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보고 있노라면 이제는 손 코딩, 머리 코딩 하는 사람은 사라지고

전부 ai에 의존해서 무언가를 작성해야 하는 시대가 온 것 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그 와중에 창립자가 하는 말이 개발자들이 자존심을 내세운다라..

반대로 검색이 되지 않아 어떤 회사인지 모르겠지만 이 회사가 얼마나 갈지 궁금하긴 하다.

 

바이브 코딩에 저항하는 개발자들..."인간에 대한 실존적 의문"

디 인포에이션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의 AI 스타트업 믹서스의 샤이 마그지모프 창립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2명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았다. 이들은 커서나 다른 인기 코딩 도구를 활용하라는 지시에 불응했기 때문이다.

마그지모프 창립자는 "그들은 커서보다 더 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라고 말했다. 또, 그들이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과 돈을 투자했기 때문에 자존심을 내세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규직 직원이 다섯명뿐인 상황에서 둘의 반항은 적지 않은 문제였다는 것이다. 결국, 회사는 두명을 해고했다. 그중 한명은 입사 일주일만이었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링크 :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093]

 

기자야!! 회사 이름 너무 대충 찾아보는거 아니냐!?!??!

최근 디 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이 보도한 샌프란시스코 AI 스타트업 ‘믹서스(Mixers)’의 사례는 이러한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링크 : https://메타ai뉴스.com/ai-코딩-시대-저항하는-개발자가-던지는-실존적-질문/]

 

+

구글 ai 검색으로 나오는건 코인베이스 라는 회사의 ceo가 ai사용하지 않는 개발자를 짤랐다 정도 기사?

[링크 : https://www.entrepreneur.com/business-news/coinbase-ceo-fired-software-engineers-who-didnt-adopt-ai/496250]

 

+

mixus..  mixers  두고보자 -_-

[링크 : https://www.facebook.com/gettheinformation/posts/two-engineers-at-the-ai-startup-mixus-were-fired-for-refusing-to-heavily-use-ai-/1406647658130893/]

 

[링크 : https://theaiinsider.tech/2025/07/24/mixus-launches-ai-agent-platform-built-for-the-inbox-raises-2-6m-pre-seed/]

 


ai는 계속 발전하겠지만 개인적으로 LLM 기반의 ai 광풍은 이제 한계가 아닐까, 지금이 최고점이 아닐까 생각된다.

MCP 로 ai에게 몸을 달아주고 스스로 trail-and-error를 통해서 자기가 축적한 자료를 검증하고 나서

날개를 달아 폭발적으로 기술적 특이점을 돌파하지 않을까 싶긴한데..

아직까지는 책상에 앉아 글씨로만 배운 수준이니, 어떤 형태로든 실전을 겪어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수 있지 않을까?

 

 

사족 1.

개인적으로 ai의 사용을 최소화 하는 이유

a. 미친듯이 막혀서 완전 답이 안나올때가 아니라면 내 머리속에서 정리되어있는 대로 따라가면 되는데 굳이?

    물론 타이핑은 안해도 되니 좋은데 포맷팅 좀 바꾸고(왜 툴 안쓰냐고?) 코드 분석하고 검증하면 그게 그 시간이라..

    남이 짜놓은 코드 분석하는게 내가 짜는거 보다 더 힘듦.

b. 돈 내고 가장 비싼 경험을 가르쳐 줘야 한다? 내가 수정한 것도 문맥에 따라 가게 하려면 다시 피드백 해줘야 하는데 왜?

    문맥을 따라간다는게 장점이자 단점. 반대로 개발자가 개발내용을 피드백 해주면 개발자는 돈내고 고급 정보를

    무상으로 주는셈이 되고 해당 ai는 피드백을 통해 더 성장할텐데 개발자에게 남는건 멀까?

c. ai 작성 코드의 품질 검증이 생각외로 비싸다는 것. 생성해내는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매 생성시 마다 전 루틴 검증해야 하면..

   a.랑 비슷한데 개발규모가 커질수록 모듈로 잘라서 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전체 시스템을 안보고 자꾸 폭주하는 느낌..

d. 어느순간 내가 기계에게 해줘 안돼 에러 복붙만 하는 기계가 되는걸 보면서 현타가 옴

    개인적으로 딸칵충으로 진화하면서 뇌를 안쓰는게 느껴져서 안쓰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됨.

e. 궁극적으로는 내가 일을 하면서 성장하는게 아니기에 남는게 하나도 없어 보인다는거. 단지 시간 단축(?)과 코드만 남음

   솔찍히 시간이 단축되는지 조차도 의문. 그 와중에 ai 서비스 쿼터 다 사용했거나 서비스가 느리면?

   그리고 ai가 짠 에러를 고치는 것도 내가 머리를 안쓰고 시키다 보니 ai 사용량 다 차면 하루치 다 했다고 뿌듯(?)하게

   일했다는 착각헤 손을 놔버리게도 되어버림.

f. 회사에서 돈 받고 하는건데 학습한 코드가 GPL 이라면?

    논문의 카피킬러 처럼 코드에서 GPL 만 찾아소송거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그 경우 ai를 사용한 개발자 탓인가?

 

사족 2.

차가 발명되었는데 내가 빨라 하고 달리는 사람을 비유한 동료의 말을 들으면서

아니 그래도 이건 그거랑 다르지 않나 싶으면서도 반박할 수 없었던 게 슬픔.

 

사족 3. 

인간과 같은 행동과 일을 할 수 있는 존재의 탄생으로 인해

무엇이 인간을 인간으로 정의할수 있게 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벗어날수 없게 됨

ai 만도 못한 존재가 되어버리면 그걸 인간이라고 해야하나? 혹은  ai 보다 못한 존재를 인간이라고 정의?

 

사족 4.

가짜 노동의 끝판왕이라고 해야하나.. ai가 작성한 문서를 다시 사람에게 맞춰서 서식 변경하고

(웬만큼 맞춘다고 해도 내부 문서 포맷이 있을테니) 결국에는 나는 무언가를 행했다는 것만 남고

무언가를 사유하지 않게 되는데, 그러면 이 일이 제대로 된건 맞을까?

Posted by 구차니

개인 권한으로 하려니 안되서 어쩔수 없이 root 권한으로 설치 --

sudo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링크 : https://github.com/google-gemini/gemini-cli]

 

 

 

 

 

이후에 계정 연동해서 하려는데 회사 계정으로는 안된다.

나중에 개인 계정으로 시도해 봐야겠다.

 

 

 

Posted by 구차니

이게 터미네이터지

 

정리해고 당한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코파일럿이 날렸나?

[링크 : https://byline.network/2025/05/19-489/]

Posted by 구차니

문득 uinput 에서 해상도별 좌표를 일일이 테스트하지 않고 수식으로 바로 할 수 없나 해서 물어보는데

모델 바꾸기에 "웹 검색" 이라는게 추가되고 그걸 누르면 웹을 검색해서 알려주나 보다.. 싶은데

 

2024년 3월 글 까지 끌려오는거 보면 꽤나 제약이 풀린 모양이다.

근데.. 아니 내가 물어봤는데(?) 내 글로 대답해주면 빡치겠지?!?!?

AI 확 전기선 뽑아 버린다!?

 

 

자세한 구현 방법과 추가적인 예시는 uinput을 이용한 절대좌표 입력 기기 만들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uinput touch 장치 흉내내기에서는 터치스크린과 유사한 입력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Posted by 구차니

월 22$ 회사돈으로 나가긴 하지만

사용빈도가 낮고, 무료 사용량 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아서 구독 해제.

copilot 이라던가 다른거 쓰라지만

3달간 경험으로 얘가 정말 나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었냐? 라는 질문에 조건부 yes라고 하기에도 애매해서

다른 서버스를 쓰게 될지는 미지수.

 

내가 타자 안해도 되고,

내가 타자하는 것 보다 생성하는 양이 많아서 좋아 보였지만

결국에는 내가 모르는 것이기에 이해하고 써야하는 지병(?)때문에

타이핑을 써내려가는 도구 그 이상으로 쓰지 못하는 나의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구차니

다음의 날씨 + 지역

키워드를 이용해서 나오는 정보를 가져오고

그걸 프론트에서 svg 애니메이션 아이콘과 함께 출력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어 봄

 

배경은 밤에는 짙은 하늘색

낮에는 점진적으로 변하는 파란색이다.

 

 

python을 flask로 작동하는데

링크만 주고 빼오면 되는거라, 작동안하면 그 때 또 링크 주고 해달라고 하면 되겠지 머 ㅋㅋ

 

weather.zip
0.01MB

'개소리 왈왈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가 날로먹으려고 한다!!!!  (0) 2025.03.21
claude 구독 해제  (0) 2024.11.22
클로드로 날로먹기 모드  (0) 2024.09.12
클로드 괜찮네?  (0) 2024.08.14
GPT-4o?  (0) 2024.05.27
Posted by 구차니

심심해서 장난감 만드는 용도로

간단하게 날씨를 그려주는 웹을 코드는 손 하나도 안대고

짜보는 중

 

그런데.. 글자수 제한이 있어서 잘리네? 이걸 어떻게 우회해야하지? ㅠㅠ

'개소리 왈왈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ude 구독 해제  (0) 2024.11.22
클로드를 이용해 코드는 손도 안대고 웹페이지 만들기  (1) 2024.09.13
클로드 괜찮네?  (0) 2024.08.14
GPT-4o?  (0) 2024.05.27
GPT 4. 미국 변호사 시험 상위 10%  (0) 2023.03.16
Posted by 구차니

chatGPT는 먼가 성능이 좋지도 신뢰도 할 수 없는 적토마 라는 느낌인데

claude는 제법 똑똑하고 미음이 가는 경주마 라는 느낌?

 

4~5번의 대화 끝에 아래의 소스를 생성해준다. 이정도면 chatGPT보다 빠르고 나름 믿고 쓸만한 듯?

네, 요청하신 대로 DHT22에서 습도를, BMP280에서 온도와 기압을 측정하고, 이를 원격 라즈베리 파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개별 소스코드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1. 센서 데이터 수집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

```python
# sensor_client.py

import Adafruit_DHT
import Adafruit_BMP.BMP280 as BMP280
import time
import requests
import uuid

# 센서 설정
DHT_SENSOR = Adafruit_DHT.DHT22
DHT_PIN = 4  # GPIO 핀 번호
bmp = BMP280.BMP280()

# 클라이언트 ID 설정
CLIENT_ID = str(uuid.uuid4())

# 서버 설정
SERVER_URL = "http://your_server_ip:5000/api/weather"

def get_sensor_data():
    humidity, _ = Adafruit_DHT.read_retry(DHT_SENSOR, DHT_PIN)
    temperature = bmp.read_temperature()
    pressure = bmp.read_pressure() / 100  # hPa로 변환

    return {
        "client_id": CLIENT_ID,
        "temperature": round(temperature, 2),
        "humidity": round(humidity, 2) if humidity is not None else None,
        "pressure": round(pressure, 2)
    }

def send_data(data):
    try:
        response = requests.post(SERVER_URL, json=data)
        print(f"Data sent. Status code: {response.status_code}")
    except requests.RequestException as e:
        print(f"Error sending data: {e}")

if __name__ == "__main__":
    while True:
        data = get_sensor_data()
        send_data(data)
        time.sleep(300)  # 5분마다 데이터 전송
```

2. 서버 API (서버 라즈베리 파이):

```python
# server_api.py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import psycopg2
from psycopg2.extras import RealDictCursor

app = Flask(__name__)

#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
DB_PARAMS = {
    "host": "localhost",
    "database": "weather_db",
    "user": "your_username",
    "password": "your_password"
}

def get_db_connection():
    return psycopg2.connect(**DB_PARAMS)

@app.route('/api/weather', methods=['POST'])
def add_weather_data():
    data = request.json
    conn = get_db_connection()
    cur = conn.cursor()
    try:
        cur.execute(
            "INSERT INTO weather_data (client_id,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VALUES (%s, %s, %s, %s)",
            (data['client_id'], data['temperature'], data['humidity'], data['pressure'])
        )
        conn.commit()
        return jsonify({"message": "Data added successfully"}), 201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return jsonify({"error": str(e)}), 400
    finally:
        cur.close()
        conn.close()

@app.route('/api/weather', methods=['GET'])
def get_weather_data():
    conn = get_db_connection()
    cur = conn.cursor(cursor_factory=RealDictCursor)
    try:
        cur.execute("SELECT * FROM weather_data ORDER BY timestamp DESC LIMIT 100")
        data = cur.fetchall()
        return jsonify(data)
    finally:
        cur.close()
        conn.clos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0.0.0.0', port=5000)
```

3. 데이터베이스 설정 (서버 라즈베리 파이):

PostgreSQL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을 설정합니다:

```sql
CREATE DATABASE weather_db;

\c weather_db

CREATE TABLE weather_data (
    id SERIAL PRIMARY KEY,
    client_id VARCHAR(50),
    temperature FLOAT,
    humidity FLOAT,
    pressure FLOAT,
    timestamp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
);
```

4.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
```
pip install Adafruit_DHT Adafruit_BMP280 requests
```

서버 라즈베리 파이:
```
pip install flask psycopg2-binary
```

5. 시스템 실행: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
```
python sensor_client.py
```

서버 라즈베리 파이:
```
python server_api.py
```

이 시스템에서:

- 클라이언트 라즈베리 파이는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5분마다 서버로 전송합니다.
- 서버 라즈베리 파이는 API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 GET 요청을 통해 최근 100개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구현 시 고려할 점:
1. 오류 처리와 로깅을 더 강화하세요.
2. HTTPS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세요.
3. 클라이언트 인증을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하세요.
4.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링을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하세요.
5.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설정을 관리하세요.

이 코드는 기본적인 구조를 제공합니다. 실제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구차니

오늘 심심해서 수다나 떨려고(!) 접속했는데

GPT-4o 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하다고 해서 지금 사용해 보기 눌렀는데

 

 

정작 차이는 없는것 같은데.. 모르겠다

 

결제 쪽에서도 GPT-3.5가 기본이고 GPT-4o에 제한적 엑세스라는데, 어떤 의미로 "제한"인진 모르겠다.

 

GPT-4o 맞냐니가 맞다는데.. 믿어야 하나?

 

 

10개 질문했는데 5시간 뒤에 풀린다네..

횟수의 제한이었군!

 

10개 질문이 끝나서 GPT-3.5로 전환 된 이후 질문에 대한 답.

그런데.. 자신의 모델을 알려주는게 더 신기한 학습이네.. 어떻게 자기의 버전을 아는거지?

'개소리 왈왈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드로 날로먹기 모드  (0) 2024.09.12
클로드 괜찮네?  (0) 2024.08.14
GPT 4. 미국 변호사 시험 상위 10%  (0) 2023.03.16
대 AI시대, 프로그래머란...?  (2) 2023.02.08
시소러스 (thesaurus)  (0) 2020.01.19
Posted by 구차니

특이점 주의자들이 말하는 그 특이점의 첫 발자국을 지금 보고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링크 : https://v.daum.net/v/20230315061432560]

 

아직은 거짓이라고 생각하지만

더 많은 데이터를 통해서 검증을 해보면 실은 그게 정답이어야 했다던가

그런 차원이라면 이미 그 경계를 넘은걸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세종대왕 맥북던진 사건은 좀 아니지)

'개소리 왈왈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드 괜찮네?  (0) 2024.08.14
GPT-4o?  (0) 2024.05.27
대 AI시대, 프로그래머란...?  (2) 2023.02.08
시소러스 (thesaurus)  (0) 2020.01.19
우버 자동운전 차량 첫 사고 동영상 공개  (4) 2018.03.22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