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전자회로'에 해당되는 글 19건

  1. 2025.10.22 로터리 엔코더
  2. 2025.10.18 스위칭 파워(스텝다운 컨버터) MP1584 사용
  3. 2025.10.11 스위칭 파워
  4. 2025.10.08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5. 2025.10.07 1.8인치 TFT SPI 128x160
  6. 2025.07.17 열전대 써모커플러
  7. 2025.07.15 buzzer - 액티브 패시브
  8. 2024.07.25 rheostat ?
  9. 2024.05.21 notch filter
  10. 2023.11.02 멀티미터 TR 테스트
embeded/전자회로2025. 10. 22. 14:11

싸니 한번 사서 가지고 놀아볼까?

 

[링크 : https://m.blog.naver.com/emperonics/222108739792]

[링크 : https://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E793636330] 590원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칭 파워(스텝다운 컨버터) MP1584 사용  (0) 2025.10.18
스위칭 파워  (0) 2025.10.11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0) 2025.10.08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10. 18. 16:43

언제 샀는지도 기억안나는 부품..(!!)

언제나의 습관대로 2개씩 구매해놔서 한번 배터리 터질 각오로 시도

PCB에도 칩에도 MP1584라고 써있다.


배터리 쪽은 만충이라 8.0V

 

원래있던 셋팅(?) 으로는 7.7V가 나오고 있다. 전압이 올라가면 달라지려나?

 

암튼 올바른 위치(?)의 + 에서 약간 돌리고 나서

 

5.3V 정도로 나온다.

 

18650 2개짜리 홀더가 있으니, 3.7*2 = 7.4V 를 입력받아 서보모터를 돌리는게 목적인데

2A까진 히트싱크 없어도 되지만 3A는 있어야 한다고. 흐음.. 그럼 없어도 될 듯

[링크 : https://www.coupang.com/vp/products/298245200?itemId=939169411]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터리 엔코더  (0) 2025.10.22
스위칭 파워  (0) 2025.10.11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0) 2025.10.08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10. 11. 22:19

LM7805와 같은 리니어 레귤레이터 말고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찾았었는데

이 기회에 써봐야 할 듯.

 

LM2576

[링크 : https://jerry-rc.tistory.com/31]

 

LM2596

[링크 : https://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E610667444]

 

LM317

[링크 : https://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C441108509]

[링크 : https://m.blog.naver.com/ann_arbor/221359159774]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터리 엔코더  (0) 2025.10.22
스위칭 파워(스텝다운 컨버터) MP1584 사용  (0) 2025.10.18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0) 2025.10.08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10. 8. 22:21

이번에 하나를 산 거 같은데 정리하다 보니 두 개가 나와서 이력을 찾아보니

아니 왜 산걸 까먹고 또 산겨 -_-

머 덕분에 멀티 adc를 이용한 채널 확장도 해볼순 있겠네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칭 파워(스텝다운 컨버터) MP1584 사용  (0) 2025.10.18
스위칭 파워  (0) 2025.10.11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buzzer - 액티브 패시브  (0) 2025.07.15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10. 7. 23:31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칭 파워  (0) 2025.10.11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0) 2025.10.08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buzzer - 액티브 패시브  (0) 2025.07.15
rheostat ?  (0) 2024.07.25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7. 17. 11:06

웨비나 보다가 검색

보상도선을 쓰지 않으면 일반전선과 온도센서 접합점이 온도센서가 되어 오차가 발생 한다고

[링크 : https://m.blog.naver.com/jsrhim516/223414081150]

[ 링크 : https://setoo0922.tistory.com/353] 종류, 어댑터

 

열전대 용접기

[링크 : https://www.dhtc.co.kr/yc/shop/product.php?it_id=1568167478]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어쩐지 부품이 두개더라 -_-?  (0) 2025.10.08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buzzer - 액티브 패시브  (0) 2025.07.15
rheostat ?  (0) 2024.07.25
notch filter  (0) 2024.05.21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5. 7. 15. 16:46

indicator 혹은 active buzzer는 내부에 회로가 내장되어

전기만 공급되면 resonant frequency 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transducer 라던가 passive buzzer가 pwm에 의해 주파수로 입력하면 원하는 소리가 나는 부품인듯.

 

[링크 : https://puiaudio.com/file/specs-AI-1223-TWT-3V-2-R.pdf]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인치 TFT SPI 128x160  (0) 2025.10.07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rheostat ?  (0) 2024.07.25
notch filter  (0) 2024.05.21
멀티미터 TR 테스트  (0) 2023.11.02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4. 7. 25. 11:57

가변저항이라는데, potentiometer 와의 차이를 모르겠다.

 

[링크 : https://www.analog.com/en/products/ad5272.html]

[링크 : https://blog.naver.com/roboholic84/220326171298]

 

포텐쇼미터는 전위차계로 번역을 하고, 레오스텟은 가변저항으로 번역을 하나?

[링크 : https://ko.efinetech.net/info/variable-load-resistor-84625884.html]

 

What is Rheostat?
The rheostat is composed of a resistive material that is used to control the voltage to the load. The setting of the rheostat can be adjusted by rotating a handle. This device is used to control current flow through a circuit

Difference between Potentiometer and Rheostats:
1) Potentiometer has two fixed resistors and a variable resistor, whereas Rheostat has only one variable resistor.
2) Potentiometer is mainly used for mechanical applications, whereas rheostats are primarily used for electrical applications.
3) The potentiometer is available with dials that help to read its setting value from outside of the circuit board, etc.
4) Potentiometers are available with a linear output, whereas Rheostats are available in logarithmic output.
5) Potentiometers are cheaper than Rheostats.
6) Both potentiometer and rheostat are used to control voltage.

[링크 : https://unacademy.com/content/neet-ug/study-material/physics/potentiometer-and-rheostats/]

[링크 : https://eepower.com/resistor-guide/resistor-types/rheostat/#]

 

포텐쇼미터는 단자가 3개라서, 중앙의 것과 양 끝단의 하나를 사용하면 가변저항 처럼 사용은 가능하지만

본 목적은 전압의 분배라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됨(!)

A potentiometer is basically a variable voltage divider; as the knob on the device is turned, a sliding contact creates a voltage divider between the input and the two outputs. In other words, a potentiometer is simply meant for voltage division. With a rheostat simply being a potentiometer with infinite resistance at the second output, it modulates total power received by the load connected to the output. If the rheostat and load resistance are equal, then maximum power is transferred to the load component.



[링크 : https://octopart.com/pulse/p/potentiometer-vs-rheostat-which-should-you-use]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전대 써모커플러  (0) 2025.07.17
buzzer - 액티브 패시브  (0) 2025.07.15
notch filter  (0) 2024.05.21
멀티미터 TR 테스트  (0) 2023.11.02
지름도착 - usb 인두기  (0) 2023.10.27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4. 5. 21. 19:36

노치필터 BRF(Band Rejection Filter), BSF(Band Stop)

THD+N 계산하기 위해 노치 필터를 적용한다고 어디서 본 거 같은데..

 

thd+n

[링크 : https://kr.mathworks.com/help/audio/ug/thd-n-measurement-with-tone-tracking.html]

 

band rejection filter / band stop filter

q값 = 중심주파수 / 대역폭

-3db 100Khz / 100hz = 100 (Q)

[링크 : https://m.blog.naver.com/dejc2000/221541137592]

 

Q값이 커질수록 selective한 필터

[링크 : https://blog.naver.com/85mighty/221153177677]

 

notch python

[링크 : https://hadaney.tistory.com/m/7]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zzer - 액티브 패시브  (0) 2025.07.15
rheostat ?  (0) 2024.07.25
멀티미터 TR 테스트  (0) 2023.11.02
지름도착 - usb 인두기  (0) 2023.10.27
소소한 지름  (0) 2023.10.24
Posted by 구차니
embeded/전자회로2023. 11. 2. 23:11

어떻게 써야하나? 설명서 버려버려서 ㅠㅠ

 

약자는 hybrid forward common emiiter 라는데 대문자면 직류 소문자는 교류의 증폭율이라고 한다.

For the common-emitter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mplifier h21 is called hfe. 'h' is for hybrid, 'f' is for ' forward, 'e' is for common Emitter.

[링크 : https://m.blog.naver.com/dreamcid/90064194925]

 

  ㅇ 직류 베타 (dc beta)  :  βDC, hFE
     - 때론, `직류 전류 이득(DC Current Gain)`,`공통 이미터 전류 이득` 등으로도 불리움

     - 직류 컬렉터 전류를 직류 베이스 전류로 나눈 것
        .   βDC = IC/IB = hFE

     - 특징
        . β ≫ 1
        . 온도, 트랜지스터 특성 편차 등의 변동성에 따른 영향에 취약함

  ㅇ 교류 베타 (ac beta)  :  βAC, βac, hfe
     - 또는, `교류 전류 이득(AC Current Gain)`이라고도 불리움

     - 교류 컬렉터 전류를 교류 베이스 전류로 나눈 것
        .   βAC = △IC/△IB | Vce=일정  = ic/ib = hfe

     - 특징
        . 특정 고정된(바이어스 하에서) Q 점에서의 기울기를 나타냄
        . 교류 베타 βAC는, 비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음
           .. 즉, 직류 컬렉터 전류량에 따라, 기울기(βAC) 값이 변하게됨
           .. 또한, 출력 부하 변동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음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4484]

[링크 : https://m.blog.naver.com/asoldieroc/222013784354]

 

 

순서는 EBC 인가?

[링크 : https://item.gmarket.co.kr/Item?goodscode=819975379]

 

 

집에 굴러 다니던 A1273 이라는  TR 인데  인터넷 찾아보니  PNP  라고 나온다.

EBC가 아니라 ECB 패턴인지 아래와 같이 꽂아야 353 증폭율이 나온다.

 

이번에 구매한 2N3904 NPN

테스터의 왼쪽 NPN에 EBC 순서로 연결하니 259배

 

2N3906 PNP도 EBC 순서로 하니 247배

 

다른데 연결해보는데 접점이 좋진 않아서 잘 측정이 안되는 느낌이라

나중에 구매하게 된다면 저런 원형 커넥터가 아니라 핀헤더 방식으로 된 걸 구매하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embeded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ostat ?  (0) 2024.07.25
notch filter  (0) 2024.05.21
지름도착 - usb 인두기  (0) 2023.10.27
소소한 지름  (0) 2023.10.24
트리 회로  (0) 2023.10.2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