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경로 다봐도 별거 없는데..

머이리 높게 떠?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기부  (0) 2018.01.22
티스토리 희한한 버그 발견  (0) 2018.01.14
티스토리 2017 결산  (0) 2018.01.05
먼데 없는 페이지야?  (0) 2017.12.14
망할 광고 스팸 -_-  (2) 2017.12.13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8. 1. 5. 23:01
Posted by 구차니

시간 참 빨리간다.

올해는 좀 널널하게 쉬어가면서 한다고 말했던거 같은데...

어찌된게 더 많이 썼냐.. -_-


806개의 글 / 작년 대비 +146

500249명 / 작년 대비 + 92535


올해도 방문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올해에는 새로운 블로그 하나 만들어서 좀 뜨자!!! 더 알찬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작년 대비 상위 5% 댓글 부자가 빠졌고

6년차에서 7년차로 업그레이드!

600+ 포스팅에서 800+로!

40만+에서 50만+로!




그나저나 글 하나당 최소 한개 이상의 링크가 써있다 보니

언급한 이야기 키워드로 똭! -_-

그러고 보니 키워드에 영어 단어는 하나도 없이 순수하게 한글로만 뽑아냈나 보네

(이거슨 개발자 안티?)

[링크 : http://www.tistory.com/thankyou/2017/tistory/533165]

2017/01/17 - [개소리 왈왈/블로그] - 티스토리 결산 ㅋㅋㅋ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희한한 버그 발견  (0) 2018.01.14
블로그 무슨일 났나 -ㅁ-?  (0) 2018.01.06
먼데 없는 페이지야?  (0) 2017.12.14
망할 광고 스팸 -_-  (2) 2017.12.13
헐.. 하루 10원 짜리 호스팅?  (0) 2017.11.30
Posted by 구차니

오늘 지인이 던져준 여군하사의 자살 유서내용

[링크 : http://pann.nate.com/talk/340075768]


얼마전 읽은 여성 쉐프의 책에 겹쳐 보이는데

남성화된 직종에서 여성이 살아남는 방법으로는


남자가 되거나(넷페미들이 이야기 하는 명예남성)

여왕이 되거나(코르셋을 껴입거나)

엄마가 되거나(이건 딱히 매칭되는게 없네. 모성이나 여성성을 부정하는 부류니까..)


이렇게 세가지를 이야기 하는데

군대는 남성화된을 넘어서 그냥 태생 자체가 남성조직이고

이러한 조직에서 여성이 살아남는 방법은 "남성이 되거나" 하나 밖에 남지 않는다.

물론 계급이 올라가면 "엄마가 되거나"가 가능해질지 모르겠지만

당장 살아 남기 위해서는 남자가 될 수 밖에 없다.



+

글을 다시 보니. 일단 자살시도 정도로 끝난듯.


+

2018.01.08

누군가의 비극을 이용하여 자기들의 잇권을 챙기려는게 아닐까도 생각이 된다.

(여성을 더 잘 챙겨줘야 한다는 정당성 확보라던가)


+

2018.01.15

유입경로 때문에 가서 보니. 어라 네이트 판 글이 차단되었네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L 구조와 Frequency Divider / Multiplier  (0) 2018.02.01
opto-isolator  (0) 2018.01.10
아날로그 해상도 화면비  (0) 2017.10.30
오실로스코프 대역폭과 샘플링  (0) 2017.09.28
RMS - Root Mean Square  (0) 2017.09.28
Posted by 구차니
Linux2018. 1. 4. 22:06

odroid 에서 fat32로 포맷되었을 녀석을 꽂았더니 한글이 죄다 깨져서

mount로 확인해보니 아래처럼 나온다.

/dev/mmcblk1p1 on /media/boot type vfat (rw,relatime,fmask=0022,dmask=0022,codepage=437,iocharset=iso8859-1,shortname=mixed,errors=remount-ro) 


일단.. odroid 커널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모르겠지만

커널에서 vfat 관련해서 cp949를 지원하도록 빌드 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안되서 그런듯?

문제는.. 이걸 proc filesystem 등에서 확인할 방법이 있는지 모르겠네..


[링크 : http://blog.syszone.co.kr/217]

[링크 : http://gentooboy.tistory.com/196]

[링크 : https://kldp.org/node/84341]

[링크 : http://www.aesop.or.kr/Board_Community_QandA/26128]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칭이 이상하다? enp0s0? em0?  (0) 2019.01.23
getopt()  (0) 2018.11.12
taint kernel?  (0) 2017.12.03
limits.conf와 ulimit  (0) 2017.08.24
elf 파일에서 컴파일러 버전 알아내기  (0) 2017.06.07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4. 21:33

크기가 안 맞네?

딱 한개 핀헤더 2.54mm 만큼 부족한 듯


DE0-Nano-Soc 모델은 아두이노 자체가 핀 헤더가 존재한다.

[링크 : http://www.terasic.com.tw/cgi-bin/page/archive.pl?Language=English&No=941]



+

2018.01.08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3 Ti2018. 1. 4. 16:17

B가 Branch

그러니까 x86의 JMP 같은건가?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JMP_(x86_instruction)]


3.9.1. B, BL, BX, and BLX

Branch instructions.

[링크 : http://infocenter.arm.com/help/index.jsp?topic=/com.arm.doc.dui0552a/BABEFHAE.html]


3.9.2. CBZ and CBNZ

Compare and Branch on Zero, Compare and Branch on Non-Zero.

[링크 : http://infocenter.arm.com/help/index.jsp?topic=/com.arm.doc.dui0552a/BABFFHBB.html]

'embeded > Cortex-M3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ec_cat.exe  (0) 2018.05.08
CMSIS for stellaris/TM4C  (0) 2018.02.12
cortex-m3 keil 부트로더  (0) 2017.12.21
keil sct - 링커 스크립트  (0) 2017.12.11
lm3s 부트로더  (0) 2017.11.21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4 Ti2018. 1. 4. 14:35

일단.. 사용중인 보드가 UART0가 아닌 UART1을 외부용으로 쓰고 있어서 손을 봐야 했는데

bl_config.h 에서 얘가 원본이고

#define UART_ENABLE_UPDATE

#define UART_AUTOBAUD

//#define UART_FIXED_BAUDRATE     115200

#define UART_CLOCK_ENABLE         SYSCTL_RCGCUART_R0

#define UARTx_BASE                UART0_BASE

#define UART_RXPIN_CLOCK_ENABLE   SYSCTL_RCGCGPIO_R0

#define UART_RXPIN_BASE         GPIO_PORTA_BASE

#define UART_RXPIN_PCTL         0x1

#define UART_RXPIN_POS          0

#define UART_TXPIN_CLOCK_ENABLE SYSCTL_RCGCGPIO_R0

#define UART_TXPIN_BASE         GPIO_PORTA_BASE

#define UART_TXPIN_PCTL         0x1

#define UART_TXPIN_POS          1


UART1을 쓰려고 한다면 요렇게 6개를 손을 봐주어야 한다.

#define UART_ENABLE_UPDATE

//#define UART_AUTOBAUD

#define UART_FIXED_BAUDRATE     38400

#define UART_CLOCK_ENABLE         SYSCTL_RCGCUART_R1

#define UARTx_BASE                UART1_BASE

#define UART_RXPIN_CLOCK_ENABLE   SYSCTL_RCGCGPIO_R1

#define UART_RXPIN_BASE         GPIO_PORTB_BASE

#define UART_RXPIN_PCTL         0x1

#define UART_RXPIN_POS          0

#define UART_TXPIN_CLOCK_ENABLE SYSCTL_RCGCGPIO_R1

#define UART_TXPIN_BASE         GPIO_PORTB_BASE

#define UART_TXPIN_PCTL         0x1

#define UART_TXPIN_POS          1


그리고 PORTB의 2번 핀이 485 TXEN으로 했는데

좀 더 테스트를 해봐야겠지만, 38400 에서는 문제없이 PC와 1m 이내 선으로 연결해서는 문제없이 업데이트 된다.

(57600 까지는 성공적인듯.. 115k는 줄여줘도 안되네.. rs485 특성으로 보임)

(Autobaud는 작동을 못하네.. rs485 특성일려나?)

void

UARTSend(const uint8_t *pui8Data, uint32_t ui32Size)

{

    //

    // Transmit the number of bytes requested on the UART port.

    //

    GPIOPinWrite(GPIO_PORTB_BASE, GPIO_PIN_2, GPIO_PIN_2);

    Delay(10);

    while(ui32Size--)

    {

        //

        // Make sure that the transmit FIFO is not full.

        //

        while((HWREG(UARTx_BASE + UART_O_FR) & UART_FR_TXFF))

        {

        }


        //

        // Send out the next byte.

        //

        HWREG(UARTx_BASE + UART_O_DR) = *pui8Data++;

    }


    //

    // Wait until the UART is done transmitting.

    //

    UARTFlush();

    GPIOPinWrite(GPIO_PORTB_BASE, GPIO_PIN_2, 0);

    Delay(10);


LM Flash 에서는 UART로 하고 귀차니즘으로 인해(...)

Autobaud 대신 38400 으로 고정을 했는데


Program탭에서 Program Address Offset만 0x00001000 으로 바꾸어 주면 된다.

LR_IROM 0x00001000 0x00040000

{

    ER_IROM 0x00001000 0x00040000

    {

        *.o (RESET, +First)

        * (InRoot$$Sections, +RO)

    }


    RW_IRAM 0x20000000 0x00008000

    {

        ;* (vtable, +First)

        * (+RW, +ZI)

    }


(물론 해당 바이너리는 sct 파일에서 0x00000000을 0x00001000 으로 바꾸고 다시 컴파일 해야 한다)


coocox 라는 녀석을 사용중인데 이녀석은 0x1000이 아니라 0x1 섹터로 옵셋을 잡아주니 잘 쓴다.

옆에 써있듯 4번 섹터가 0x00001000 이니 offset을 0x04로 해주면 될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www.coocox.org/book/coocox/CoFlash/GUI-Mode]

+

38400은 delay 없이도 일단 작동

57600은 delay(10) 있어야 작동


+

머지.. 부트로더 올리고 시리얼로 올린다음은 되는데 그 이후에는 안켜진다 -ㅁ-?

Posted by 구차니
embeded/FPGA - ALTERA2018. 1. 3. 23:49

문서를 보다 보니 Active Serial / Passive Serial 이라는 단어가 나와서 검색해보니..

일단 Active/Passive는 FPGA의 기준으로 보면 될 것 같다.

Active Serial은 FPGA가 활성화 되서 master 로서 EPCS나 EPCQ를 쓰는 것이고

Passive Serial은 FPGA가 플래시에 관여하지 않고 별도의 micom이나 다른 장치를 통해 플래시를 굽는 것이다.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support-centers/devices/cfg-index/cfg-compare.html]


The Active Serial (AS) configuration scheme is supported in the 1 bit data width (AS x1) or the 4 bit data width (AS x4). The AS x4 scheme is supported only in Stratix® V devices. AS configu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 Altera® serial configuration (EPCS) device or quad-serial configuration (EPCQ) device. During AS configuration, the Altera FPGA acts as the configuration master and the EPCS or EPCQ device acts as the configuration slave. The FPGA outputs the clock on the DCLK pin and receives the configuration data from the EPCS or EPCQ device on the data pin(s).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support-centers/devices/cfg-index/cfg-as.html]


Passive serial (PS) configu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 Altera® download cable, an Altera configuration device, or an intelligent host such as a microprocessor. During PS configuration, data is transferred from a configuration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torage device to the Altera device on the DATA0 pin. This configuration data is latched into the FPGA on the rising edge of DCLK. Configuration data is transferred at a rate of one bit per clock cycle.

[링크 : https://www.altera.com/support/support-resources/support-centers/devices/cfg-index/cfg-ps.html]


[링크 : https://www.altera.com/content/dam/altera-www/global/en_US/pdfs/literature/ug/ug_usb_blstr.pdf]


To program a device in JTAG or Passive Serial mode:

  1. On the File menu, click Open and select the Chain Description File that contains the JTAG or Passive Serial chain you wish set up.

  2. Plug the download cable into the system that contains the devices or device to program.

  3. If necessary, select the appropriate hardware setup for the chain.

  4. If necessary, in the Mode list, select JTAG or Passive Serial.

  5. If you are using JTAG mode, and you want to automatically add devices in a device chain to the programming list, click Auto Detect.

  6. Make sure the device name(s) displayed in the Device list matches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system.

  7. If you want, turn on one or more programming options in the programming list.

  8. To start programming or other optional action, click Start.

[링크 : http://quartushelp.altera.com/15.0/mergedProjects/program/pgm/pgm_pro_prog_single_as_device.htm]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