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했는데.. 정말로 EXT4를 쓸줄이야 -_-
아무튼 2.2 프로요 업글해도 생각보다 성능향상이 없다는

갤럭시S 업그레이드 후 패치할 수밖에 없던 이유

글을 보고 나니, 예전에 들었던 부두 라는 녀석이 머길래 그렇게 좋아지나? 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By replacing the faulty RFS filesystem with the Linux-standard Ext4 filesystem, Voodoo lagfix simply restores I/O performance and global user experience of the Galaxy S to what it should have been to begin with.
And the performance level is awesome !

[링크 : http://project-voodoo.org/lagfix]

[링크 : http://project-voodoo.org/]
    [링크 : http://project-voodoo.org/lagfix]




RFS는 아마도 ReiseFS인 것같다.
Structures
Directory contents B+ tree
File allocation Bitmap [1]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ReiserFS]

EXT4는 아래 링크 참조
Structures
Directory contents Linked list, hashed B-tree
File allocation Extents/Bitmap
Bad blocks Tabl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Ext4]

B tree가 물론 검색에 유용하다고 하지만,
hashing 테이블이 크다면(다르게 말하면 용량을 조금 더 차지한다면)
EXT4의 파일검색 속도가 더 빠를수 밖에 없어 보인다.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0. 11. 21. 11:38
아는 녀석에게 당한 뽕뿌질 -_-
마침 모니터 하나 지를까 하드를 먼저 지를까 재보고 있는데
모니터를 먼저 지르는쪽으로 유도하게 된 장본인!

생긴건 평범한 22인치(?) LCD 모니터인데...
IBM 까진 좋은데 밑에... 읭?!

아무튼 LFH-60 커넥터를 사용한다는데 이거를 바로 꼽을수 있는 그래픽 카드는 없는 관계로
(쿼드로나 매트록스 계열은 존재하려나?) 이 커넥터를 질러야 할 기세.jpg

나이가 들면서 돈은 있으면서 겁이 많아지는건지
효율이라는 이름하에 지르고 안되면 또 사면되지~! 이런 막무가내 정신이 자꾸만 사라지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이걸 사서도 제대로 돌릴수 있는 그래픽 카드가 몇가지나 될려나 마는..
일단 커넥터까지 같이 구매하거나 별도구매 하고 나서 사용하게 될녀석인듯
(아마 최악의 경우 그래픽 카드 하나는 교체 해야할듯)

결론 : 급여날이여 오라!!!!!

[링크 : http://www.junggolove.com/shop/shopdetail.html?brandcode=042005000010]
    [링크 : http://download.lenovo.com/ibmdl/pub/pc/pccbbs/visuals/usersguidet221.pdf]
    [링크 :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642696]
[링크 : http://www.nvidia.com/object/geforce_8600_features.html]
     [링크 : http://www.leadtek.com/eng/support/faq/Quadro_Resolution_Tables.pdf]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BM_T220/T221_LCD_monitor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ow_Force_Helix]
     [링크 : http://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lfh&tab=goods&cate_c1=862&cate_c2=10621]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무료백신은... x64 미지원 -ㅁ-!  (2) 2011.04.29
docbook  (0) 2010.12.18
NAS SAN DAS 그리고 SAS  (4) 2010.10.24
세면기와 변기 호스가 다르다니!  (2) 2010.06.30
유리, 비결정질, 과냉각, 결정  (0) 2010.06.1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Putty2010. 11. 20. 23:24
Putty에서 port forwarding을 이용하면, Local의 경우 특정 웹페이지 하나만을 돌릴수 있다.
Dynamic으로 설정하면 임의로 사용가능 하다고 이야기는 들은적 있지만 -_-
설정을 제대로 해서 돌려본적이 없는데 문득 VPN 관련해서 검색하다가
Dynamic SOCKS라는 Putty 기능에 대해서 다시 찾게 되었고, 이제야 사용방법을 알게 되었다.
(머.. 그래도 정말로 되는지는 나중에 다시 해봐야 할 듯)

Step 1. Putty의 Connection - SSH - Tunnels 메뉴에서
          Source Port는 임의로 입력, Desination에서 Dynamic만 선택하고 Add 한다.

Step 2. 브라우저의 프록시 설정메뉴에서 SOCKS에 설정을 넣는다.


[링크 : http://www.devdaily.com/unix/edu/.../2-configure-putty-ssh-tunnel-ssh-server.shtml]
[링크 : http://www.devdaily.com/unix/edu/.../3-configure-firefox-use-ssh-tunnel-socks-proxy.shtml]
[링크 : http://www.virtualroadside.com/blog/index.php/2007/04/12/dynamic-socks-proxy-using-putty/]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OCKS]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SOCKS]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Network 장비2010. 11. 20. 23:00
안드로이드 핸드폰을 보면 VPN 설정이라는 것이 있다.
중국이라던가 이런 검열이 심한 곳에서 위키피디아 접속하는 방법으로
국내의 VPN 서버로 접속 국내 아이피를 통해 회피하는 수단등으로 사용되는데

핸드폰에 보면
 PPTP
 L2TP
 L2TP/IPSec PSK(사전키 공유 기반)
 L2TP/IPSec CRT(인증서 기반)
이렇게 네가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중에서 PPTP는 MS가 설계해서 가장 손쉽고 널리 사용이 가능하다지만,
아래와 같이 MS 에서도 보안상의 문제로 추천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PPTP is known to be a faulty protocol. The designers of the protocol, Microsoft, recommend not to use it due to the inherent risks. Lots of people use PPTP anyway due to ease of use, but that doesn't mean it is any less hazardous. The maintainers of PPTP Client and Poptop recommend using OpenVPN (SSL based) or IPSec instead.

[링크 : http://poptop.sourceforge.net/dox/protocol-security.phtml]

그리고 openvpn은 안드로이드 에서 사용하려면 루팅을 한뒤
여러가지 파일을 복사 해야 해서 상당히 복잡하다고 하고 -_-
Step 3 - Perform the following bold text commands at a command prompt
ADB shell mount /system
ADB shell
cd /system/lib
cp libcrypto.so libcrypto-orig.so
cp libssl.so libssl-orig.so

These last 2 entries are just a 2ndary backup. you can skip if you like
exit

From the unzipped fries download find all the files (should be 5 in total) and do
adb push libcrypto.so /system/lib/
adb push liblzo.so /system/lib/
adb push libssl.so /system/lib/
adb push openssl /system/bin/
adb push openvpn /system/bin/
adb shell chmod 4755 /system/bin/openssl
adb shell chmod 4755 /system/bin/openvpn

[링크 : http://android.modaco.com/content/software/291919/openvpn-on-android/]

L2TP로 검색을 하니 L2TP는 시스코의 L2 포워딩과 PPTP를 결합한거라고 하는데
대부분 openswan과 결합이 되는지(아무래도 IPSec 때문?) 같이 검색이 걸려 나온다.
Debian: xl2tpd is in the unstable tree, l2tpd is in the stable tree, and l2tpns is in both. Executing an 'apt-get install xl2tpd' (or likewise for l2tpd) should get you started. Alternative, you can use my RPM processed through alien, as reported by Nicolas Pouvesle:
  • apt-get install rpm
  • rpmbuild --rebuild l2tpd-0.69-10jdl.src.rpm
  • alien /usr/src/RPMS/i386/l2tpd-0.69-10jdl.rpm
  • dpkg -i l2tpd-0.69-10jdl.deb

[링크 : http://www.jacco2.dds.nl/networking/openswan-l2tp.html]

[링크 : http://openvpn.net/]
[링크 : http://www.openswan.org/] IPSec
[링크 : http://poptop.sourceforge.net/] PPTP

[링크 : http://kldp.org/node/80521]
[링크 : http://pptp.kr/]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11. 20. 09:58
우분투에서 모니터를 연결하지 않고 자동 로그인 하도록 하면
640x480이나 800x600 같은 해상도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강제로 xorg.conf 바꾸면 되지만 그마저도 귀찮을때!
nVidia 사용자는 X Server Settings 프로그램에서


모니터를 연결해서 부팅후 원하는 해상도로 설정하고
"Save to X Configuration File" 을 해주고 나서 리부팅 하면 그 해상도로 고정 끝!

2010/02/16 - [Linux] - Xwindow 해상도 설정하기
2010/01/15 - [Linux/Ubuntu] - [황당해결] Ubuntu 9.10 + Nvidia 에서 640x480 해상도 이상으로 설정하기
2010/01/14 - [하드웨어 관련] - 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net bonding on ubuntu 10.04  (0) 2010.12.18
ubuntu의 X11 기본 디렉토리명 로케일별 변경  (0) 2010.12.05
gnome 패널에 CPU 성능관련 추가하기  (6) 2010.11.15
SLI on Ubuntu  (0) 2010.11.15
리눅스 계정이름 바꾸기  (0) 2010.11.1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0. 11. 20. 09:13
예전에 통합하는 문서를 만들어 놓은거 같은데 네이버에 있었던가?
아무튼, 오랫만에 위키를 만들려니 fckeditor 없이 위키문법으로 하도록
가르치려니 귀차니즘 레벨 업할께 뻔히 보이니 -_-

요건 dokuwiki + fckeditor
[링크 : http://www.dokuwiki.org/dokuwiki]
[링크 : https://fosswiki.liip.ch/display/DOKU/FCKW+Dokuwiki+Plugin]

요건 mediawiki + fckeditor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MediaWiki]
[링크 : http://mediawiki.fckeditor.net/]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apache2010. 11. 19. 23:05
svn 로그인을 리눅스 계정과 연결하기 위해 이것저것 하다보니,
webDAV 라는 녀석이 나오길래 검색 고고싱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HTTP는 웹서비스를 위한 읽기기능만을 지닌 웹서버에 쓰기기능을 추가해준다.

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WebDAV)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WebDAV protocol include:
  • locking ("overwrite prevention")
  • properties (creation, removal, and querying of information about author, modified date et cetera);
  • name space management (ability to copy and move Web pages within a server's namespace)
  • collections (creation, removal, and listing of resource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ebDAV]

WebDAV[웹답]상의 공동 저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IETF 표준으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들 간에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공동 편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련의 HTTP 확장이다.

[링크 : http://www.terms.co.kr/WebDAV.htm]

What is WebDAV?
    Briefly: WebDAV stands for "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It is a set of extensions to the HTTP protocol which allows users to collaboratively edit and manage files on remote web servers.


[링크 : http://www.webdav.org/]


'프로그램 사용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 - apache HTTP server benchmarking tool  (0) 2014.10.10
apache 특정 디렉토리만 인증하기  (0) 2013.04.09
500 internal server error - mediawiki 이전시  (0) 2011.12.18
apache - url rewrite  (2) 2011.04.26
SVG DOM API  (2) 2010.01.11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0. 11. 19. 13:15
아는 녀석의 메신저 대화명
 How to build a house on the network.

그래서 구글로 번역해서 보여주었다
 어떻게 네트워크에서 제대로 된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에다가 집을 짓을려고 한거였나 -_-
미니 서버 질렀다며!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아 인간이란  (8) 2010.12.06
헉헉 내 블로그 살아난건가?!  (2) 2010.11.30
하드에서 소리가 난단 말이야 - Hdtune + S.M.A.R.T  (0) 2010.11.14
첫 눈  (2) 2010.11.09
서점이 어디간거야!?  (2) 2010.11.0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독서2010. 11. 18. 16:25
너무 단순한 표지와 제목으로 인해 -_-
처음에는 읽어볼 생각도 안하다가 cvs에서 svn으로 갈아타려고 마음을 먹은지라
한번 읽어 볼까? 라는 가벼운 마음에 집어들었다가

완전 제대로 득템을 한 느낌을 받게해준 책!

subversion의 사용방법과 모호한 내용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책이다.
(일단 svn은 berkelyDB를 사용하는게 좋다는데 DB는 선천적 알레르기가 ㅠ.ㅠ)

2010/11/18 - [프로그램 사용/CVS / SVN / GIT] - svn export 와 checkout의 차이점
2010/11/18 - [프로그램 사용/CVS / SVN / GIT] - svn blame

Posted by 구차니

svn checkout은 svn을 통해서 개발용 소스트리를 받아오는데 쓰인다.
svn export는 svn을 통해서 배포용 소스트리를 받아오는데 쓰인다.

굳이 두개의 차이점을 말을 하자면
export는 .svn 폴더(관리용 정보)가 제외된 녀석이고
checkout은 .svn 폴더가 포함되어 있다는 차이이다.


export는 다른 저장소로 소스를 옮길때 사용한다고 한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