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IO 반대말이 안떠올라서 저장 ㅋ


Memory-mapped I/O (not to be confused with memory-mapped file I/O) uses the same address bus to address both memory and I/O devices – the memory and registers of the I/O devices are mapped to (associated with) address values. So when an address is accessed by the CPU, it may refer to a portion of physical RAM, but it can also refer to memory of the I/O device. Thus, the CPU instructions used to access the memory can also be used for accessing devices. Each I/O device monitors the CPU's address bus and responds to any CPU access of an address assigned to that device, connecting the data bus to the desired device's hardware register. To accommodate the I/O devices, areas of the addresses used by the CPU must be reserved for I/O and must not be available for normal physical memory. The reservation might be temporary, such as with the Commodore 64 that does bank switching between its I/O devices and regular memory, or permanent.


Port-mapped I/O often uses a special class of CPU instructions designed specifically for performing I/O, such as the in and out instructions found on microprocessors based on the x86 and x86-64 architectures. Different forms of these two instructions can copy one, two or four bytes (outb, outw and outl, respectively) between the EAX register or one of that register's subdivisions on the CPU and a specified I/O port which is assigned to an I/O device. I/O devices have a separate address space from general memory, either accomplished by an extra "I/O" pin on the CPU's physical interface, or an entire bus dedicated to I/O. Because the address space for I/O is isolated from that for main memory, this is sometimes referred to as isolated I/O.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emory-mapped_I/O]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l - test and set lock  (0) 2015.11.23
SNTP - Simple NTP  (0) 2015.11.12
pkzip 포맷  (0) 2015.04.17
wear leveling dynamic static(global)  (0) 2015.04.09
IrDA  (0) 2015.04.01
Posted by 구차니

극좌표계를 확장해서

원통좌표계, 구면좌표계가 나왔다고 한다.


일단.. 극좌표계는 (r, theta)로 표현하는데

완통좌표계(r, theta, z)도 구면좌표계(r, theta, phi)는 같은 방법으로 각도와 거리로 나타내니까...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olar_coordinate_system]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극좌표계]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Spherical_coordinate_system]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구면좌표계]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ylindrical_coordinate_system]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원통좌표계]

'이론 관련 > 3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th tracing - rendering  (0) 2016.12.14
visual 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0) 2016.03.10
극좌표계 / 구면좌표계  (0) 2013.03.26
shader  (0) 2011.11.20
vertex normal - 버텍스 노말  (0) 2011.10.13
Posted by 구차니

흐려진 정도를 계산하는 법을 찾았는데

흐려짐 <-> 선명함


그래서 선명한 정도를 계산하면 되겠구나 싶어서 검색


[링크 : http://www.imatest.com/docs/sharpness/]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0410259/how-calculate-sharpness-opencv]


Posted by 구차니

결국은.. CMOS나 CCD의 스캔속도의 한계로 인해

피사체가 움직이거나 카메라가 움직여 질때 제대로 된 영상이 아니게 되는 현상이라고 정리하면 될 것 같은데...


1. 롤링셔터 현상((Rolling Shutter) : 가령 이동 중인 자동차 안에서 동영상을 찍으면 건물의 기둥들이 사선으로 기울어져 보입니다.

 

2. 젤로 현상(Jello Effect) : 카메라를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 가끔 화면 중간이 끊어진 것처럼 보입니다.

 

3. 워블링 현상(Wobbling Effect) : 진동이 심한 물체위에는 카메라를 고정하더라도 이미지가 춤추듯이 왜곡됩니다.

 

4. 얼라이어싱 현상(Aliasing Effect), 모아레(Moire) 현상 : 수평직선이 곧게 보이지 않고 계단모양으로 단절되고, 패턴이 일정한 피사체를 찍을 때 빛의 간섭이 일어납니다.

 

5. 부분 노출 불량(Partial Exposure) : 센서의 노출시간과 이미지 처리시간이 동기화되지 못해서 깜박임이 나타납니다.

 

6. 기타 : 줌을 할 때 초점이 자동으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밝은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으로 가거나 그 반대인 경우 카메라는 노출조절이 단계적이기 때문에 명암조절이 부드럽지 못하고, 저장시간에도 제한이 있습니다.


[링크 : http://cluster1.cafe.daum.net/...docid=14Asm70Cw2416920120413225725] 


해결책으로는 블러가 나오도록 셔터 속도를 늦추거나(엥? 이게 해결이야!?)

블러를 먹이거나(헐?)

.. 이거 해결책이 아니잖아!?!?


How to overcome negative effects of rolling shutter?


Slow down.

Shoot at slower shutter speeds so the motion blur can mask the rolling shutter effects. Secondly, rolling shutter effects happen when you’re moving quickly, for example whipping your pans. Slow down your pans. Whipping your shots just makes your audience nauseous anyway.


Remove it or blur it.

The obvious answer is if the jello effect is occurring in a subject that is not the primary focus then recompose the shot so the items is not within the scene. For example, if that propeller blade is not necessary, move your camera around so the viewer can no longer see that propeller. If the skew is occurring in something in the background, you can attempt to blur it out by changing your depth of field.


Fix it in post.

There are some plugins and software available to help correct the footage.

[링크 : http://www.dslrvideocollege.com/what-is-rolling-shutter-and-the-jello-effect]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Rolling_shutter]



+

2017.12.12

유입경로에서 동영상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추가

[링크 : http://blog.naver.com/chbocoder/130082777230]


Posted by 구차니

테라비트 이더넷은 2017년 즈음에 표준화 예상

400Gbit/s를 현실적인 목표로 하고 있음

결론은.. optical fiber ...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Terabit_Ethernet]


기가비트 이더넷이야 많이 들었겠지만

10GbE 이상의 것은 일반인들이 듣기 어려운 것이겠지만...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Gigabit_Ethernet]


10GbE만 해도 구리선일 경우 15m~1m 이건 쓰라는 거리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광케이블로 가야 하는 녀석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10_Gigabit_Ethernet]


100GbE / 40GbE

음.. 왜 갑자기 40GbE지?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100_Gigabit_Ethernet]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232 / ttl 전기적 특성(?)  (0) 2016.09.22
i2c ...  (0) 2016.05.03
CAN 통신 우선순위  (0) 2015.01.23
FEC - Forwarding equivalence class  (0) 2015.01.09
CIDR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0) 2013.08.07
Posted by 구차니

SAD/NCC는 두개의 다른 사진에서 깊이를 계산해 내는 알고리즘이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um_of_absolute_differences]

[링크 : http://vbflash.net/66]


NCC - Normalized Cross

ZNCC - Zero mean Normalized Cross-Correlation function (ZNCC)

SAD - Sum of absolute differences


[링크 :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7865505000905]

[링크 : http://www.ijeit.com/vol%202/Issue%208/IJEIT1412201302_45.pdf]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프니스 계산  (0) 2015.05.28
rolling shutter effect / jello effect ..  (0) 2015.05.22
TOF - Time of Flight  (0) 2015.04.30
촛점거리로 부터 거리 계산하기  (0) 2015.04.27
rolling shutter  (0) 2014.08.13
Posted by 구차니

Depth camera로 검색하다 보니

TOF 라는게 나오는데. 일종의..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거리를 재는 기기라고 하면 되려나?

현재로서는.. 키넥트에 포함된 녀석이 짱짱맨인 듯.


[링크 : http://darkpgmr.tistory.com/75]

[링크 : http://talkingaboutme.tistory.com/199] 키넥트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Time_of_flight]


TOF 센서 제조사

Canesta >> MS 인수

Mesa 

Panasonic

SoftKinetic

[링크 : http://cyberkingdom.tistory.com/10]



+

2015.05.06 추가

[링크 : http://www.novitec.co.kr/kor3/technology/technology.html?part=03]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lling shutter effect / jello effect ..  (0) 2015.05.22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 알고리즘  (0) 2015.05.06
촛점거리로 부터 거리 계산하기  (0) 2015.04.27
rolling shutter  (0) 2014.08.13
OLPF / MTF  (0) 2013.03.21
Posted by 구차니

focal length랑 focal distance 용어가 다른거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 -_-


아무튼.. 촛점을 기준으로 비례해서 센서/필름에서의 크기로 실제 크기를 재는 식으로 거리를 재는 듯?

순수하게 촛점거리를 이용해서(렌즈-센서 거리) 피사체 까지의 거리를 재진 못하려나..


[링크 : http://photo.stackexchange.com/questions/12434/how-do-i-calculate-the-distance-of-an-object-in-a-photo]

[링크 : http://www.dpreview.com/forums/thread/1750289]


[링크 : http://www.lensation.de/en/calculators.html]



[링크 : http://egloos.zum.com/lontide/v/4892216] 심도계산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 알고리즘  (0) 2015.05.06
TOF - Time of Flight  (0) 2015.04.30
rolling shutter  (0) 2014.08.13
OLPF / MTF  (0) 2013.03.21
UV / CPL / ND64 필터 테스트  (8) 2012.12.25
Posted by 구차니

쓸일이 있을진 모르겠다 -_-a


[링크 : https://users.cs.jmu.edu/buchhofp/forensics/formats/pkzip.html]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TP - Simple NTP  (0) 2015.11.12
MMIO <-> PMIO  (0) 2015.07.28
wear leveling dynamic static(global)  (0) 2015.04.09
IrDA  (0) 2015.04.01
MPEG4 HE-AAC 관련  (0) 2015.01.29
Posted by 구차니

wear leveling에는 여러단계가 있는데..

찾아는 봐야 할 듯?


그리고 wear는 닳다, 닳음 정도로 해석하면 균등 닳기 라고 하면 되려나? (어?)


none wear-leveling 일반적인 HDD가 쓰는 방식으로 물리 주소에 수정할 내용을 바로바로 같은 위치에 쓰고

dynamic wear-leveling 비어있는 셀에 만 돌아가면서 쓰고

advanced wear-leveling hot cell을 static cell과 바꾸어서 균등하게 돌려가는 방식

static (or global) wear-leveling 데이터가 있는 부분까지 돌려가면서 쓰는방식



음.. advanced와 static의 설명이 모호한 기분인데..

advanced는 hot cell(빈번하게 데이터가 바뀌는 셀, 그렇다면 MRU 를 관리한다는 의미?)이 발생하면

static cell과 가끔 교체해서 전반적으로 노후율을 비슷하게 유지하는 것이고


static의 경우 전체적인 write count를 비교하여 static 이던 hot이던 상관없이 조금이라도 낮은 것과 교체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야 static/global이 가장 균등하게 소모하고

write count로 하므로 초반부터 균등하게 사용해 들어가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아무튼 wear-leveling은 SLC MLC TLC로 오면서

cell 별 보장하는 write 횟수가 기하급수 적으로 떨어짐으로 인해 더더욱 중요도가 올라가고 있으며

용량이 엄청나게 커질수록 이론상 셀의 수명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에

나중에 테라급이 보편화 되면 수명이라는걸 논할 가치도 없어 질지도 모르겠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ear_leveling]

[링크 : http://kr.apacer.com/business/technology/wear-leveling/]

[링크 : http://ap.apacer.com/business/technology/wear-leveling/]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rite_amplification]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IO <-> PMIO  (0) 2015.07.28
pkzip 포맷  (0) 2015.04.17
IrDA  (0) 2015.04.01
MPEG4 HE-AAC 관련  (0) 2015.01.29
SBR - Spectral band replication  (0) 2015.01.23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