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컴퓨터 관련'에 해당되는 글 86건

  1. 2025.05.08 bit banging
  2. 2025.05.07 numa 와 smp
  3. 2024.07.14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4. 2024.04.01 DDR3 pinout과 ECC
  5. 2024.04.01 uefi dxe pei
  6. 2024.03.21 radix 4 - fp4
  7. 2024.03.16 1.58bit
  8. 2024.03.13 gps kalman
  9. 2024.02.15 db 식별/비식별 관계
  10. 2023.08.23 vRAN

bit band는 들어봤는데

[링크 https://blog.naver.com/eziya76/220983418293]

 

bit banging은 첨 들어봐서 검색해보니, 그냥 gpio로 uart / i2c / spi 등을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을 지칭한다.

그냥 깡으로 구현한다고 생각해서 지칭하는 용어가 없는 줄 알았는데...

[링크  https://article2.tistory.com/338]

 

Bit banging is a term of art that describes a method of digital data transmission as using 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instead of computer hardware that is intended specifically for data communication.[1] Controlling software is responsible for satisfying protocol requirements including timing which can be challenging due to limited host system resources and competing demands on the software.

[링크  https://en.wikipedia.org/wiki/Bit_banging]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a 와 smp  (0) 2025.05.07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Posted by 구차니

문득 numa 라는게 보여서 먼가 해서 찾아보는데

smp는 north bridge가 있던 시절이고(!)

north bridge의 memory controller가 cpu의 요청에 따라 큐잉되어 메모리를 읽어서 보내주고

메모리에 cpu들이 많이 요청하면 응답대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

 

그래서 NUMA 에서는 cpu 별로 메모리를 장착하고

local memory라고 이름짓고는 자기에게 할당된 메모리에서는 쌩쌩하게

그게 아니면 cpu 간의 inter-connect를 이용하여 다른 cpu의 메모리를 접근해서 대용량 메모리를 쓰는 구조

[링크 : https://jeongzero.oopy.io/94ef3e61-c27c-4fba-b8b9-2b9b8aac933a]

[링크 : https://brunch.co.kr/@dreaminz/4]

 

아.. 그래서 요즘 서버가 cpu 별로 메모리가 구성되어야 해서 특정 슬롯에 꽂아 해당 cpu에 local memory로 구성되게 되는거였군..

[링크 : https://www.dell.com/support/manuals/ko-kr/poweredge-r740/per740_ism_pub/system-memory-guidelines?guid=guid-35e102bf-db9e-4652-a16b-2b37f8fce553&lang=en-us]

 

반대로 그러면.. cpu 에서 스케쥴링 할때 cpu 에 round robin등으로 임의 할당하면 안되고

어느정도는 벗어날수 없는(?) 경계가 존재하는 affinity 제한적 스케쥴링을 해야 하는건가?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 banging  (0) 2025.05.08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Posted by 구차니

BOS가 그래서 머하는건지 까지 가려면.. USB 스펙을 다 읽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크흡

[링크 : https://www.usb.org/bos-descriptor-types]

 

However I'm having trouble finding the Binary Device Object Store (BOS) descriptor using either method.



The header BOS descriptor is:

struct usb_bos_descriptor_header {
    u8_t bLength;
    u8_t bDescriptorType;
    u16_t wTotalLength;
    u8_t bNumDeviceCaps;
};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7947195/]

 

EFI_USB_BOS_DESCRIPTOR 구조체는 USB 함수 드라이버에 BOS(Binary Object Stor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링크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hardware/drivers/bringup/efi-usb-bos-descriptor]

[링크 :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t5/microsoft-usb-blog/usb-2-1-2-0-1-1-device-enumeration-changes-in-windows-8/ba-p/270775]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 banging  (0) 2025.05.08
numa 와 smp  (0) 2025.05.07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Posted by 구차니

+ 2024.04.02

대충 정리 하다면

DDR3 unbuffred + CBx + EVENT# = DDR3 ECC unbuffred (ECC 8bit 추가 + 온도 리포팅)

DDR3 ECC unbuffred + Err_Out + Par_in = DDR3 ECC buffred(or registerd) (명령과 주소 버스에 대한 패리티 추가)

 

----

 

심심해서(?)

서버의 DDR3-12800E 와 데스크 탑의 DDR3-12800U 메모리가

서로의 메인보드에 호환이 될지 테스트 해보는데

 

일단 현재까진

데스크탑에 DDR3-12800E ECC/unbuffered 는 문제 없이 인식(현재 2가지 메인보드 테스트)

서버에 DDR3-12800U 는 메모리 인식 오류로 bios에서 비프음 발생한다.

 

----

ECC/reg 메모리에서 error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두개의 핀이 검색되어 나온다.

Symbol Type Description

CBx I/O Check bits: Used for system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Err_Out# Output (open drain) Parity error output: Parity error found on the command and address bus

 

비교해보면

39~40, 45~46, 158~159, 164~165번에 CB0~7

53번에 Err_Out

68번에 Par_in

187번에 EVENT# 핀이 차이가 난다.

 

Symbol Type Description

Par_In Input Parity input: Parity bit for Ax, RAS#, CAS#, and WE#.

EVENT# Output (open drain) Temperature event: The EVENT# pin is asser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critical temperature thresholds have been exceeded.

 

근데 가장 왼쪽의 ECC는 데이터시트가 제대로 된게 맞나 의심이 된다. 아니면 ECC/reg와 ECC는 다른건가?

ECC 에서는 왜 Err_Out#이 없지? (혹시나 다른 제조사 껄 보는데 ECC U-DIMM 의 경우는 Err_Out이 없다)

 

아래는 ECC/reg 의 핀 아웃중 일부인데

Register and PLL 이라고 써있는 U6 칩에서 신호정렬후 다시 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DDR3L SR UDIMM - unbuffered

[링크 : https://media-www.micron.com/-/media/client/global/documents/products/data-sheet/modules/unbuffered_dimm/ktf8c128_256_512x64az.pdf?rev=2b5782e710b943ef87af4b3008fbf844]

 

DDR3L ECC SR UDIMM - unbuffered ECC

[링크 : https://media-www.micron.com/-/media/client/global/documents/products/data-sheet/modules/unbuffered_dimm/ksf9c128_256_512x72az.pdf?rev=3511a7c63c0f4571bcf31314d0afc492]

 

DDR3L ECC U-DIMM - unbufferd ECC (Adata)

[링크 : https://www.adata.com/upload/downloadfile/R11-0837_SUDE1600W8G11_DDR3L-1600_CL11_8GB_512Mx8_Pb%20free_ECC%20U-DIMM_V0_.pdf]

 

DDR3L VLP ECC DR RDIMM - ECC/registered

[링크 : https://media-www.micron.com/-/media/client/global/documents/products/data-sheet/modules/parity_rdimm/kdf18c512_1gx72pdz.pdf?rev=bc2b11b5aada432f8171e3db684094e0]

 

+

2024.04.02

Load Reduced 라서 LRDIMM 인데 핀만 봐서는 ECC/reg와 별반 차이가 없다

다만 Rank가 높다는게 위의 메모리들과의 차이이고, rank multipler 등의 별도 하드웨어가 추가 될 듯.

32GB (x72, ECC, QR) 240-Pin DDR3 LRDIMM

[링크 : https://media-www.micron.com/-/media/client/global/documents/products/data-sheet/modules/lrdimm/jszs72c4gx72lz.pdf?rev=f220cca150544a9fa0a4fe28d1f51de4]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a 와 smp  (0) 2025.05.07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1.58bit  (0) 2024.03.16
Posted by 구차니

E5 v4   서버에서 부팅하다가 멈추길래

먼지 찾아보니 CPU DXE 이런 단계라는데 먼가해서 찾아보니

UEFI 에서 초기화 단계중 하나인듯.

 

The Driver Execution Environment (DXE) phase is where most of the system initialization is performed. Pre-EFI Initialization (PEI), the phase prior to DXE, is responsible for initializing permanent memory in the platform so that the DXE phase can be loaded and executed. The state of the system at the end of the PEI phase is passed to the DXE phase through a list of position-independent data structures called Hand-Off Blocks (HOBs). HOBs are described in detail in Volume 3 .

[링크 : https://uefi.org/specs/PI/1.8/V2_Overview.html]

 

DXE = Driver Execution Environments.
Once system RAM is initialized and the PEI phase completes, the DXE environment is entered.

[링크 : https://rog-forum.asus.com/t5/x99/q-code-76-meaning/td-p/605026]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1.58bit  (0) 2024.03.16
gps kalman  (0) 2024.03.13
Posted by 구차니

`fp4 라는게 어떤 구조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는데

radix 4 라서 결국에는 fp16과 range는 동일하지만 정밀도가 낮아지는 것 같다.

 

1 1/4 1/16 1/64 1/256 1/1024 1/4096 1/16384 1/65536
1 0.25 0.0625 0.015625 0.00390625 0.0009765625 0.0002441406 0.0000610352



[링크 : https://t.hi098123.com/IEEE-754] // 온라인 계산기

The authors propose novel techniques to enable 4-bit (floating-point) quantized training for DNN training. The first technique is radix-4 fp4, which is a 1-3-0 (sign-exponent-mantissa) representation. 

[링크 : https://proceedings.neurips.cc/paper/2020/file/13b919438259814cd5be8cb45877d577-Review.html]


In the system with radix 13, for example, a string of digits such as 398 denotes the (decimal) number 3 × 132 + 9 × 131 + 8 × 130 = 632

[링크 : https://en.m.wikipedia.org/wiki/Radix]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1.58bit  (0) 2024.03.16
gps kalman  (0) 2024.03.13
db 식별/비식별 관계  (0) 2024.02.15
Posted by 구차니

 

log2(3) = 1.58 이라고

 

그나저나 +1 -1 0 으로 곱셈을 사실상 덧셈으로 처리하게 하다니

회로 복잡도가 어마어마 하게 낮아질듯

[링크 : https://endplan.ai/양자화-quantization-1-58bit/]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gps kalman  (0) 2024.03.13
db 식별/비식별 관계  (0) 2024.02.15
vRAN  (0) 2023.08.23
Posted by 구차니

GPS 값은 원체 튀다보니

그걸 가공없이 쓰면 추정이 불가능한데

kalman 필터를 적용해서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정이 가능하다.

 

[링크 : https://youtu.be/ZYexI6_zUMk?si=eDcBHxIn39Tq3gXl]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dix 4 - fp4  (0) 2024.03.21
1.58bit  (0) 2024.03.16
db 식별/비식별 관계  (0) 2024.02.15
vRAN  (0) 2023.08.23
cordic (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0) 2023.02.27
Posted by 구차니

대부분 외래키로 배워와서.. 비식별 관계로 하면 되는구나..

그런데 식별관계 처럼 쓰는 경우는 도대체 머지? 감이 안온다.

식별관계 -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유니크 키를 자식 테이블의 기본키로 사용하는 관계
비식별 관계 -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유니크 키를 외래 키로 사용하는 관계

[링크 : https://deveric.tistory.com/108]

 

erdcloud 사용법 관련

[링크 : https://inpa.tistory.com/entry/ERD-CLOUD-☁%EF%B8%8F-ERD-다이어그램을-온라인에서-그려보자]

[링크 : https://blog.naver.com/sssang97/222808912681]

[링크 : https://velog.io/@lkm021/database007]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8bit  (0) 2024.03.16
gps kalman  (0) 2024.03.13
vRAN  (0) 2023.08.23
cordic (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0) 2023.02.27
tlv  (0) 2022.10.19
Posted by 구차니

Virtualized radio area network

intel에서 xeon에 넣어서 판다고 광고를 해대서 먼가~ 하고 찾아봄

radio area network라면서 5G 기지국을 만드는 것 처럼 보이는데, 일종의 SDR 가속 기능 같기도 하고...

 

[링크 :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products/docs/processors/network/4th-gen-xeon-scalable-vran.html]

 

Software-Defined Virtualized RAN (vRAN)
Radio Access Network (RAN) 

[링크 : https://www.parallelwireless.com/products/software-defined-virtualized-ran/]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kalman  (0) 2024.03.13
db 식별/비식별 관계  (0) 2024.02.15
cordic (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0) 2023.02.27
tlv  (0) 2022.10.19
DR - Disaster Recovery Plan  (0) 2022.10.17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