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 band는 들어봤는데

[링크 https://blog.naver.com/eziya76/220983418293]

 

bit banging은 첨 들어봐서 검색해보니, 그냥 gpio로 uart / i2c / spi 등을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을 지칭한다.

그냥 깡으로 구현한다고 생각해서 지칭하는 용어가 없는 줄 알았는데...

[링크  https://article2.tistory.com/338]

 

Bit banging is a term of art that describes a method of digital data transmission as using 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instead of computer hardware that is intended specifically for data communication.[1] Controlling software is responsible for satisfying protocol requirements including timing which can be challenging due to limited host system resources and competing demands on the software.

[링크  https://en.wikipedia.org/wiki/Bit_banging]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a 와 smp  (0) 2025.05.07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Posted by 구차니

문득 numa 라는게 보여서 먼가 해서 찾아보는데

smp는 north bridge가 있던 시절이고(!)

north bridge의 memory controller가 cpu의 요청에 따라 큐잉되어 메모리를 읽어서 보내주고

메모리에 cpu들이 많이 요청하면 응답대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

 

그래서 NUMA 에서는 cpu 별로 메모리를 장착하고

local memory라고 이름짓고는 자기에게 할당된 메모리에서는 쌩쌩하게

그게 아니면 cpu 간의 inter-connect를 이용하여 다른 cpu의 메모리를 접근해서 대용량 메모리를 쓰는 구조

[링크 : https://jeongzero.oopy.io/94ef3e61-c27c-4fba-b8b9-2b9b8aac933a]

[링크 : https://brunch.co.kr/@dreaminz/4]

 

아.. 그래서 요즘 서버가 cpu 별로 메모리가 구성되어야 해서 특정 슬롯에 꽂아 해당 cpu에 local memory로 구성되게 되는거였군..

[링크 : https://www.dell.com/support/manuals/ko-kr/poweredge-r740/per740_ism_pub/system-memory-guidelines?guid=guid-35e102bf-db9e-4652-a16b-2b37f8fce553&lang=en-us]

 

반대로 그러면.. cpu 에서 스케쥴링 할때 cpu 에 round robin등으로 임의 할당하면 안되고

어느정도는 벗어날수 없는(?) 경계가 존재하는 affinity 제한적 스케쥴링을 해야 하는건가?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 banging  (0) 2025.05.08
USB BOS - Binary Object Store  (0) 2024.07.14
DDR3 pinout과 ECC  (0) 2024.04.01
uefi dxe pei  (0) 2024.04.01
radix 4 - fp4  (0) 2024.03.21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5. 4. 29. 10:34

min, max, mean 은 최소, 최대, 중간값인데

r-tol(min/max) t-tol(min/max)가 보이는데 용도불명이라 검색중

 

2.1.4. tolerance
Tolerance Resistance 
The resistance tolerance for an NTC thermistor is specified for one temperature point, which is application specific and the standard value is usually 25°C.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at the other temperatures upon customer request.

Temperature tolerance By means of Formula 3, the temperature tolerance can be calculated for small temperature interval as following formula: ΔT = 1 / α ・ ΔR / R (Formula 6) For practical application, we recommend that the standardized R / T table be used.

[링크  https://product.tdk.com/system/files/dam/doc/product/sensor/ntc/ntc_element/general_tech_info/ntc_thermistor_general_technical_information_digest_en.pdf]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5. 4. 28. 15:51

M9712 라는 전자로드가 있어서 배터리 방전에 사용을 위해 찾아보는 중

Step 1. SHIFT - 8 눌러서 END TEST VOLT=0.000000V 가 뜨도록 함

초기상태에서


SHIFT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Shift라고 뜨고



8을 누르면 OFF 라고 바뀌면서 하단에 END TEST VOLT가 뜬다.


Step 2. 숫자와 .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압을 입력

9.6V 완전방전을 목표로 할거라 9.6을 입력함


Step 3. Enter를 누름(0.00W 0.00000AH 라고 아래 라인에 뜸

가장 처음 화면으로 돌아온다.


Step 4. On/Off 버튼을 눌러 시작
        상단 우측에 BATT 라고 뜨면 배터리 테스트 모드

on/off 버튼을 누르면 BATT로 바뀐다.

 

Battery Life StabilityTest
In Constant Current mode the Serial electronic load can test battery life stability Set up the load to
control voltage level.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too low, the serial electronic load will identify the
battery being on the threshold value set or at the margin of an insecure state and will stop testing
automatically. When the load is in test mode, you can see the battery's voltage, battery discharge current,
electronic, load power and battery capability that remains. If the load is connected through PC software,
then you can see the battery discharge curve.. This test can measure the reliability and remaining life of
the battery. So it is important to perform the test before the battery is re-charged, or swapped out for a
newer battery.
Operation:
1) In standard constant current mode, adjust the load's current value to the same discharge current
value of battery needed.
2) Press both Shift+8(Battery)keys. When VFD display shows END TEST VOLT= xxxxxxxxV,
input the shut-off voltage and press Enter to start the battery life stability test. When the battery's
voltage drops to the turn-off voltage set, the load will automatically shut off.
3) Press the On/Off keys to start or pause the battery capability test.
4) Press both the Shift+8(Battery) keys to exit the battery life stability test mode.

[ : http://www.maynuo.com/downloadfile/2009102937213561.pdf]

[ : http://www.maynuo.com/english/xpro.asp?pid=52]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c r/t-tol  (0) 2025.04.29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물리적 포트에 특정 ip를 할당하는게 어떤 기술일까 하고 찾아보는데

이걸 기반으로 포트에 꽂히면 인증을 해주어서 DHCP option 82를 설정해주고

그럼 그 값에 따라 DHCP 서버에서 특정 ip를 주도록 구성을 해둔 듯?

 

[링크 : https://www.netmanias.com/ko/post/blog/5394/dhcp-ip-allocation-network-protocol/what-is-dhcp-option-82]

[링크 : http://nstco.co.kr/sub/view.php?idx=95]

[링크 :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140062387A/ko]

[링크 : https://serverfault.com/questions/350446/how-to-bind-an-ip-to-a-specific-switch-port-with-dhcp]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cast  (0) 2023.08.26
cobs  (0) 2023.05.25
PAM4  (0) 2023.01.16
nrz encoding/decoding  (0) 2022.08.24
광 케이블 DAC, AOC  (0) 2022.06.30
Posted by 구차니

합성저항

Rsum = (R1 * R2) / (R1 + R2)

 

 

R1이 고정되어 있고 R2가 가변저항일때 합성저항을 달성하기 위한 가변 저항의 목표저항값 계산

R2 = (R1 * Rsum) / (R1 - Rsum)

 

수식이 원래의 형태에서 부호만 바뀐 형태라는게 참.. 신기한 느낌을 받는다.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c r/t-tol  (0) 2025.04.29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edge detector  (0) 2024.11.15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2024. 12. 19. 12:09

'이론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속도계로 각도계산하기  (0) 2016.04.06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 > 3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SDF, BRDF, BTDF  (0) 2024.08.29
3D영상 종류 sbs tab  (2) 2017.06.12
path tracing - rendering  (0) 2016.12.14
visual 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0) 2016.03.10
극좌표계, 구면좌표계...  (0) 2015.07.22
Posted by 구차니

가혹조건을 적용해서 고장을 촉진하고, 정상조건의 수명을 예측하는 기법

[링크 : https://m.blog.naver.com/ksagma/221084896652]

'이론 관련 > 하드웨어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ik - inverse kinematics  (0) 2024.08.27
PCB 동박 두께 oz  (0) 2021.11.22
cyclocopter - 사이클로콥터  (0) 2016.11.23
adc - single ended / differential  (0) 2015.11.17
adc - 시그마델타 / SAR  (0) 2015.11.16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24. 11. 15. 22:23

버퍼를 이용해서 딜레이 시키고

자기 자신과 딜레이된 신호를 AND (rising edge detector)

NOR (falling edge detector) 해서 검출한다.

 

[링크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4785]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로드 사용법  (0) 2025.04.28
합성저항, 목표저항 계산  (0) 2025.01.07
택 스위치(TACTILE SWITCH)  (0) 2024.09.03
spi 통신 cpol cpha  (0) 2024.08.28
NPN TR.... 2?  (0) 2024.08.2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