset_n = 1'b1; 


sof + Run As로는 그럼 왜 돈거야?

자체적으로 리셋을 걸어주는건가?


2018.02.05

해보니.. 여전히 플래시 굽기는 실패..

도대체 머가 문제일까..


+

흐음.. 과연...?

You need change in Pin Planner:


DRAM_LDQM to DRAM_DQM[0]

DRAM_UDQM to DRAM_DQM[1]


and


DRAM_BA_0 to DRAM_BA[0]

DRAM_BA_1 to DRAM_BA[1]



And then, you can assign these pins to your Nios II as buses.


DRAM_DQM[1..0]

DRAM_BA[1..0]


You must do this because Nios II in SOPC Builder 9.1 SP2 has buses for these connections to the SDRAM  

[링크 : https://www.alteraforum.com/forum/showthread.php?t=4984]


+

전에 무시하고 지나간 사항인데..

플래시에 굽다 보니.. Run AS로 램에서 돌리는거랑은 다르게

reset vector가 EPCS로 되어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드네

Nios® II Boot from EPCQ or EPCS in Quartus® II 13.1

Workaround/Fix

3.      Make sure the Nios II’s Reset Vector is pointing at EPCS/EPCQ Controller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knowledge-base/solutions/rd11192013_118.html]


Nios II Processor Application Copied from EPCS Flash to RAM Using Boot Copier

The EPCS address space is not mapped into the Altera Avalon EPCS Flash Controller’s Avalon MM slaveinterface. Instead, read or write accesses are done through CSRs. Upon system reset, the EPCS device needs to be initialized before usage.

For these reasons, the EPCS controller-based boot copier is required for initializing the EPCS device and copying the Nios II application to RAM for execution.

The EPCS controller instantiates a block of boot ROM internally at its base address (offset 0x0, just before EPCS controller’s CSRs) for storing the boot copier. Nios II reset vector offset must set to EPCS controller base address, such that upon system reset the boot copier is executed first to initialize the EPCS controller and device.

[링크 : https://www.altera.com/en_US/pdfs/literature/ug/niosii_generic_booting_methods.pdf]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0-nano communicate pc 로 검색결과  (0) 2018.02.14
Nios II 관련 링크  (0) 2018.02.13
clock bridge  (0) 2018.02.03
끄아아아아아 EPCS 안돼 ㅠㅠ  (4) 2018.02.03
Nios II EPCS 및 SDRAM  (0) 2018.02.0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8. 2. 4. 15:56

IO 성능이 후달리는 ARM 계열에서는 별 의미없나?

오후 3:54 2018-02-04 53.53%

오후 4:05 2018-02-04 54.96%

오후 4:19 2018-02-04 56.69% 

오후 4:23 2018-02-04 57.15%


10:53:17에 시작해서 15:54:00 에 53.53%인데

5시간에 약 50% 시간당 10.7%

근데 설정을 해주어도 웹으로 보고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7.24%/시간 정도 예상되네..

머야 도대체.. ㅠㅠ

오후 6:21 2018-02-04 75.30% 

두시간 만에 18.15% 증가. 라고 하면 많이 보이긴 한데 앞서 크게 빨라졌다고 하긴 애매하네



$ sudo -i


We trust you have received the usual lecture from the local System

Administrator. It usually boils down to these three things:


    #1) Respect the privacy of others.

    #2) Think before you type.

    #3) 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


Password:

# echo 200000 >> /proc/sys/dev/raid/speed_limit_min

# cat /proc/sys/dev/raid/speed_limit_min

200000

# cat /proc/mdstat

Personalities : [linear] [raid0] [raid1] [raid10] [raid6] [raid5] [raid4]

md2 : active raid1 sda3[0]

      3902196544 blocks super 1.2 [1/1] [U]


md3 : active raid1 sdb3[0]

      3902196544 blocks super 1.2 [1/1] [U]


md1 : active raid1 sdb2[1] sda2[0]

      2097088 blocks [2/2] [UU]


md0 : active raid1 sda1[0] sdb1[1]

      2490176 blocks [2/2] [UU]


unused devices: <none> 


[링크 : http://11q.kr/g5s/bbs/board.php?bo_table=s11&wr_id=1614]

[링크 : https://www.synology.com/.../How_to_login_to_DSM_with_root_permission_via_SSH_Telnet]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8. 2. 3. 21:03

디스크 2를 교체했더니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건가?


그나저나 저 시스템 파티션이 머하는건진 모르겠지만

DISK 1, DISK 2 위치 바꾸고 그러다 보니

바탕화면에 파일 스테이션 바로가기도 막 사라지고 난리임

아마도 그런 정보가 시스템 파티션에 저장되고

DSM 자체는 시놀로지 본체 FLASH에 저장이 되는 듯?

(하드 다 뽑고도 부팅이 잘만 됨)


[링크 : http://likehood.net/230]


너무 심플하게 누르세요 정도로 끝.. 아니

시스템 파티션이 머하는 애냐고~ ㅠㅠ

[링크 : https://originwww.synology.com/.../volume_diskgroup_repair]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torage2018. 2. 3. 20:55

아무생각 없이 처음에 4T + 2T로 구성하다 보니 SHR로 되었는데

2T 하드가 슬슬 맛이 가는 징조가 보여 교체하니 문제가 발생한다.


1. 디스크 2를 2T에서 4T로 꽂으니 SHR로 구성되며 두개 하드 동기화

2. 4T다 보니. 한 10시간 걸린듯.. 망할

3. 하드 하나 뽑고 끄고 설정해서 쓰려니.. SHR 인데 문제발생 상태라 켜지면 계속 삑삑댄다 -_- 줸장

4. 결국에는 SHR 구성해서 RAID1 할게 아닌, 나 처럼 가난한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기본'으로 설정하는게 낫다

5. 물론 데이터 안정성은 맛동산 넘어 즐거운 파티...

6. 아무튼 4T + 2T SHR은 6T로 오류해결 기능 0로 설정이 되는 듯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2. 3. 16:08

Nios II에서 EPCS가 안되서 QSYS 버전의 예제를 보니

Clock Bridge라는게 있어서 검색해 보는데..

그냥 PLL에서 나오거나 50MHz 클럭 소스 바로 연결해주면 안되는 건가?


[링크 : https://www.altera.com.cn/zh_CN/pdfs/literature/hb/qts/qsys_system_components.pdf]

'embeded > FPGA - ALT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os II 관련 링크  (0) 2018.02.13
Nios II 안된 이유가.. 설마..  (0) 2018.02.04
끄아아아아아 EPCS 안돼 ㅠㅠ  (4) 2018.02.03
Nios II EPCS 및 SDRAM  (0) 2018.02.03
altera speed grade  (0) 2018.02.03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