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FPGA - XILINX2018. 3. 15. 15:52

Implementing SMPTE SDI Interfaces with Artix-7 FPGA GTP Transceivers

[링크 : https://www.xilinx.com/support/documentation/application_notes/xapp1097-smpte-sdi-a7-gtp.pdf]


순서도 약자도 모르겠다.

일단 대충 정리하면 아래정도 순서가 되려나?

GTP(3.2~6.6Gbps)

GTR(6.0Gbps)

GTX(12.5Gbps)

GTH(16.3Gbps)

GTZ(28.05Gbps)

GTY(32.75Gbps)

GTM(58.0Gbps)


7 Series and 6 Series(Spartan)

GTP(3.2~6.6Gbps) Power optimized

GTX(12.5Gbps) low jitter and strongest qualization 이니 Xtrong(던킨 커피냐!) 인가?

GTH(16.3Gbps) High performance

GTZ(28.05Gbps) Jitter니까 Z?


UltraScale

GTR(6.0Gbps) integRated? pRotocol?

GTH(16.3Gbps) High performance

GTY(32.75Gbps) X 다음꺼라 Y?

GTM(58.0Gbps) Maximum performance


  • UltraScale+ GTR (6.0 Gb/s): Easiest integration of common protocols to the Zynq Processor Subsystem
  • UltraScale+ GTH (16.3 Gb/s): Low power & high performance for the toughest backplanes
  • UltraScale+ GTY (32.75 Gb/s): Maximum NRZ performance for the fastest optical and backplane applications; 33G transceivers for chip-to-chip, chip-to-optics, and 28G backplanes
  • UltraScale GTH (16.3 Gb/s): Low power & high performance for the toughest backplanes
  • UltraScale GTY (30.5 Gb/s): High performance for optical and backplane applications; 30G transceivers for chip-to-chip, chip-to-optics, and 28G backplanes
  • UltraScale+ GTM (58 Gb/s): Maximum performance using PAM4 for 58G chip-to-chip, chip-to-optics, and backplane applications
  • 7 Series GTP (6.6 Gb/s): Power optimized transceiver for consumer and legacy serial standards
  • 7 Series GTX (12.5 Gb/s): Lowest jitter and strongest equalization in a mid-range transceiver
  • 7 Series GTH (13.1 Gb/s): Backplane and optical performance through world class jitter and equalization
  • 7 Series GTZ (28.05 Gb/s): Highest rate, lowest jitter 28G transceiver in a 28nm FPGA
  • Spartan-6 GTP (3.2 Gb/s): Power and cost optimized transceiver for cost-sensitive applications


아무튼.. 웬지 조만간 쓸모없이 이런거 해볼지도...?!

[링크 : https://www.xilinx.com/products/technology/high-speed-serial.html]

  [링크 : https://www.xilinx.com/support/documentation/user_guides/ug482_7Series_GTP_Transceivers.pdf]

  [링크 : https://www.xilinx.com/support/documentation/user_guides/ug476_7Series_Transceivers.pdf]


공식적인 약어는 없다는데

[링크 : https://forums.xilinx.com/t5/Virtex-Family-FPGAs/What-does-GTP-GTX-stand-for/td-p/18238]


RocketIO를 흡수하면서 생겨난 기술이라. 

그걸 추적하면 무언가 있을거 같은데 찾기 귀찮음..

'embeded > FPGA - XILIN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vado device constraint  (0) 2018.03.20
vivado language template  (0) 2018.03.20
xilinx zynq와 altera cyclone V 용어비교  (0) 2018.01.30
xilinx bitstram ecryption  (0) 2018.01.23
xilinx artix-7 프로젝트 빌드해봄  (0) 2018.01.07
Posted by 구차니

가부장제는

할 수 있는 사람이 한다와는 좀 거리는 멀지만

누군가가 책임을 진다. 책임 질 수 있는 사람이 감독을 한다. 개념 아니었던가?


즉, 가정을 책임 지는 사람이 '부' 인것이고

누군가의 감독하게 일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를 보는 것인데

단지 그 대상이 남자인 아버지 일뿐

누군가의 책임과 희생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희생자일 뿐일텐데..

(책임 선상에서 배제된 남성들이 책임을 거부하면 어떻게 될까라는게 조금 궁금하긴 하다.)


다르게 보면 남자로, 아버지라는 이유로 모든 책임이 지워진다. (강요된 책임)

그 책임에 맞춰서 능력을 키워야 하고

그러지 못하는 남자는 남자로 인정되지 못하는 드러운(?) 시스템

그게 가부장제 인데


페미니즘 책에서는 가부장제 언급 자체를 하지 않는 것 부터가 문제라는 인식이다.

[링크 : http://v.media.daum.net/v/20180315110804923]



+

출근길에 책을 보다 보니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 벨 혹스)

가모장제 이러면서 모 연예인을 부각시키는 현재 상황이 떠오르는데

그러지 못한 현재 상황을 비틀면서 오는 유머인 것이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반증일지도 모르겠다.


+

퇴근길 ㅋㅋ

가부장을 없애는 법으로

여자가 시스템을 유지할 책임을 지는 가모장과

누구도 책임지지 않아도 될 새로운 시스템 이라는 선택지


그리고 책임을 대신 져줄 ai의 탄생으로

기계장치의 신에게 가부장제는

여성으로 대체가 아닌

기계로의 대체로

가부장에 기반을 둔 책임 시스템이 붕괴된다면

앞으로의 시대는 어떤방향을 향하게 될까?


책임수습의 부모-아이 모델에서

기계-애완인간 모델로 전이되고

인간은 책임에서 벗어나 진정한 평등으로 다가가지만

인간에서 멀어지게 되는걸까?


+

중앙집중식와 분산식

요즘 화두이긴 하지만, '장'에 의해서 이끌려서 구성원의 책임이 없어지거나

개별 구성원의 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장에 의해서 적절하게 사용됨으로서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게 되는 게 썩 나쁜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분산의 경우에는 개인 개인이 장에 준하는 능력을 모두 갖추어야 하고

게임의 법칙을 모두가 숙지한채로 모든 구성원이 높은 수준으로 동기화 되어

적절하게 행동을 해야 한다.


책임의 분산이 역설적으로 전체 시스템에서의 책임의 총량이 늘어나는 딜레마라고 해야하나

그런 의미로 가부장제는 책임을 아버지에게 돌림으로서

구성원의 책임을 덜어내던 장점이 있었었지도?


아무튼 현재 상황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만큼

분산된 책임이 유리할지는 미지수이고

역사적으로도 모두의 책임은 아무의 책임도 아니게 된 경우가 빈번했기에

인류의 지성이 상위단계로 업그레이드 되기 전에는 요원하다고 보여진다.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8. 3. 15. 11:39

웨비나 보는데 첨보는 단어가 나와서 검색...

액티브는 능동 소자가 들어가는 만큼 전압범위가 좁지만

캐패시턴스가 적어서 더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이런 내용

(기가 단위까지 측정, 하지만 정전기나 전기 범위에 민감함)


패시브 전압 프로브

패시브 프로브는 와이어와 커넥터, 그리고 보상 또는 감쇠가 필요할 경우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됩니다. 트랜지스터 또는 증폭기와 같은 능동 컴포넌트가 없으므로 프로브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액티브 전압 프로브

액티브 프로브는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존하여 작동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능동 장치로는 FET(Field-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됩니다.


디퍼런셜 프로브

디퍼런셜 신호는 대지 접지가 아니라 서로를 기준으로 삼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그림 2.3에 이러한 신호의 몇 가지 예가 나와 있습니다. 여기에는 컬렉터 부하 저항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 디스크 드라이브 읽기 채널 신호, 다중 위상 전력 시스템, 기타 신호가 본질적으로 접지 위에서 "플로팅"하는 다수의 상황이 포함됩니다


고전압 프로브

"고전압"이란 용어는 상대적입니다. 반도체 업계에서 고전압으로 간주되는 전압이 전력 업계에서는 사실상 아무 것도 아닐 수 있습니다. 여하튼 프로브와 관련해서는 고전압을 일반적인 범용 10X 패시브 프로브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www.sambow.com/files/60K-6053-12_2012.11.14.19.33.08_2329_KO.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hine cycle 과 clock cycle  (0) 2018.04.06
반가산기 전가산기  (0) 2018.04.05
buck boost 컨버터 효율...  (0) 2018.02.09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opto-isolator  (0) 2018.01.10
Posted by 구차니

와이브로 광고

[링크 : http://changeup.wibro.kt.com/pop/notice.do]


직영온라인 구매 이벤트 페이지

[링크 : http://shop.kt.com/display/olhsPlan.do]


슬림에그 페이지

[링크 : http://shop.kt.com/smart/productView.do?prodNo=WL00044813]




+

080-200-1043 (무료)

올레 에그 고객센터 -> 직영온라인 혜택이 아니기에 보조 배터리 증정 없음

2만원 emart 상품권 제공

(고객센터는 02-2040-5000번으로 전화가 옴)


직영온라인 페이지의 경우에는

혜택 1 - 보조 배터리 10000mAh(고사리) - 최저가 기준 22500 + 2500부터 시작 

혜택 2 - GS모바일 주유권 / 해피머니 / 해피콘 3종중 택 1 2만원권 제공

이벤트(?) - 샤오미 백팩

[링크 : http://shop.kt.com/smart/agncyBenefitView.do?prodNo=WL00044813&vndrNo=YS20009]

직영온라인에서 전화구매 예약하면

1588-8001 번으로 문자가 옴


5500원 할인은 프로모션이기에 기존 wibro 사용자는 24개월간 혜택받음

24개월 이후에는 고객센터 연락시 25% 할인 받을 수 있다고 함(고객센터 전화내용)



+

KT Shop 고객센터 1588-8001(유료), 080-515-9000(무료)

[링크 : http://shop.kt.com/main.do]

'개소리 왈왈 > 모바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egg 도착!  (4) 2018.03.24
슬림 에그 인터넷 신청은 실패 -_-+  (4) 2018.03.22
블루투스 동글 + win7 + 노트2  (0) 2018.03.07
에그 강제 광고?!  (0) 2018.03.02
에그가 죽을때가 되었나..  (2) 2018.02.27
Posted by 구차니

긴장이 좀 풀려서 그런가

수검받는 날이라 몸이 훅~가네


아무튼 일단락 지었으니

추가조치 하다 보면 또.. 얼마나 시간이 훅 가려나



숫자로는 봤지만 인지하지 못했는데

벌써 3월이 반이나 갔네...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일하기 싫다  (0) 2018.03.22
왕피곤..  (0) 2018.03.17
오늘 집에 갈수는 있으려나..  (0) 2018.03.13
완전 방전 ㅠㅠ  (2) 2018.03.11
두통온다  (0) 2018.03.09
Posted by 구차니

한동안 D링 바인더와

A4 용지와

프린터와

엑셀을 보면 토하는 병이 생길 듯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피곤..  (0) 2018.03.17
배터리 방전  (0) 2018.03.14
완전 방전 ㅠㅠ  (2) 2018.03.11
두통온다  (0) 2018.03.09
기술유출과 열정페이의 경계선은 어디일까?  (0) 2018.03.0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8. 3. 12. 17:52

이러다가 서비스 종료! 하는거 아니겠지?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50 3.7V 배터리 쓰는 선풍기 분해  (0) 2018.04.21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 차우차우 편  (0) 2018.04.05
와 신천지  (0) 2018.02.03
연고 크림 차이?  (0) 2017.11.19
사마귀 수술  (0) 2017.11.17
Posted by 구차니

지친다 ㅠㅠ


봄이라 그런가?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 방전  (0) 2018.03.14
오늘 집에 갈수는 있으려나..  (0) 2018.03.13
두통온다  (0) 2018.03.09
기술유출과 열정페이의 경계선은 어디일까?  (0) 2018.03.06
회사 창고 정리!  (0) 2018.03.06
Posted by 구차니
게임2018. 3. 10. 22:31

이번에 로고송 비스므리한게 생겼는데

중복성 쩔어서 핸폰 벨소리로 셋팅 ㅋㅋㅋ


[링크 : http://friends-marble.kakaogame.com/libs/front/download/original_30s.wav]

    [링크 : http://friends-marble.kakaogame.com/]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데이 스팀버전 한글패치  (0) 2019.07.17
DCS World 해봄  (4) 2018.04.08
bless 10분...?  (0) 2016.01.27
bless 캐릭생성!  (0) 2016.01.21
요즘 빠진 게임 - 로보크래프트  (0) 2014.08.07
Posted by 구차니
게임/컨트롤러2018. 3. 10. 19:08

HOME 꾸욱 눌러서 끈 다음

Start + 안드로이드 눌러서 PC 모드로 설정하니 아래처럼 XBOX360 으로 설치된다.


귀찮기도 하고 하니.. 일단 PC에서는 USB로 연결해서 (무선인데 불구하고!)

두개 인식시키고 MAME 돌리니 잘되긴 하는데

1번 조이스틱으로 EX M AIR가 인식되는 것 같다(꽂는 순서를 바꾸어 봐도)

CYVOX가 우선권이 낮은 이유는 멀까나...


[링크 : http://www.joytron.co.kr/product_view.php3?kind=&skind=&f_num=698]

[링크 : https://blog.naver.com/zmsgfc/220230959965]


+

2018.03.11

CSR4.0 BT 동글이랑 연결을 하려니

안드로이드 모드로 켜서(안드로이드 + X버튼) 페어링을 해야 한다.

PC 모드는 USB로 연결할때만 XBOX360으로 인식하는 듯?




+ 2018.03.07

홈페이지에서 메뉴얼을 보니 모드 변경이 4가지로 PC 모드는 유선으로만 가능하다고 한다.



'게임 > 컨트롤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이트론 두고보자.. ㅠㅠ  (2) 2018.04.09
track IR  (2) 2018.04.08
으으.. 조이스틱 망가졌네 ㅠㅠ (joytron air twister FX)  (0) 2018.04.08
joytron cyvox  (0) 2018.03.03
로지텍 드라이빙 GT 겟!  (0) 2014.10.02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