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전기 전자'에 해당되는 글 103건

  1. 2025.04.29 ntc r/t-tol
  2. 2025.04.28 전자로드 사용법
  3. 2025.01.07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4. 2024.11.15 edge detector
  5. 2024.09.03 택 스위치(TACTILE SWITCH)
  6. 2024.08.28 spi 통신 cpol cpha
  7. 2024.08.20 NPN TR.... 2?
  8. 2024.08.13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9. 2024.07.19 clock is gated
  10. 2024.07.11 싱크 인터페이스, 소스 인터페이스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5. 4. 29. 10:34

min, max, mean 은 최소, 최대, 중간값인데

r-tol(min/max) t-tol(min/max)가 보이는데 용도불명이라 검색중

 

2.1.4. tolerance
Tolerance Resistance 
The resistance tolerance for an NTC thermistor is specified for one temperature point, which is application specific and the standard value is usually 25°C.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at the other temperatures upon customer request.

Temperature tolerance By means of Formula 3, the temperature tolerance can be calculated for small temperature interval as following formula: ΔT = 1 / α ・ ΔR / R (Formula 6) For practical application, we recommend that the standardized R / T table be used.

[링크  https://product.tdk.com/system/files/dam/doc/product/sensor/ntc/ntc_element/general_tech_info/ntc_thermistor_general_technical_information_digest_en.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5. 4. 28. 15:51

M9712 라는 전자로드가 있어서 배터리 방전에 사용을 위해 찾아보는 중

Step 1. SHIFT - 8 눌러서 END TEST VOLT=0.000000V 가 뜨도록 함

초기상태에서


SHIFT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Shift라고 뜨고



8을 누르면 OFF 라고 바뀌면서 하단에 END TEST VOLT가 뜬다.


Step 2. 숫자와 .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압을 입력

9.6V 완전방전을 목표로 할거라 9.6을 입력함


Step 3. Enter를 누름(0.00W 0.00000AH 라고 아래 라인에 뜸

가장 처음 화면으로 돌아온다.


Step 4. On/Off 버튼을 눌러 시작
        상단 우측에 BATT 라고 뜨면 배터리 테스트 모드

on/off 버튼을 누르면 BATT로 바뀐다.

 

Battery Life StabilityTest
In Constant Current mode the Serial electronic load can test battery life stability Set up the load to
control voltage level.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too low, the serial electronic load will identify the
battery being on the threshold value set or at the margin of an insecure state and will stop testing
automatically. When the load is in test mode, you can see the battery's voltage, battery discharge current,
electronic, load power and battery capability that remains. If the load is connected through PC software,
then you can see the battery discharge curve.. This test can measure the reliability and remaining life of
the battery. So it is important to perform the test before the battery is re-charged, or swapped out for a
newer battery.
Operation:
1) In standard constant current mode, adjust the load's current value to the same discharge current
value of battery needed.
2) Press both Shift+8(Battery)keys. When VFD display shows END TEST VOLT= xxxxxxxxV,
input the shut-off voltage and press Enter to start the battery life stability test. When the battery's
voltage drops to the turn-off voltage set, the load will automatically shut off.
3) Press the On/Off keys to start or pause the battery capability test.
4) Press both the Shift+8(Battery) keys to exit the battery life stability test mode.

[ : http://www.maynuo.com/downloadfile/2009102937213561.pdf]

[ : http://www.maynuo.com/english/xpro.asp?pid=52]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c r/t-tol  (0) 2025.04.29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합성저항

Rsum = (R1 * R2) / (R1 + R2)

 

 

R1이 고정되어 있고 R2가 가변저항일때 합성저항을 달성하기 위한 가변 저항의 목표저항값 계산

R2 = (R1 * Rsum) / (R1 - Rsum)

 

수식이 원래의 형태에서 부호만 바뀐 형태라는게 참.. 신기한 느낌을 받는다.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c r/t-tol  (0) 2025.04.29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11. 15. 22:23

버퍼를 이용해서 딜레이 시키고

자기 자신과 딜레이된 신호를 AND (rising edge detector)

NOR (falling edge detector) 해서 검출한다.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4785]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NPN TR.... 2?  (0) 2024.08.2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 하시는 분 왈 : 대각선으로 찍으면 대개 확인이 쉽다고

 

1,2가 같고 3,4가 같은줄 알았는데 (붙는 같은 면이니..)

1,3이 같고 2,4가 같네? (흐르는 전기에서 따서 한다고 하면 머...)

[링크 : https://www.mouser.kr/datasheet/2/670/ts04-2586192.pdf]

[링크 : https://www.mouser.kr/ProductDetail/CUI-Devices/TS04-66-70-BK-260-SMT?qs=A6eO%252BMLsxmRC7sCjYvfBWA%3D%3D&mgh=1&utm_id=17722985420&gad_source=1&gclid=CjwKCAjwxNW2BhAkEiwA24Cm9CW0UxbyFn-ihsXWiFPH7L8wh4mBUnEvUHeE6NUl8voMlG8ndfDObRoCx98QAvD_BwE]

 

 

통상 택 스위치라고 하는데

tactile(촉각) switch 가 원래 명칭인 듯.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edge detector  (0) 2024.11.15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NPN TR.... 2?  (0) 2024.08.20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0) 2024.08.13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8. 28. 16:25

CPOL은 CLK에 연관된것으로 클럭이 없을때 high면 1, low면 0

CPHA는 데이터를 읽을때 CLK의 edge를 보는 것으로 rising edge에서 읽으면 1, falling edge에서 읽으면 0

[링크 : https://blog.naver.com/specialist0/220645228159]

 

cpol과 cpha가 2가지 씩 이니 총 4가지 방식이 존재하고, 그걸 설정해서 통신하면 된다.

Most microcontroller SPI peripherals can operate with the ADS1118. The interface operates in SPI mode 1
where CPOL = 0 and CPHA = 1. In SPI mode 1, SCLK idles low and data are launched or changed only on
SCLK rising edges; data are latched or read by the master and slave on SCLK falling edges. Details of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employed by the ADS1118 can be found in the Timing Requirements: Serial Interface
section.

[링크 : https://www.ti.com/lit/ds/symlink/ads1118.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NPN TR.... 2?  (0) 2024.08.20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0) 2024.08.13
clock is gated  (0) 2024.07.19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8. 20. 12:01

이전에 2N3904로는 꿈적도 안하더니 KRC107S를 사용하니 한번에 된다.

역시 일이 잘 안되면 돈이 부족하지 않나 생각을 해봐야.. (먼산)

 

아무튼 동일한 회로로는 R1/R2를 적절히 배치해서 하면 되긴되었을 듯 한데

저 R1과 R2의 역할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

 

R2로 인한 feedback이 핵심인가?

[링크 : https://wmsc.lcsc.com/wmsc/upload/file/pdf/v2/lcsc/2304140030_KEC-Semicon-KRC107S-RTK-P_C8559.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0) 2024.08.13
clock is gated  (0) 2024.07.19
싱크 인터페이스, 소스 인터페이스  (0) 2024.07.11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8. 13. 17:59

BJT 와 FET는 반대 개념인가?

일단은 biploar와 unipolar 차이가 존재한다.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is a type of transistor that uses both electrons and electron holes as charge carriers. 
In contrast, a unipolar transistor, such as a field-effect transistor (FET), uses only one kind of charge carrier.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Bipolar_junction_transistor]

[링크 : https://terrypack.tistory.com/5]

[링크 : https://blog.naver.com/seokhoo/221534345997]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NPN TR.... 2?  (0) 2024.08.20
clock is gated  (0) 2024.07.19
싱크 인터페이스, 소스 인터페이스  (0) 2024.07.11
shunt(션트) 저항  (0) 2024.07.11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7. 19. 11:58

STM32H757 문서를 보다보니

dual core인데 초기화 시에

coretx-m4 clock is gated 라는 문구가 나와서 검색해보니

[링크 : https://www.st.com/resource/en/application_note/an5557-stm32h745755-and-stm32h747757-lines-dualcore-architecture-stmicroelectronics.pdf]

 

간단하게 클럭이 막혀있다 = 안켜진다 = 전기 소모 줄어든다.

이렇게 해석하면 될 듯.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lock_gating]

[링크 : https://m.blog.naver.com/dong880510/140156794477]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N TR.... 2?  (0) 2024.08.20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0) 2024.08.13
싱크 인터페이스, 소스 인터페이스  (0) 2024.07.11
shunt(션트) 저항  (0) 2024.07.11
THD N  (0) 2024.04.03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7. 11. 18:27

sink는 끌려 가도록/ 끌려 가지 않도록 제어(?) 하고 -> + 극을 차단/연결

source는 끌고 오도록 제어 한다 -> GND를 차단/연결

 

영어식이라서 전원을 어느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제어하냐로 보면 좀 쉬우려나?

+극 -> -극에 빼앗긴다 -> +극을 차단/연결한다 (안보내면 그만이야~)

-극 -> +극에서 들어온다(입력받음) -> -극을 차단/연결한다(안받아~)

 

[링크 : https://m.blog.naver.com/3lastbaek5/221581453670]

[링크 : https://usefulpen.cafe24.com/1892/]

 

 

+

[링크 : https://blog.naver.com/shkh13/221030410600]

[링크 : https://usefulpen.cafe24.com/1892/]

[링크 : https://article2.tistory.com/1425]

[링크 : https://gammabeta.tistory.com/609] 싱크(NPN) 소스(PNP)

[링크 : https://gammabeta.tistory.com/968]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BJT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0) 2024.08.13
clock is gated  (0) 2024.07.19
shunt(션트) 저항  (0) 2024.07.11
THD N  (0) 2024.04.03
아날로그 컴퓨터  (0) 2023.10.1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