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668건
- 2025.03.13 아내몰래 지름 ㅋㅋ 2
- 2025.03.13 libmodbus backend
- 2025.03.12 NTAG
- 2025.03.11 내 노트북 쓸만하네?
- 2025.03.11 NDEF 읽기
- 2025.03.11 mifare desfire 인증 프로세스
- 2025.03.11 ace combat 7 - 미션 20, 엔딩
- 2025.03.10 ace combat 7 - 미션 19
- 2025.03.10 k-pass 다자녀 혜택 + 횟수 제한
- 2025.03.10 stm32 sleep mode
예전 작업을 다시 찾아보는데
워낙 자동화가 잘된녀석이라 slave 모드에서 외부에 read / write 명령을 추가로 처리할 방법을 찾고 있는데 영 안보여서 고민하다
소스뜯어보기로 결정!
rtu나 tcp에서 아래와 같이 modbus_new 명령을 통해 수행중에
backend에 기본적인 녀석들을 추가해주는데
modbus_t* modbus_new_rtu(const char *device,
int baud, char parity, int data_bit,
int stop_bit)
{
_modbus_init_common(ctx);
ctx->backend = &_modbus_rtu_backend;
ctx->backend_data = (modbus_rtu_t *)malloc(sizeof(modbus_rtu_t));
if (ctx->backend_data == NULL) {
modbus_free(ctx);
errno = ENOMEM;
return NULL;
}
ctx_rtu = (modbus_rtu_t *)ctx->backend_data;
|
해당 backend 구조체는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함수 포인터 들을 포함하고 있고
const modbus_backend_t _modbus_rtu_backend = {
_MODBUS_BACKEND_TYPE_RTU,
_MODBUS_RTU_HEADER_LENGTH,
_MODBUS_RTU_CHECKSUM_LENGTH,
MODBUS_RTU_MAX_ADU_LENGTH,
_modbus_set_slave,
_modbus_rtu_build_request_basis,
_modbus_rtu_build_response_basis,
_modbus_rtu_prepare_response_tid,
_modbus_rtu_send_msg_pre,
_modbus_rtu_send,
_modbus_rtu_receive,
_modbus_rtu_recv,
_modbus_rtu_check_integrity,
_modbus_rtu_pre_check_confirmation,
_modbus_rtu_connect,
_modbus_rtu_close,
_modbus_rtu_flush,
_modbus_rtu_select,
_modbus_rtu_free
};
|
const modbus_backend_t _modbus_tcp_backend = {
_MODBUS_BACKEND_TYPE_TCP,
_MODBUS_TCP_HEADER_LENGTH,
_MODBUS_TCP_CHECKSUM_LENGTH,
MODBUS_TCP_MAX_ADU_LENGTH,
_modbus_set_slave,
_modbus_tcp_build_request_basis,
_modbus_tcp_build_response_basis,
_modbus_tcp_prepare_response_tid,
_modbus_tcp_send_msg_pre,
_modbus_tcp_send,
_modbus_tcp_receive,
_modbus_tcp_recv,
_modbus_tcp_check_integrity,
_modbus_tcp_pre_check_confirmation,
_modbus_tcp_connect,
_modbus_tcp_close,
_modbus_tcp_flush,
_modbus_tcp_select,
_modbus_tcp_free
};
|
그중 하나 찍어서 보면 static 함수로 되어있다.
static ssize_t _modbus_rtu_send(modbus_t *ctx, const uint8_t *req, int req_length)
|
진짜로 전송하고 보내는 쪽이라 신경안써도 되려나?
'프로그램 사용 > libmodb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poll (0) | 2025.08.06 |
---|---|
libmodbus pi 함수들 (0) | 2022.05.10 |
libmodbus modbus_mapping_new() (0) | 2022.05.10 |
libmodbus poll 적용 (0) | 2022.05.04 |
modbus tcp (0) | 2022.05.04 |
옥션에서 먼가 구매하려고 보다 보니
NTAG 213 / 215를 따로 팔고 있길래 먼가 해서 검색
얘는.. RFID 리더는 못 읽고 NFC 리더에서만 읽을수 있으려나?
NTAG203 : 보급형, 137 bytes ,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NTAG212 : 메모리사이즈가 128 bytes. NTAG203를 개선하여 속도나 거리에서 개선된 제품. NTAG213 : 읽기 속도 개선, 메모리 사이즈가 144 bytes. 암호 보호, 가격도 싸고 성능도 좋다. NTAG215 : 메모리 사이즈가 504 bytes, 암호 보호 기능 강화. NTAG216 : 메모리 사이즈가 888 bytes. 속도는 빠르나 가격이 비싸다. |
[링크 : https://blog.naver.com/iamsmartin/220727540584]
14443 Type A 를 충족한다고 하면 acr1252u 로도 읽힐 것 같네?
NTAG® 213/215/216: NFC Forum Type 2 Tag Compliant IC with 144/504/888 Bytes User Memory NTAG 213, NTAG 215, and NTAG 216 have been developed by NXP® Semiconductors as standard NFC tag ICs to be used in mass-market applications such as retail, gaming, and consumer electronics, in combination with NFC devices or NFC-compliant Proximity Coupling Devices. NTAG 213, NTAG 215, and NTAG 216 (from now on, generally called NTAG 21x) are designed to fully comply to NFC Forum Type 2 Tag and ISO/IEC14443 Type A specifications. |
'하드웨어 > rfid_nfc_smartc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ag 213, 215 그리고 13.25MHz CUID 카드 (0) | 2025.03.17 |
---|---|
SCardListReadersA 함수(winscard.h) (0) | 2025.03.17 |
NDEF 읽기 (0) | 2025.03.11 |
mifare desfire 인증 프로세스 (0) | 2025.03.11 |
libnfc, libfreefare (0) | 2025.02.28 |
요즘껀 더 얼마나 좋을까 궁금하면서도
이정도의 성능을 개인이 가지는게 옳은가? 라는 고민도 든다.
나름 쓰레드리퍼인데 2017년 3분기 나온녀석을, 2021년에 나온 모바일 cpu가 웬만큼 따라잡아 버린다.
(그래서 중고로 가져볼까 하다가 내 노트북이 전기소모등 몇배 낫네! 싶어서 마음을 비우게 됨)
올 코어 터보 때문인지(PBO?) 코어 갯수는 같지만 풀 코어 벤치하면 간격이 벌어지긴 하는데
[링크 : https://cpu.userbenchmark.com/Compare/AMD-Ryzen-TR-1900X-vs-AMD-Ryzen-7-5800U/m340638vsm1433044]
TDP 로만 따지면 노트북 쪽이 넘사벽..도대체 4년 사이에 무슨일이...(!)
[링크 : https://technical.city/en/cpu/Ryzen-Threadripper-1900X-vs-Ryzen-7-5800U]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도착 (2) | 2025.03.26 |
---|---|
미니랩 프로토타이핑 (0) | 2025.03.19 |
모니터 줍줍 (0) | 2025.03.03 |
10g NIC 도착 (0) | 2025.02.24 |
mx4 4g 써멀 지름 (0) | 2025.02.24 |
아니.. chatGPT로는 못했는데 claude 만세 -_ㅠ
What are these commands? The first command (90 60 00 00 00) is a MIFARE DESFire GetVersion command (wrapped command set). This seems to be specific to the NXP-based Android NFC stack and is not part of a typical NFC tag detection procedure. The second command (00 A4 04 00 07 D2 76 00 00 85 01 01 00) is a SELECT APDU that tries to select the NFC Forum Type 4 tag application (version 2.0) by its AID. This is part of the typical tag detection procedure for ISO 14443-4 (ISO-DEP) based tags/smartcards. Why are these commands sent before apps are notified about the presence of a tag and even if no app is active at all? A typical NFC device will automatically discover the presence of NFC tags that contain NDEF messages. Usually such NDEF messages then trigger actions on the device (e.g. start an app). As your tag seems to be an ISO 14443-4 (ISO-DEP) compliant tag/smartcard, the NDEF discovery procedure for an NFC Forum Type 4 tag is started. This procedure normally contains of the following steps:
Remark on the Broadcom NFC stack: There is a known issue that seems to still exist on Android 4.4: Even after the tag is passed to an app and the app started IsoDep communication the NFC stack arbitrarily sends READ BINARY commands interleaved with the app's communication. This frequently results into protocol errors due to invalid command sequences. This does not happen with NXP's NFC stack. Can I prevent this initial processing of a tag? Yes, but only since Android 4.4. On that platform you can use the NfcAdapter's enableReaderMode method to bring the device into a reader mode without NDEF discovery. |
8. MIFARE DESFire EV1 GetVersion command 1 Command: 90 60 00 00 00h Expected Response: XX XX XX XX XX XX XX 91 AFh 9. MIFARE DESFire EV1 GetVersion command 2. The Storage Size code (SS) value indicates the storage size, in particular: 1Ah indicates 8192 bytes, 18h indicates 4096 bytes and 16h indicates 2048 bytes Command: 90 AF 00 00 00h Expected Response: XX XX XX SW XX SS XX 91 AFh 10. MIFARE DESFire EV1 GetVersion command 3 Command: 90 AF 00 00 00h 11. Expected Response: XX XX XX XX XX XX XX XX XX XX XX XX XX 91 00 |
[링크 : https://www.nxp.com/docs/en/application-note/AN11004.pdf]
'하드웨어 > rfid_nfc_smartc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rdListReadersA 함수(winscard.h) (0) | 2025.03.17 |
---|---|
NTAG (0) | 2025.03.12 |
mifare desfire 인증 프로세스 (0) | 2025.03.11 |
libnfc, libfreefare (0) | 2025.02.28 |
ATQA, SAK (0) | 2025.02.28 |
검색하다 보니 먼가.. DES가 들어갔듯
무언가 인증 절차가 있는 것 같은데 NDEF도 이 영향을 받는건가?
MIFARE DESFire 인증 프로세스:
|
[링크 : http://ko.as-rfid.com/info/what-is-the-authentication-process-of-mifare-81733128.html]
'하드웨어 > rfid_nfc_smartc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AG (0) | 2025.03.12 |
---|---|
NDEF 읽기 (0) | 2025.03.11 |
libnfc, libfreefare (0) | 2025.02.28 |
ATQA, SAK (0) | 2025.02.28 |
pcsc pseudo APDU (0) | 2025.02.28 |
마크가 바뀔때만 이런 화면을 띄워주는건가..
좀 자주 나왔으면 더 좋았을텐데아는 아쉬움
엔딩은 귀찮아서(!) 넘겼고
막판에 좁은데서 기동하다 보니 자꾸 꼬라박고 쳐박아서 한 5번 넘게 재시도 하고 끝낸듯
마지막이라 그런가 완료 보너스가 두둑하구만
F-22A 다음에 새로운 기체가 열렸다.
19, 20미션 돈을 모아서 지르기!
F-22를 얻었는데 가속+감속 키를 할당해두지 않아서 (기존 2) 조금 편할 것 같은 걸로 바꾸고
다음에 포스트 스톨 기동을 시도해봐야겠다.
300km/h (270knot) 이하에서 "가속 + 감속" + 피치 업
그러면 난 s 눌러서 감속해두고 쉬프트 ↓ 누르면 바로 된다는건가?
'게임 > ace comb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e combat 7 멀티 플레이 첫 시도 (2) | 2025.03.16 |
---|---|
ace combat 7 sp mission완료 (0) | 2025.03.15 |
ace combat 7 - 미션 19 (0) | 2025.03.10 |
ace combat 7 F-22 구매! (0) | 2025.03.09 |
ace combat 7 미션 진행중 (0) | 2025.03.08 |
보상이 후하구만
'게임 > ace comb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e combat 7 sp mission완료 (0) | 2025.03.15 |
---|---|
ace combat 7 - 미션 20, 엔딩 (0) | 2025.03.11 |
ace combat 7 F-22 구매! (0) | 2025.03.09 |
ace combat 7 미션 진행중 (0) | 2025.03.08 |
ace combat 7 키 맵 변경 (x-56) (2) | 2025.03.03 |
올해부터 생겨났다고 오늘 첨 알음.. -_-
솔찍히 알뜰교통카드도 아니고 k-pass로 바뀌고 앱을 실행할 이유가 없다 보니 늦게 알아서 억울(!!)
![]() |
![]() |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w batt (0) | 2025.03.14 |
---|---|
아내몰래 지름 ㅋㅋ (2) | 2025.03.13 |
2 스택 (0) | 2025.03.07 |
정신이 늙었어.. (2) | 2025.02.20 |
차 끌고 일찍 옴, 10g 만져봄 (0) | 2025.02.14 |
클럭을 12MHz정도로 낮췄더니
sleep mode로는 전력차이가 안나고
stop mode로 가야지 좀 차이가 난다.
uA 단위로는 standby mode로 가야 할 듯?
HAL_PWR_EnterSTOPMode(PWR_LOWPOWERREGULATOR_ON, PWR_SLEEPENTRY_WFI); HAL_ResumeTick(); |
[링크 : https://blog.naver.com/wararat/221024526207]
[링크 : https://blog.naver.com/eziya76/221543393453]
멀 잘못했나.. sleep() 에서는 소비전력 차이가 없고 uart 인터럽트가 작동한다.
죽은거 맞아? 그렇다고 main loop가 살아나는건 또 아닌디..
[링크 : https://controllerstech.com/low-power-modes-in-stm32/]
'embeded > Cortex-M3 ST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m32flash (0) | 2025.05.08 |
---|---|
stm32 timer로 gpio 에 연결된 led on/off (0) | 2025.03.26 |
STM32 float point support 활성화시 %f 출력 NaN (0) | 2025.03.07 |
STM32 timer 사용하기 (0) | 2024.12.13 |
STM32 PWM 으로 LED 점진적으로 깜박이기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