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Network 장비2022. 6. 20. 16:32

SF/UTP라는 명칭은 ISO/IEC11801 명칭을 따르는 것이고

SFTP/ STP 등으로 산업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대충 보니.. 케이블 자체 실드, twisted pair 실드 로 나뉘는 듯

[링크 : https://www.universalnetworks.co.uk/faq/what-does-utp-s-utp-ftp-stp-and-sftp-mean/]

 

SF/UTP면 Twisted Pair 에는 실드가 없어야 하는데.. 표가 잘못된걸려나?

[링크 : https://www.icbanq.com/P008126501]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2. 13. 18:12

T+/- 와 T+/-를 연결해 주면 되는구나..

맨날 헷갈리네 -_ㅠ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2. 8. 14:35

무전원 컨버터들이 보이는데.. RI 핀을 통해서 받는건지

아니면 RX,TX 선에서 전기를 뽑아쓰는건진 모르겠네

 

 

9번 핀 RI 신호 250 mA +5 VDC 가 제공 됩니다.

[링크 : http://www.ezdaq.com/goods/view?no=366]

 

- RS232 제어 신호를 이용 무전원 동작 가능
- 무전원으로 사용이 간편하여 시험용으로 권장

[링크 : http://www.esysmall.com/detail_prod.asp?prod_Id=3736]

 

PC나 각종 시리얼장치의 RS232 커넥터에 연결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단 RTS, DTR 핀이 활성화 되어있어야 됨) 

[링크 : https://www.comfile.co.kr/download/etc/rs232auto_manual.pdf]

 

(8) RI (Ring Indicator)

: 상대편 모뎀이 통신을 하기위해서 먼저 전화를 걸어 오면 전화 벨이 울린다. 이때 이 신호를 모뎀이 인식하여 컴퓨터 또는 터미널에게 알려주는 신호이며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이 신호를 받게 되면 전화벨 신호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을 인터럽터 등을 통해서 호출한다.

[링크 : https://m.blog.naver.com/lhk0523/140141741583]

 

USB to RS232 재보니 4번, 7번 핀에 -6.4V가 뜨는데

4번은 DTR이고 7번은 RTS

4번 - 6번 꼬아서 연결하고, 7번 - 8번 꼬아서 연결하여 통신하는 것 같은데

4,7 과 GND 하면 12볼트 뺴낼수 있는건가?

 

[링크 : https://www.sollae.co.kr/ko/download/pds_files/an_flowcontrol_ko.pdf]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규격(S/UTP, SF/UTP)  (0) 2022.06.20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win10 시대의 pl2303HX 칩 (UART / TTL)  (0) 2021.01.28
채널 본딩...  (0) 2019.03.08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21. 1. 28. 17:14

위조칩으로 인해서 막은건 기억을 했는데

이제는 인식은 하되 장치명을 이상하게 띄우고

시리얼 포트를 연결하지 않게 나온다.

 

물론 리눅스는 그런거 없이 잘 됨 ㅋ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485 2선 연결  (0) 2021.12.13
rs232 to rs485 무전원 컨버터 전원공급 방법 RI(ring indicator)  (0) 2021.12.08
채널 본딩...  (0) 2019.03.08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iptime port trunk / link aggregation  (0) 2019.01.24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으으 얼마전에 검색하고 잊고 있던 단어인가...

망할(?) 10GbE NIC이 하나만 더 있었어도 고민을 안했을텐데..

4개 짜리 GbE만 서버에 꽂혀있어서 고민을 하는 중..


대개는 관리허브가 필요해서(L3) 못하는데 balance-alb 요건 허브없이 가능하지만

NIC에서 MAC을 변경할수있는 드라이버가 필요하다고..(이게 더 까다로워 보이는데..)

[링크 : http://www.mikrotik.co.kr/wiki/index.php/메뉴얼:Bonding#balance-alb]

[링크 : https://onecellboy.tistory.com/279]

[링크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6979680]


된다는겨 안된다는겨..

[링크 : https://access.redhat.com/.../deployment_guide/sec-configuring_a_vlan_over_a_bond]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과거 SSL이라고 불리우던 TLS는

하드웨어 가속을 받으면 더 빨라질 수 있는데 (AES-NI 의 2~3배 와는 비교가 안되는 듯?)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TLS_acceleration]



아래는 해당 제품군들의 솔루션? 이라고 해야하려나?

[링크 : https://manuals.gfi.com/en/exinda/help/content/exos/how-stuff-works/ssl-acceleration.htm]

[링크 : https://www.symantec.com/.../ssl-accelerators-how-ssl-acceleration-can-help-your-business-symantec]

[링크 : https://www.ibm.com/.../en/SSZLC2_8.0.0/com.ibm.commerce.admin.doc/tasks/tsesslaccel.htm]

[링크 : https://docs.kentico.com/.../configuring-ssl/ssl-accelerator-support]

[링크 : https://campus.barracuda.com/product/websecuritygateway/doc/53675822/ssl-accelerator-hardware/]

[링크 : https://knowledge.digicert.com/solution/SO9458.html]



+

실 제품을 좀 찾아보는데 가격이 잘 안보이네.. 아무튼 비싸다!


512-bit, 768-bit, 1024-bit, 1536-bit, and 2048-bit RSA public-key and private-key processing

512-bit, 768-bit, 1024-bit, 1536-bit, and 2048-bit Diffie-Hellman session-key generation

512-bit, 768-bit, and 1024-bit DSA signing and verification

SSL-MAC-MD5/SHA-1 and TLS-HMAC-MD5/SHA-1 authentication capability

DES bulk encryption capability with HMAC-MD5/SHA-1 

[링크 : https://cs.uwaterloo.ca/~brecht/servers/docs/PowerEdge-2600/en/Broadcom/Sslug/intro.htm]


Uses QuickAssist technology to provide up to 50 Gbps of hardware acceleration.1

With newly-released OpenSSL* 1.1.0 to deliver nearly 35,000 2K RSA TPS. 

[링크 : https://store.netgate.com/ADI/QuickAssist8955.aspx]


Asymmetric: RSA, DSA, Diffie-Hellma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DSA, ECDH, Ed25519, ECIES) with named, user-defined and Brainpool curves, KCDSA, and more

Symmetric: AES, AES-GCM, Triple DES, ARIA, SEED, RCS, RC4, RC5, CAST, and more

Hash/Message Digest/HMAC: SHA-1, SHA-2, SM3, and more 

[링크 : https://safenet.gemalto.com/data-encryption/hardware-security-modules-hsms/pci-hsm/]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10 시대의 pl2303HX 칩 (UART / TTL)  (0) 2021.01.28
채널 본딩...  (0) 2019.03.08
iptime port trunk / link aggregation  (0) 2019.01.24
iptime VPN 관련 펌웨어 버전  (0) 2018.05.14
tftp를 이용한 iptime 벽돌 복구  (0) 2018.05.14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9. 1. 24. 15:43

T24000 모델이 있어서 한번 설정을 보는 중

메인 공유기로 쓸려고 하는데 서버 쪽으로 한 회선만 갈거면.. 의미가 없으려나?


[링크 : http://iptime.com/iptime/?page=2&page_id=67&uid=17048&mod=document]



+

바꾸려다가 IDF 크기가 작아서 해당 모델을 넣을수 없어 일단 패스~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널 본딩...  (0) 2019.03.08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iptime VPN 관련 펌웨어 버전  (0) 2018.05.14
tftp를 이용한 iptime 벽돌 복구  (0) 2018.05.14
랜카드 티밍관련 조사...  (0) 2017.11.29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8. 5. 14. 09:26

L2TP - 10.04.2

[링크 : http://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vpn&uid=19007]


버전 업하니 L2TP가 추가되었다!

원격지 게이트웨이 - 9.98.4

[링크 : http://iptime.com/iptime/?page_id=67&pageid=1&mod=document&keyword=vpn&uid=18108]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LS 하드웨어 가속  (0) 2019.02.07
iptime port trunk / link aggregation  (0) 2019.01.24
tftp를 이용한 iptime 벽돌 복구  (0) 2018.05.14
랜카드 티밍관련 조사...  (0) 2017.11.29
usb otg 그리고 micro USB type B  (1) 2017.04.26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8. 5. 14. 09:24

펌웨어 받으려다가 찾은 정보


tftp -i 192.168.0.1 put {펌웨어 파일명} 

[링크 : http://iptime.com/iptime/?pgeid=5&page_id=67&mod=document&uid=7360]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7. 11. 29. 10:20

예전에 하려다가 100Mbps 티밍보다 GbE가 나아서 일단 포기 했는데

다시 불붙게 되네...


5Gbps로 붙네.. 년도 상으로는 win8 이거나 server 2012 R2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

[링크 : http://power700p.blog.me/220107795162]


전에도 그랬지만.. Management HUB 혹은 Intelligence HUB를 구매해야 하는데

끄응.. 여전히 비싸네 ㅠㅠ

넷기어 GS724T, GS748T

[링크 : http://blog.naver.com/neoonet/130190439506]

    [링크 :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nas&no=12509&ismobile]


찾아는 봐야겠지만.. 윈8 부터 SMB 3.0이랑 티밍이랑 무슨 연관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티밍 한다고 해도 ip가 아닌 내부 네트워크에서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네..

윈도 8인가 8.1인가 이상부터 SMB 3.0을 지원해서 케이블 두개 꼽기만하면 

지알아서 채널본딩시킨다고는 들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하군요

저것도 종류가 무지 다양한데 그냥 간편하게 SMB E.0이용하시는게 좋으실것 같습니다만......

이런것은 2CPU가면 전문자료와 전문가들이 넘쳐납니다

거기서 찾아보시는게 훨신 좋을듯 하군요 

[링크 : https://gigglehd.com/gg/hard/79356]


Posted by 구차니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