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차니즘으로 인해
vtigerCRM 5.2.0 버전에 대한 en_us.lang.php 들을 모아놨다.

일괄적으로 바꾸어서 한글로 번역시작해야 할 듯 -_-




--- 덧붙임 ---

1. 일단 manifest.xml 의 <prefix>ko_kr</prefix> 부분과 lang/ko_kr.lang.php 가 맞아야 한다.
    (즉, prefix에 ko 라고 넣었다면 파일이름은 ko.lang.php가 되면 된다.)
2. 그리고 해당 파일을 ANSI가 아닌 UTF-8로 저장을 해야 브라우저에서 제대로 나온다.



사족 : 회사 사람들 쓰라고 떡밥 던졌다가 떡밥이 커지는 기묘한 현상 -_-
Posted by 구차니
TRAC의 SVN 통합된 버전으로 받을수 있으며
[링크 : http://trac.vtiger.com/svn/vtiger/vtigercrm/trunk/]

일본어 언어팩을 받아서 분석(?) 해보니
manifest.xml 파일과 번역된 파일만 존재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일본어 언어팩 manifest.xml 파일)
<?xml version="1.0" ?>
- <module>
  <type>language</type>
  <name>Japanese</name>
  <label>Japanese ( 日本語 )</label>
  <prefix>ja</prefix>
  <version>5.2</version>
- <dependencies>
  <vtiger_version>5.2.0</vtiger_version>
  <vtiger_max_version>5.*</vtiger_max_version>
  </dependencies>
- <license>
- <inline>
<![CDATA[
 ********************************************************************************
* The contents of these fileis are subject to the Mozilla Public License Version 1.1
*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 WITHOUT WARRANTY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right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
* Language : Japanese
* Version : 5.2
* Author : vtigerCRM.jp
* Site : http://www.vtigerCRM.jp
********************************************************************************
  ]]>
  </inline>
  </license>
  </module>

[링크 : http://wiki.vtiger.com/index.php/Vtiger_CRM_CVS_Repository_Access]
[링크 : http://wiki.vtiger.com/index.php/vtiger520:Language_Pack_Guidelines]
Posted by 구차니


blame은 "비난하다 / 책임을 묻다" 라는 의미가 있는데
대부분은 비난하다로 이해를 하다보니 svn에서 모호한 용어중에 하나였다.
서브버전 책을 읽다보니, blame은 cvs의 annotate(주석을 달다) 에서 온 기능이라는데

정확하게는 아래와 같이
$ svn help blame
blame (praise, annotate, ann): 지정한 파일이나 URL의 내용의 수정내역을
각 라인별로 리비전과 작성자를 보여줍니다.
사용법: blame TARGET[@REV]...

  REV가 지정되면, 지정된 REV에서부터 찾아 보여줍니다.

라인별로 변경점을 리비전과 작성자와 함께 보여준다고 한다.
아무튼 blame의 어감이 부정적이라 praise(칭찬/찬양하다) 라고 한다는데
이래저래 기능에 비해서 적절하지 않은 용어인듯 -_-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export 2가지 방법  (2) 2010.11.22
svn export 와 checkout의 차이점  (0) 2010.11.18
apache2 리눅스 계정으로 인증하기(PAM)  (0) 2010.11.11
Apache + SVN on Ubuntu 10.04  (0) 2010.11.03
visualSVN  (0) 2010.09.09
Posted by 구차니
오늘은 수요일! = 토마토 저축은행 오후 9시 까지 여는날!

웬만한 버스는 전부지나가는 길목이니

오랫만에(!) 칼퇴해서 계좌나 하나 개설하러 가야겠다

[링크 : http://www.tomatobank.co.kr/index.asp]


근데 토마토 사원들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12시간을 하는건가?!
우에엑!!!
Posted by 구차니
회사에 입사하고 이제 2달 하고 2주일 -_-

직위도 낮고 무언가 하기에는 항상 눈치 보이는 나이인지라
이것저것 하자고 할수도 없는 위치이지만..


이 회사는 10년을 이렇게 매출을 벌면서 버틴게 신기하다고 할정도로
업무 프로세스 꼬일대로 꼬인상황
몇몇은 죽을 정도로 빡시고 나머지도 만만찮게 빡신데
도대체 어떻게 돌아갔을까? 이런 생각이 드는데

암튼, vtigerCRM 과 SugarCRM 중에 일단 직관적으로 메뉴에 눈에 들어오는 vtigerCRM을
선택하여 살곰살곰 떡밥을 던지고 영업부서에 투척을 해놓고 물기를 기다리는중 -_-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관두고 싶은 하루  (0) 2010.11.25
토마토 주세요!  (2) 2010.11.17
컴퓨터가 징징징 ㅠ.ㅠ  (2) 2010.10.19
30분 동안에 있었던 사건/사고들  (0) 2010.10.09
커피  (4) 2010.09.29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Mantis2010. 11. 15. 15:34
mantisbt/config_defaults_inc.php
파일에서 기본은 PHPMAILER_METHOD_MAIL 로 되어 있었는데
회사에서 사용하는 SMTP 서버가 존재한다면 PHPMAILER_METHOD_SMTP로 설정하면 간단히 끝난다.

회원가입이라던가 이런것들을 메일로 처리하기 때문에
반드시 메일은 설정해주어야 한다.

 476         /**
 477          * select the method to mail by:
 478          * PHPMAILER_METHOD_MAIL - mail()
 479          * PHPMAILER_METHOD_SENDMAIL - sendmail
 480          * PHPMAILER_METHOD_SMTP - SMTP
 481          * @global int $g_phpMailer_method
 482          */
 483         $g_phpMailer_method             = PHPMAILER_METHOD_SMTP;




[링크 : http://zziuni.pe.kr/myproject/entry/Mantis-SMTP-설정]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1. 15. 01:23
예전에 draco님 블로그에서 본 느낌인데..
아무튼 추가하고 나서 발견한 놀라운 사실!

AMD 4200+x2 인데.. CPU 속도 조절이 가능한듯?!
노트북이 아니라 데스크탑인데도 말이다!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1. 15. 00:02
SLI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SLI를 끄고(ASUS 기준 Single Video Card 모드로)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한 다음 다시 BIOS에서 Dual Video Card나 AUTO 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일단 2010.11.15일 기준
Ubuntu에서 설치되는 리눅스용 nVidia 드라이버의 버전은 195 버전이다.
CUDA를 돌리기 위해서는 새로 받아서 설치해야할듯 -_-
그리고 SLI로 인식을 해서 여러개 그래픽 카드는 나오지만, SLI 관련 설정은 보이지 않는다.


260 대로 바꾸어도 별 차이는 없는듯 -_-

일단 내꺼는 아래와 같은데.. bad 의 경우 같은 느낌.
$ lspci | grep -i vga
04:00.0 VGA compatible controller: nVidia Corporation G84 [GeForce 8600 GT] (rev a1)
05:00.0 VGA compatible controller: nVidia Corporation G84 [GeForce 8600 GT] (rev a1)
$ lspci -t
-[0000:00]-+-00.0
           +-01.0
           +-01.1
           +-02.0
           +-02.1
           +-06.0
           +-07.0
           +-08.0
           +-09.0-[0000:01]----01.0
           +-0a.0
           +-0b.0-[0000:02]--
           +-0c.0-[0000:03]--
           +-0d.0-[0000:04]----00.0
           +-0e.0-[0000:05]----00.0
           +-18.0
           +-18.1
           +-18.2
           \-18.3


sudo nvidia-xconfig --sli=on 했다가 드라이버만 날아가네 -_-
머가 잘못된걸까?


[링크 : http://developer.download.nvidia.com/compute/cuda/3_2/drivers/docs/README_Linux.txt]

2010/11/01 - [Programming/CUDA / openCL] - SLI mode - AFR, SFR, AA
Posted by 구차니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의 박스 하나로 정리끝!

 $ sudo apt-get install webalizer
 $ sudo vi /etc/apache2/apache2.conf
    HostnameLookups On
 $ sudo vi /etc/webalizer/webalizer.conf
    LogFile         /var/log/apache2/access.log

 $ cd /usr/share/locale/ko/LC_MESSAGES/
 $ sudo rm webalizer.mo
 $ sudo wget "http://web.suapapa.net:8080/wordpress/wp-content/uploads/2008/01/webalizer.zip"
 $ sudo unzip webalizer.zip
 $ rm webalizer.zip

 $ sudo webalizer
 $ sudo crontab -e
    0 * * * * webalizer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웹어라이저는 한글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그러한 패치와 함께 매시간 마다 웹어라이저를 실행하여 /var/www/webalizer 에 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설정한다.

[링크 : http://www.webalizer.org/]
    [링크 : http://pchero21.com/79]
    [링크 : http://bobbyallen.wordpress.com/2007/01/16/install-and-configure-webalizer-on-ubuntu/]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xen2010. 11. 14. 21:55
설치해볼 날이 오려나?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Xen]
[링크 : http://ubuntu.or.kr/viewtopic.php?f=9&t=1379]

'프로그램 사용 > x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Xen on Ubuntu 11.10  (0) 2012.03.25
kvm - Kernel mode Virtual Machine  (0) 2012.03.06
xen 사용가능한 cpu 확인하기  (0) 2012.01.25
Intel ATOM cpu중 가상화 지원모델  (2) 2010.09.24
xen  (0) 2010.08.16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