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 관련 설명을 읽다보니 "NDIS6.2 에서는 새로운 RSS 데이터 구조와 인터페이스가 도입"
이라는 신기한 문구가 보이길래 검색겸 정리!
RSS로 검색하면 구독용 RSS만 잔뜩 나와서 조금 검색하기가 힘들다 -_-

오늘 얘기할 Receive Side Scaling 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패킷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아키텍처 입니다. 
보통의 경우는 패킷이 NIC에 왔을 때 인터럽트가 걸리고 미니포트의 ISR 에서 DPC 를 큐잉하여 DPC에서 전체 패킷을 받아오게 끔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때 기존의 방식은 처음 인터럽트가 걸린 CPU 에서 패킷처리를 담당하게 됩니다.(DPC 큐잉이 동일 CPU에서 이루어지므로). 
RSS 방식은 이 시점에서 패킷에 대한 처리를 처음 인터럽트가 걸린 CPU가 아닌 다른 CPU 코어로 전달한다든지, 아니면 특정 연결을 하나의 CPU 로만 할당한다든지 하는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인터럽트에 대한 배분을 효율적으로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NIC 의 수신처리를 다수의 CPU 처리로 분산시켜서 IDLE 상태의 CPU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고, Shared 리소스에 대한 처리를 한 CPU 로만 지정하여 처리토록 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스핀락 오버헤드 같은 것)의 리로딩을 줄여주게 됩니다.
꽤 쓸만하죠. 아니 요즘 멀티코어 시스템에선 이러한 기능을 갖는 랜카드가 필수적인 옵션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링크 : http://zpacket.blogspot.com/2010/07/rssreceive-side-scaling.html]
 

Receive-Side Scaling (RSS) resolves the single-processor bottleneck by allowing the receive side network load from a network adapter to be shared across multiple processors. RSS enables packet receive-processing to scale with the number of available processors. This allows the Windows Networking subsystem to take advantage of multi-core and many core processor architectures.
 

[링크 : http://technet.microsoft.com/en-us/network/dd277646]
 

When Receive Side Scaling (RSS) is enabled, all of the receive data processing for a particular TCP connection is shared across multiple processors or processor cores. Without RSS all of the processing is performed by a single processor, resulting in inefficient system cache utilization.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network/adapter/pro100/sb/cs-027574.htm
 

Posted by 구차니
빵집으로 압축풀고 안에있는 설치프로그램을 호환성 모드로 VISTA로 돌려도 안되길래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2cpu 글을 참조하여 실행했더니 된다.

그런데 제대로 될지는 테스트 해봐야 할듯..

Step 1. 일단 비스타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 : http://downloadcenter.intel.com/Detail_Desc.aspx?agr=Y&DwnldID=18718&ProdId=879...]

Step 2. 빵집으로 압축해제


Step 3. 윈도우 7 내장 드라이버에서 VISTA용 드라이버로 강제 설치




Step 4. 압축해제한 프로그램중에서 DxSetup.exe 실행


Step 5. 네트워크 속성에서 설정화면에 들어간다.
           네트워크 - 우클릭 - 속성 - 로컬 영역 연결 - 우클릭 - 속성 - 구성



이렇게 한번 드라이버를 강제로 엎어씌우면 문제없이 설치는 된다.

[링크 :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677931&sca=&sfl=wr_subject...]
2010/12/16 - [하드웨어/Network 장비] - Intel 랜카드 종류 식별하기 + Teaming 


---
증상으로는 ALB 적용시 jumbo frame이 안되는듯?
XP에서는 문제없이 되었던거 같은데.. VISTA용 드라이버를 Win7에 깐 여파일려나?

 
2011.08.07 추가 
XP에서는 역시 문제없이 점보프레임 에러없이 실행이 된다 -_- 

2011.08.13 추가
VISTA에서는 VISTA 드라이버로 설치하기 때문에 점보프레임 에러없이 실행된다.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 도움말  (0) 2011.08.06
NDIS 6.2 RSS(Receive Side Scaling)  (0) 2011.08.06
Intel PRO/1000 MT Server Adapter Driver for Win7  (4) 2011.08.03
InifiniBand (인피니밴드)  (0) 2011.07.02
케이블 핀 결선도(pin out)  (0) 2011.06.05
Posted by 구차니
문득 네이트의 맞불작전으로
포탈에 새로운 출사표를 던지는 이스트소프트를 희생양으로
화살을 돌리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신상정보 다 털리는 상황에서 보안업체가 해킹진원지라는 것 만큼 충격이 있는것도 없고
일타이피로 가뜩이나 낮은 네이트의 점유율을 빼앗을 가능성이 있는 zum도 타격을 입히고
이래저래 썩 나쁘진 않은 시나리오일듯..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1. 8. 5. 11:30
예전에 찾아 다니던 글이었는데, 이제서야 찾는다. -_-

무식은 알지 못하는 것이고
무지는 알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링크 : http://simmotto.blog.me/10053726765]
 

가끔 이 말을 던져주고 싶은 생각이 들때가 있다.
"너가 모른다고 틀린게 아니다"
+
"무식은 알지 못하는 것이고
무지는 알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카이프가 미쳤어요!  (2) 2011.08.10
넌 모하는 스팸이야?  (2) 2011.08.08
여자에 대하여  (4) 2011.07.23
테크노마트 흔들렸다고!?  (4) 2011.07.05
스케일링? 스켈링?  (2) 2011.07.02
Posted by 구차니
소비전력도 착하고 무게도 가볍고 그래서 2개 질러서 쓰고 있고
집에서도 사용하려고 2개 더 살까 하는 녀석이긴한데
아쉬운 점은, 스탠드가 완전하게 뽑히지 않는 다는 점이다.

제품 설명에는 아래와 같이 완전히 뽑힐것 같은데

[링크 : http://blog.danawa.com/prod/?section_m=PC&prod_c=1221900]

하지만 현실은


그래서 문의전화를 해보니 모델에 따라 빠지는것도 있고 안빠지는것도 있고,
안빠질 경우에는 물류비 내고 보내면 빼준다고 하는데, 뒷판분해해서 빼면된다니까
해볼까 하면서도 막상 구차늠 -_- 
Posted by 구차니
INSPECTOR 2 SE (KD-303KR) 라는 대기전력 측정용 기기
아부지께는 "재미난 장난감"이라고 소개를 해드렸는데..



AMD 4600+x2 / 1GB / 온보드 / HDD 2개 이고아무튼 집에와서 측정을 해보니

2.4Ghz
BIOS 에서 85W
Windows 가동후 50~90W 오가며 일반적으로는 70W 근처에서 오락가락

1.0Ghz
BIOS 에서 65W
Windows 가동후 50~70W 오가며 일반적으로는 60W 근처에서 오락가락

확실히 전기를 덜먹기는 한다.
참고로 컴퓨터 자체 대기전력은 3W, 모니터는 1W를 유지했다(모니터 작동시에는 30W / 
19인치 CCFL 모델)
4600+X2 CPU는 TDP가 65W라고 광고를 하고 있는데
메인보드라던가 하드, 램에서 먹는 양을 감안해보면
CPU 다운클럭을 통해 20W 정도 줄었다는 것은 상당한 메리트가 있어 보인다.
65W -> 45W 정도 줄어들었다는 점이고
만약 4850e 정도의 저전력(45W) 이라면 20W까지는 아니어도
30W 정도 까지 그리고 전체 시스템으로는 50W 급 정도까지 다운시킬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2011/07/31 - [하드웨어] - 컴퓨터 다운클럭킹(down clocking)



-----
2011.08.05 오전 추가

1. 8800GT SLI 시스템
    대기전력 8W / 풀로드시 340W(BOINC로 CUDA 연산 2개 모두)

2. 22인치 LED Full HD 모니터
    대기전력 1W 미만 / On 시 20W

3. Xeon(nocona) 3.0Ghz 2 CPU 서버 시스템
   대기전력 11W / 최대 310W / 부팅후 일반적으로 260W

LED라서 10W정도 덜 먹고, SLI라서 졸라 전기 쳐묵쳐묵 하고 -_-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11. 8. 4. 17:58
---
삼바 공유된 경로를
nfs통해서 원격으로 끌어온 뒤
다시 samba로 공유하려고 할 경우 엄청난 딜레이 후에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원인은 파일 공유 lock 때문인데
samba 설정보다는 nfs 쪽 lock 관련 문제이기 때문에
nfs mount시에 설정해야 해결이 된다.

2012/12/11 - [프로그램 사용/nfs] - nfs mount 시 옵션들
---


[링크 : http://book.opensourceproject.org.cn/sysadmin/samba/definitive/opensource/8885final/lib0074.html]
[링크 : http://utcc.utoronto.ca/~cks/space/blog/linux/NFSSambaLockingII]
[링크 : http://oreilly.com/catalog/samba/chapter/book/ch05_05.html

'프로그램 사용 > n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wmount  (0) 2012.06.08
ubuntu nfs 지원  (4) 2012.06.06
cp: `./filename'의 소유자 검출 실패: Operation not permitted  (0) 2011.08.03
NFS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공유기를 거쳐)  (0) 2011.07.29
nfs 보안  (2) 2011.06.24
Posted by 구차니
솔찍히 봐도 먼 소리인지 모르겠다 -_-
아무튼 역률은 전기의 효율과 관련된것 같고(위상각 어쩌구 하는데 알게 모람 -_-)
0~1 사이의 실수값을 가진다.

[링크 : http://blog.daum.net/wm201/7331947]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서보(?)  (0) 2015.11.24
DMOS?  (0) 2015.10.20
PID 제어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0) 2015.10.13
전류제어  (0) 2015.09.11
디지털 필터 - FIR / IIR  (0) 2015.01.23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1. 8. 4. 16:57
NEON은 ARM 코어를 위한 SIMD 엔진이다.
ffmpeg 등이 ARM용 NEON을 지원하는듯 하다.

The ARM® NEON™ general-purpose SIMD engine efficiently processes current and future multimedia formats, enhancing the user experience.

NEON technology can accelerate multimedia and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such as video encode/decode, 2D/3D graphics, gaming, audio and speech processing, image processing, telephony, and sound synthesis by at least 3x the performance of ARMv5 and at least 2x the performance of ARMv6 SIMD.

NEON technology is cleanly architected and works seamlessly with its own independent pipeline and register file.

NEON technology is a 128 bit SIMD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architecture extension for the ARM Cortex™-A series processors, designed to provide flexible and powerful acceleration for consumer multimedia applications, delivering a significantly enhanced user experience.  It has 32 registers, 64-bits wide (dual view as 16 registers, 128-bits wide.


[링크 : http://www.arm.com/products/processors/technologies/neon.php]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ARM  (0) 2012.01.12
ARM infocenter  (0) 2011.12.10
arm용 linux 패치  (0) 2011.06.20
ARM JTAG / Wiggler + H-JTAG  (0) 2010.07.16
ARM용(암용) 툴체인, 컴파일러 - arm-linux-gcc : tool chain for ARM  (0) 2010.07.0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1. 8. 4. 16:09
머 이런게 있다더라~
플래시 특성상 0->1로는 바꿀수 있지만 1->0으로는 바꿀수 없기 때문에
플래시 장비들은 블럭단위로 삭제후(전부 0으로 바꿈) 데이터를 쓴다.
아무튼 하드속도를 위해 실제로 삭제되지 않고 MFT 에서 삭제만 한다던가 하는 식으로
실제 데이터를 지우지 않고 지운것으로 간주하고, 다음번에 덮어쓰는 식으로 작동을 하게 되는데
플래시 기반 장치인 SSD의 경우 데이터 저장시 이러한 행위를 하게 되면
블럭 삭제 - 저장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오랜시간이 소요된다.
이게 프리징의 원인인지는 모르겠지만, 블럭을 삭제하는건 생각보다 오래 걸리므로 썩 좋은 아이디어는 아니기 때문에
OS와 협동으로 삭제시 바로 플래시에서도 지워내는게 바로 Trim 명령인듯하다.

TRIM command 는 ATA 표준으로 정의된 명령으로, 데이터를 삭제할때, 실제 [블럭]의 데이터도 삭제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휴지통으로 데이터를 지워도 실제 블럭내의 데이터를 소거하는것이 아닌 단순히 비워있음으로 표시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은 덮어쓰기를 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에서는 전혀 상관이 없지만 SSD는 블럭단위로 기록/삭제 과정에서 기존데이터를 소거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쓰기작업시 딜레이가 발생함으로써 전체적인 SSD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TRIM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이지요. 

하지만 TRIM command 는 OS레벨에서 지원을 해줘야 완벽히 연동이 가능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등을 이용해야합니다. 현재로서는 Windows7 이 TRIM 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OS입니다. 즉 Windows7 에서 휴지통으로 데이터를 지우는순간 OS가 SSD에 [TRIM 명령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SSD 는 소거된 데이터의 블럭을 실제로 비워냅니다. 그러나 TRIM 은 글로벌 웨어 레벨링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TRIM 도 SSD의 성능저하를 막아내는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메모리 블럭에 불필요 데이터가 알게모르게 쌓일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글로벌 웨어 레벨링과 블럭리매핑등도 때때로 함께 해줘야 할 필요성이 있지요. Garbage Collection 등의 기능이 유틸리티로 지원되거나 컨트롤러에서 자동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삼성, 인텔, 인디링스 칩셋들..)
11/22 11:40 002
김진우

[링크 :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news&no=17756]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r / ddr2 / ddr3  (0) 2011.08.14
USB CDC-ACM (Abstract Control Model)  (0) 2011.08.14
Transcend SD 4GB 분해  (0) 2011.07.09
HDD 전송속도  (0) 2011.06.25
MS 무선 데스크탑 3000 사용기(?)  (2) 2011.06.1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