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RAID2011. 7. 30. 23:14
메인보드에 내장된 녀석인데.. RAID 0 / 1을 지원한다.
설정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Win7에서 드라이브로 인식 안되는 문제 발생 -_-


BIOS 설정화면
IDE configuration - OnBoard S-SATA Channels에서
Configure S-ATA as RAID를 켜주면 된다.


그러면 부팅시에 Intel(R) Embeded Server RAID Technology 라고 뜨며
Ctrl - E를 누르면 설정화면으로 들어갈수 있다.


메뉴는 컬러풀! 하며 Configure에서 하단의 도움말을 따라가면서 하면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READY는 아직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SPACE를 눌러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Online으로 변경된다.


F10을 눌러 Configure를 들어가서


SPACE를 누르면 SPAN-1이 라고 뜨며


F2를 누르면 Child Information이


F3를 누르면 Slot Information이


F10을 누르면 Configuration이 뜬다. RAID 0과 RAID 1을 선택하면 아래의 Size가 변경된다.



설정후에는 Accept를 선택하고 나와야 하며


혹시나 해서 Initialize를 해주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Consistency는 상당히 오래 걸리지만, Initialize는 빨리 끝난다. 

 


아무튼 설정이 되고 나서 리부팅 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된 Logical drive 목록이 뜨게 된다.


BIOS 상에서는 아래와 같이 Intel(R) MD Raid 라는 장치가 추가되며


Secondary IDE Master / Slave는 사라진다 -_-


'하드웨어 > R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pe size에 따른 속도변화  (0) 2011.07.31
3ware 9500s 속도 제한걸리는 이유?  (0) 2011.07.30
3ware Disk Manager - 3DM 2  (0) 2011.07.29
사용중인 하드의 속도들...  (0) 2011.07.29
Intel 내장형 SCSI RAID 풀기  (0) 2011.07.29
Posted by 구차니
강제로 램속도를 2700이 아닌 2100으로 맞추고 4개 슬롯을 쓸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을 했지만..
BIOS에 들어가서 보니.. 설정가능하거나 확인가능한 사항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OTL


Posted by 구차니
음.. Xeon 서버에서는 이미 2006년도 정도에 EFI를 투입한건가..
아무튼 생각보다 많이 느린데.. 이거관련해서 메뉴얼을 찾아 봐야할듯...

BIOS 보다 간결한데.. LoadFile() 이런류의 개발자스러운 느낌? ㅋㅋ


자체적으로 쉘도 지원하고


음.. 이렇게 보면 꼭 u-boot 가지고 노는 느낌 ㅋㅋ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29. 22:58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을 하지만, 실제로는 Windows Service에 등록된
녀석을 통해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Driver를 통해 값을 받아올뿐,
Runtime에 RAID 구성을 바꾸는 등의 행위는 할 수 없다.

기본 로그인 암호는 administrator / 3ware 이다. 


Summary


Information - Controller Details


Information - Unit Information


Information - Drive Information


Management - Controller Settings


Management - Scheduling


Management - Maintenance


Monitor - Alarms


Monitor - Battery Backup


Monitor - Enclosure support

3DM 2 Settings


3DM 2 Setting 쪽에 웹페이지 관련이나,
E-mail notification을 제외한다면 설정가능한 내용은 없고 단지 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생각보다 효용은 많이 떨어지는 듯..

개인적으로는 3DM 2는 포기하고, 3BM(Bios Manager) 만으로 커버하는것도 나쁘진 않을듯 하다.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29. 22:26
GbE를 버텨주려면 500GB 이후의 세대들을 구매해야 할려나?

보조하드로 사용중인 250GB 짜리인데, 평균 50MB/s 나오길래
흐음.. 다.. 그런가 보다 하고 포기를 하려는데
 

헐.. 시작부터 범상치 않은 WD 500GB 하드 -_-
평균을 100MB/s를 찍어 주다니.. 이런 녀석으로 RAID를 구성해야 Dual Port 정도 겨우 버텨줄듯 -_-
GbE로 풀 스피드를 내면 못해도 초당 80MB/s는 전송하게 되는데 이정도는 되어야 전송속도 보다 하드가 빠르니..


아무튼, 신형 하드들은 160MB~200MB/s 나온다는게 꼭 구라는 아닌듯
단지 내가 사용하는 하드들이 구형일뿐 ㅠ.ㅠ

2011/06/25 - [하드웨어] - HDD 전송속도

---
2011.07.30 추가
외주/내주 50 MB/s 만 내던녀석인데, 독립적으로 연결하니 헐 -_-
속도 잘나오자너 -_-!!! 3ware 레이드 카드에 속도제한이 걸린걸려나.. 설정을 찾아봐야 할듯하다.

'하드웨어 > R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R) Embeded Server SATA RAID  (0) 2011.07.30
3ware Disk Manager - 3DM 2  (0) 2011.07.29
Intel 내장형 SCSI RAID 풀기  (0) 2011.07.29
3ware 9500s BIOS Manager / RAID5 구성기  (6) 2011.07.29
3ware 9500s SATA RAID 5 벤치마크 관련  (0) 2011.07.28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29. 17:04
Step 1. SCSI RAID 설정화면에 들어가서

Step 2. <Device Properties>를 들어가면
           설정이 불가능해지고 출력 내용이 좀 바뀐다.


Step 3. <RAID Properties> 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상단의 Delete Array를 통해 Mirroring이나 Striping을 해제할 수 있다.
           Mirroring은 사용이 가능함에 비해, striping은 해제해도 이전의 데이터를 사용할수 없을듯 하다.


Step 4. Delete Array를 하면 경고 한번 때리고는 겁을 주지만 우리는 쫄지말고 고고싱~
           여기서는 쫄지말고 Enter를 눌러준다.



IM(Mirroring)으로 설정하다가 속도가 너무 느려서 해제를 했는데
경고와는 다르게 문제없이 미러링이 해제되고, Primary의 설정은 그대로 남아서 부팅이 문제없이 된다.
특이한건, Mirroring으로 사용하던 하드에는(귀찮으니 D: 라고 이야기 하고)
Primary(귀찮으니 C:)의 하드내용을 디스크 복사한 양 D:에 똑같이 복사되어 있다.
Synchronize가 완료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복사하면서 이렇게 버벅댄걸지도..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29. 14:07

Step 1. "ALT-3" 을 눌러           


            3BM(3ware Bios Manager)에 들어가면 경고메시지가 반겨주고


Step 2. 썰렁(?) 하지만 Available Drives에 연결된 하드들이 뜬다.
           4개까지 가능한 녀석이니 4개만 뜨는데, Enter를 누르거나 Alt-a를 눌러 선택을 하면
           *Port 0 처럼 *이 붙는다.


Step 3. 선택후 하단의 "Create Unit"을 누르면 Array로 묶을 디스크에 대한 옵션이 나오는데
           RAID 레벨과 Stripe 크기등을 설정할수 있다.


Step 4. 디스크 4개에서는 RAID 1(Mirroring)은 지원하지 않고
           그 외에 다른 설정들을 사용할수 있지만, 일단 RAID5로 고고


Step 5. BBU(백업 배터리 유닛) 없다고 겁준다 -_- 무시


Step 6. 아무튼. 320기가 하드 4개로 RAID5를 하니 하드 3개 크기의 단일 드라이브가 생성된다.
           (RAID 5 특성상 하나는 Parity 전용으로 사용하므로, 디스크 가용용량은 n-1이 된다.) 


Step 6-1. 심심해서 두개로 만들어본 화면 Stripe(RAID 0)이기 때문에 용량이 2배로 늘어난다.


Step 7. 위의 화면에서 ESC를 누르면 변경 사항을 저장할지 물어보는데 일단 Y를 눌러주어야 저장된다.


머.. 윈도우에서는 별다른건 없으니 패스.
생각보다 성능이 안나오는건 다시 테스트가 필요하니 패스 

패스한 내용은 다음글 참고
2011/07/28 - [하드웨어/RAID] - 3ware 9500s SATA RAID 5

'하드웨어 > R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중인 하드의 속도들...  (0) 2011.07.29
Intel 내장형 SCSI RAID 풀기  (0) 2011.07.29
3ware 9500s SATA RAID 5 벤치마크 관련  (0) 2011.07.28
내장 SCSI RAID 미러링(LSI Logic 1030 - RAID1)  (0) 2011.07.28
RAID 1E  (0) 2011.07.27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nfs2011. 7. 29. 11:51
NFS는 보안상의 문제가 있어서 되도록이면 외부접속은 하지 않는게 정석이지만,
꼭 해야 한다면 다음의 절차를 거치면 된다.


1. mountd 서비스 포트 고정
/etc/services 에 mountd를 특정포트로 고정한다.
[링크 : http://mindwing.kr/141]

2.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
rpcinfo -p 에서 나오는 portmapper 와 nfs 그리고 mountd 포트를 포워딩 해준다.
(111번 그리고 2049번 위에서 설정한 mountd 포트를 포워딩하면 된다)
$ rpcinfo -p
   program vers proto   port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24    1   udp  58095  status
    100024    1   tcp  49200  status
    100021    1   udp  44937  nlockmgr
    100021    3   udp  44937  nlockmgr
    100021    4   udp  44937  nlockmgr
    100021    1   tcp  50652  nlockmgr
    100021    3   tcp  50652  nlockmgr
    100021    4   tcp  50652  nlockmgr
    100003    2   udp   2049  nfs
    100003    3   udp   2049  nfs
    100003    4   udp   2049  nfs
    100003    2   tcp   2049  nfs
    100003    3   tcp   2049  nfs
    100003    4   tcp   2049  nfs
    100005    1   udp  36811  mountd
    100005    1   tcp  33175  mountd
    100005    2   udp  36811  mountd
    100005    2   tcp  33175  mountd
    100005    3   udp  36811  mountd
    100005    3   tcp  33175  mountd

3. exports 설정
/etc/exports 에 nfs로 마운트할 아이피를 포함하여 작성한다.
  1 # /etc/exports: the access control list for filesystems which may be exported
  2 #               to NFS clients.  See exports(5).
  3 #
  4 # Example for NFSv2 and NFSv3:
  5 # /srv/homes       hostname1(rw,sync,no_subtree_check) hostname2(ro,sync,no_subtree_check)
  6 #
  7 # Example for NFSv4:
  8 # /srv/nfs4        gss/krb5i(rw,sync,fsid=0,crossmnt,no_subtree_check)
  9 # /srv/nfs4/homes  gss/krb5i(rw,sync,no_subtree_check)
 10 #
 11
 12 /home/samba/sharedDocs  123.123.123.123(rw,root_squash) 
추가적으로 /etc/hosts.allow /etc/hosts.deny도 하라지만 귀차니즘 -_-


원격지에서 mount시에는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하면되며
만약 tcp로 고정하고 싶으면 -o tcp를 추가하면 된다.
# mount -t nfs -o tcp 111.111.111.111:/home/samba/sharedDocs mountpath

만약 123.123.123.123 아이피가 아닌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 mount -t nfs 111.111.111.111:/home/samba/sharedDocs tt
mount: RPC: Unable to receive; errno = Connection refused

그나저나.. TCP로 접속해놔도 생각보다 랙이 심하네 공유기를 거쳐서인가?

2009/09/01 - [Linux/Ubuntu] - ubuntu nfs 서버 설치하기
2009/05/12 - [프로그램 사용/u-boot] - nfs를 udp가 아닌 tcp로 연결하도록 설정하기
2010/02/04 - [Linux/Ubuntu] - ubuntu에 NFS 서버 설치


Posted by 구차니
Word 2007의 기능인지 모르겠지만 이전 버전과 비교시 비교가 된다!
쫄지말고 Diff 눌러보자!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bbitVCS - 리눅스용 svn client  (0) 2011.10.15
git-svn 을 이용해서 svn 을 복제가능하다고?  (0) 2011.08.14
svn pam  (0) 2011.06.24
혼자서도 잘쓰는 tortoiseSVN  (0) 2011.06.20
SVN relocate / switch  (0) 2011.05.11
Posted by 구차니



ajxplorer를 쓰다보면 대충 30분 정도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는데..
솔찍히 이정도 시간이면 내부망이어도 1기가 겨우 올리는 정도라 대략 좌절을 하게 된다.
(올리다가 세션 종료되면 파일 올리던거 무효됨)

ajaxplorer의 conf.php에서
AJXP_CLIENT_TIMEOUT_TIME을 0으로 적어주거나

php.ini 에서
session.gc_maxlifetime 을 늘려주거나 하는 식으로 변경하면 될 듯
  
 ajaxplorer/server/conf/conf.php
268 /***********************************************/
269 /* CLIENT SESSION OPTIONS
270 /*********************************************/
271 // The length of the client session in SECONDS. By default, it's copying
272 // the server session length. In most PHP installation, it will be 1440, ie 24minutes.
273 // You can set this value to 0, this will make the client session "infinite" by
274 // pinging the server at regular occasions (thus keeping the PHP session alive).
275 // This is not a recommanded setting for evident security reasons.
276 //define("AJXP_CLIENT_TIMEOUT_TIME", intval(ini_get("session.gc_maxlifetime")));
277 define("AJXP_CLIENT_TIMEOUT_TIME", intval(ini_get("session.gc_maxlifetime")));
278 // The number of MINUTES before the session expiration
279 // where the client issues a warning.
280 define("AJXP_CLIENT_TIMEOUT_WARN_BEFORE", 3); 

 /etc/php5/apache2/php.ini
1500 ; After this number of seconds, stored data will be seen as 'garbage' and
1501 ; cleaned up by the garbage collection process.
1502 ; http://php.net/session.gc-maxlifetime
1503 session.gc_maxlifetime = 1440
1504
1505 ; NOTE: If you are using the subdirectory option for storing session files
1506 ;       (see session.save_path above), then garbage collection does *not*
1507 ;       happen automatically.  You will need to do your own garbage
1508 ;       collection through a shell script, cron entry, or some other method.
1509 ;       For example, the following script would is the equivalent of
1510 ;       setting session.gc_maxlifetime to 1440 (1440 seconds = 24 minutes):
1511 ;          cd /path/to/sessions; find -cmin +24 | xargs rm
1512
1513 ; PHP 4.2 and less have an undocumented feature/bug that allows you to
1514 ; to initialize a session variable in the global scope, even when register_globals
1515 ; is disabled.  PHP 4.3 and later will warn you, if this feature is used.
1516 ; You can disable the feature and the warning separately. At this time,
1517 ; the warning is only displayed, if bug_compat_42 is enabled. This feature
1518 ; introduces some serious security problems if not handled correctly. It's
1519 ; recommended that you do not use this feature on production servers. But you
1520 ; should enable this on development servers and enable the warning as well. If you
1521 ; do not enable the feature on development servers, you won't be warned when it's
1522 ; used and debugging errors caused by this can be difficult to track down.
1523 ; Default Value: On
1524 ; Development Value: On
1525 ; Production Value: Off
1526 ; http://php.net/session.bug-compat-42 

[링크 : http://www.lge.co.kr//brand/nethard/support/NethardQnaDetailCmd.laf?brand=NETHARD]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