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raspberry pi2015. 3. 24. 08:55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에서 보이는 것 이상의 것들이 많이 있다?


[링크 : http://downloads.raspberrypi.org/]

    [링크 : http://qt-project.org/wiki/RaspberryPi_Beginners_guide]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23. 22:03

ATOM 330 + ION 보다 동영상 재생 성능이 낫네 ㄷㄷ


라즈베리 파이 2

openELEC

600MHz / NEON


H.264 high profile 1080p 30fps 재생 문제 없음

H.264 high profile 1080p 60fps 프레임 드랍 있음 (kodi/xbmc 환경설정에서 44fps 로 출력됨 / 1600x900 해상도)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23. 20:35

심심해서 일단 받아봄

리눅스 커널은 대략 빌드 중이라 늘어난 것일수도 있으니 크게 의미는 없으나 대략 840MB 정도 예상되고

크로스 컴파일러가 무려 945MB ㄷㄷㄷ

rootfs는 11M로 저렴하다 -ㅁ-!


~/rasp$ du -h -d 1

851M    ./linux

945M    ./tools

11M     ./target_fs

1.8G    . 


$ sudo apt-get install libncurses5-dev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78749/what-provides-curses-headers-named-curses-h]


$ mkdir rasp

$ cd rasp

$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aspberrypi/tools

$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aspberrypi/linux

$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aspberrypi/target_fs

$ export PATH=$PATH:~/rasp/tools/arm-bcm2708/gcc-linaro-arm-linux-gnueabihf-raspbian/bin

$ cd linux

$ make ARCH=arm CROSS_COMPILE=arm-linux-gnueabihf- bcm2709_defconfig menuconfig

$ make ARCH=arm CROSS_COMPILE=arm-linux-gnueabihf- -j 4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linux/kernel/building.md]


커널 menuconfig 에서 보니

일단.. BCM2709로 설정되고


NEON은 켜져있도록 되어있다.



+

그나저나.. ATOM 330 / 1.6GHz 로 어느 세월에 컴파일 하지? ㅋㅋㅋ


+

오후 8:40 2015-03-23

오후 10:02 2015-03-23

무려 1시간 20분 만에 컴파일 완료 -_ㅠ


~/rasp/linux$ file vmlinux

vmlinux: ELF 32-bit LSB  executable, ARM, EABI5 version 1 (SYSV), statically linked, BuildID[sha1]=44adda67f6686154f7eb71069c144f84d4ee6c20, not stripped



린필드 i7 으로는 3분만에 컴파일 끝나던데 흑흑
역시 듀얼 코어 + HT ATOM으로는 무리였어 ㅠㅠ


+ 2015.04.09 추가
시작 오후 10:16 2015-04-09
끝 2015. 04. 09. (목) 22:47:18 KST
AMD 4850e / 2.5GHz 듀얼 코어로 30분 걸림 -_ㅠ -j4 인데도 불구하고!!! ㅠㅠ




+ 2015.05.31 추가

2015년 05월 31일 (일) 오후 07시 55분 25초 

2015. 05. 31. (일) 20:05:59 KST

AMD 945 / 3.0GHz 드코어로 10분..  클럭빨로 4850e보다는 줄지만

역시나.. i7이 짱짱이구나 싶은 결과랄까 ㅜㅜ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VNC2015. 3. 22. 21:43

14.04 깔고 나서 vnc 하려고 하니

어?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dconf-editor 라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비스므리한 것이 나타나는데..

좋은거 같으면서도 익숙하지 않아서 먼지 모르겠...


아무튼 require-encryption을 끄면 된다는데


위와 같이 설정하면 vino-preferences 에서 암호 입력이 꺼진다.



일단은 되는데.. 암호 입력하면서는 안되는건가...?

I had the same problem using VNC from my Chromebook and after updating to Ubuntu 14.04 LTS. I used the suggestion of the dconf-editor -> org.gnome.desktop.remote-access then "require-encryption = NO"


[링크 :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vino/+bug/1290666] 



+

위의 설정을 해버리면 vino-preferences 에서 보안이 설정되지 않는다 -ㅁ-!!!

암호 걸고 싶어도 걸수가 없네... ㅠㅠ

'프로그램 사용 > VN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bvncserver 사용예  (0) 2022.02.15
rfb(remote framebuffer) protocol  (0) 2022.01.26
VNC web 버전?  (0) 2014.12.11
VNC 5.0.5  (0) 2013.09.04
tsclient에 VNC 추가하기  (0) 2011.12.31
Posted by 구차니

오홍 이걸 해봐야겠네 ㅋㅋ


[링크 : https://www.facebook.com/video.php?v=85053334014]

[링크 : http://kodi.wiki/view/HOW-TO:Enable_Hardware_Accelerated_Decoding_via_DXVA2_in_XBMC_for_Windows]


+

smi 한글 자막등의 이유로 인해

xbmc korea에서 한글버전을 받아보는 것도 방법인듯

[링크 : http://xbmc-korea.com/]


[링크 : http://xbmc.tistory.com/5]

[링크 : http://xbmc.tistory.com/12]

[링크 : https://code.google.com/p/xbmc-korea-addons/]


일단 우분투 14.04 LTS에서 실험해본 결과

한글 자막은 전멸

한글 디렉토리 명 / 파일명도 전멸

720p까지는 재생이 가능하지만 1080p는 무리 -_ㅠ

Nvidia ION 이라서 그나마 720p 까지는 가속이 가능한 것 일듯?



iOS용 공식 어플로 해보니..

via HTTP 옵션을 통해서 제어가 가능했지만 이래저래 조금은 불편.

머.. 그래도 키보드, 마우스 오가는거 보다는 나은것 같다.


[링크 : https://itunes.apple.com/kr/app/official-xbmc-remote/id520480364?mt=8]


우분투에서 xbmc로 자동시작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209650/autostart-xbmc-at-boot]

[링크 : http://kodi.wiki/view/HOW-TO:Autostart_Kodi_for_Linux]



귀찮으니 그냥 Atom 330 ion 을 xbmc 머신으로 만들어 버릴까도 했는데..

1080이 안되니까 이거참.. 미묘하네.. 우짤스까 -_-



+

ripple mini 에서

2GB 인데.. 너무 많이 주기 싫어서 32MB 부터 조금씩 늘려 보는데..

256MB는 줘야 우분투가 정상 기동한다.

아무래도 GLX 가속으로 인해 CUDA를 사용하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둘다 메모리는 잡아 먹으니 64MB정도로는 어림도 없었던게 아닐까 싶다.


+

한글 설정은 잘 되네 -_-b

먼저 폰트를 바꾸고 "Arial based"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어 준다! 그럼 완성!


[링크 : http://echo.tistory.com/39]


'프로그램 사용 > kodi(xb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ELEC 8.0 관련  (0) 2017.05.16
kodi, openELEC / smb2 미지원?  (0) 2017.05.15
kodi remote  (0) 2015.04.07
xbmc on winXP / IrDA 실패  (0) 2015.04.01
openELEC / kodi / xbmc  (0) 2015.02.27
Posted by 구차니

자전거 타고 잠시 산책겸(!)

한바퀴 돌고 오는데

한번은 군바리들이 열심히 끌려나와서 사회봉사를 하고 있었고

다른 한번은 뉴 새마을 운동 이라는 녹색 조끼를 입은 중장년층 분들이 길을 가로막고는 간부행결로 걸어가셔서

천천히 따라갔는데...



아아 군바리들은 이래저래 저렇게 부려먹혀지는

싼 노동력일 뿐이고



새마을 운동에서 한단계 더 발전(?)한것 처럼 보이려고 하는

New~ 새마을 운동 분들을 보면서는...

아 시발 지금이 1970년인가? 라는 생각뿐

게다가 신 새마을 운동도 아니고

왜 뉴~ 인가? 라는 고민 -_-



시국(?)이 시국인지라 참.. 이런것 언급하는 것 조차 무서운 시대..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15. 3. 20. 23:01

어떤분의 소개로 알게 된 프로그램

한번 사용은 해보는데..

일단 아이콘 부터 무한의 압박이 오는 .net framework을 요구해서 -30점 ㅋ

(선천적 .net 알레르기 보유자)


물론 업데이트로 인해 .net framework이 깔려있어서 불편없이 사용은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웬지 죽어라 정감이 안가는 녀석이라 -_-a


아무튼 생김새는 깔끔하고 좋은데


우클릭을 하면

펜으로 우클릭을 하던 마우스로 하던 우클릭 메뉴를 띄우면

메뉴가 떠있는 채로 사라지지 않고 그 뒤로 필기가 된다


펜압도 문제없이 인식!

뒤쪽의 지우개 역시 문제없이 인식!


아쉬운 점으로는..

1. 닷넷 프레임웍을 요구한다는 것 (어?)

2. 우클릭으로 메뉴를 띄우면 글씨 쓰면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는 다는 점

3. 첫 페이지가 바로 쓸수 있는 페이지가 아니라 무조건 첫 페이지를 추가해야 한다는 점

4. 다음 페이지로 가는 기능이 없어서 무조건 새 페이지를 추가해야 한다는 점은


윈도우 기본 내장 필기장에 비하면 많이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PDF 저장이라던가 여러가지 막강한 기능들이 존재하지만

필기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했던 우클릭으로 선택 -> 축소 / 이동 기능을

우클릭 - 선택(메뉴) - 선택 - 축소/이동

해야 하는 불편함이 심해서 이걸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진 않을 듯


[링크 : http://cafe.naver.com/icannote/16]

[링크 : http://minimonk.net/1155#comment13506660]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knime - 빅데이터 분석툴  (0) 2015.05.28
redmine / 레드마인  (0) 2015.04.14
autosizer - 윈도우 창 여러개를 정렬하는 프로그램  (0) 2014.09.16
wifi 검색 프로그램  (0) 2014.05.30
decompiler  (0) 2014.05.21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자전거2015. 3. 20. 15:45

장보기 용으로 전락해버린 내 자전거

뒷 바퀴가 QR이 아니라 영~ 불만이지만

그래도 생각외로 가볍고 쓸만해서 좋아라 하는 녀석

태생이 태생인지라..

헬스 자전거는 맞는듯 -_ㅠ




'개소리 왈왈 >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서울 자전거 대행진 2015년 도착!  (0) 2015.05.26
하이서울 자전거 대행진 2015!!  (0) 2015.04.06
미니벨로 겟!  (0) 2014.09.14
크랭크 종류  (0) 2014.07.12
하이 서울 자전거 대행진 2014  (4) 2014.06.15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컴퓨터2015. 3. 19. 16:41

하드에 설치해야지 가능하고

AHCI가 아닌 IDE에 여러가지 제약 사항이 있어서 귀차니즘으로 설치는 패스


단 특이사항으로

ASUS에서 ExpressGate 에 대한 소스 코드를 제공한다?





결론은 나 같은 인간은 끄고 쓰자? ㅋㅋ


[링크 : http://kazuha.tistory.com/146]

'개소리 왈왈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가 필요 하려나..  (0) 2015.03.27
하드 도착!  (0) 2015.03.25
컴퓨터 한대.. 회수?  (0) 2015.03.15
iptime IPTV 대응 모델 / U+ 공유기  (2) 2015.03.10
유플러스 공유기 포트포워딩  (0) 2015.03.1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5. 3. 19. 16:10

하드를 구매하려고 검색을 하다 보니

HBA 미포함 이라는 문구가 보여서 검색


이녀석은 미포함


이녀석은 포함


포함된 녀석 설명 캡쳐


아무튼 HBA는 원래 Fiber Channel로 묶이는 서버 내부(?) 통신을 위한 규격인데

그 확장 기능중에 하나로 스토리지 인터페이스가 SATA냐 IDE냐 등으로 갈리는 듯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Host_adapter]


그리고 요즘 신기술(?)로 각광받는 가상화에

하드등과 같은 IO들도 가상화 되어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발전되어 간다.

[링크 : http://ciscocloud.tistory.com/5]

[링크 : http://www.terms.co.kr/HBA.htm]



그러니까 결론은..

과거에 대용량 하드 나오면서 IDE 카드 구매했던것 같은 과도기적인 현상이라고 하면 되려나?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U-6050 / ADXL345  (2) 2016.03.25
HBM - High Bandwidth Memory  (0) 2015.06.17
LG NAS N2R1 + Mediawiki 성능  (0) 2014.10.10
LG NAS N2R1DD2 리셋  (0) 2014.09.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0) 2013.12.14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