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에 해당되는 글 321건

  1. 2016.05.26 eos m 다중노출 미지원
  2. 2016.05.26 센서 사이즈별 크기
  3. 2016.05.25 NTSC, PAL, CVBS
  4. 2016.05.25 focus peak 찾아내기
  5. 2016.05.13 FEL - Flash Exposure Lock
  6. 2016.05.12 플래시 사용방법
  7. 2016.05.08 db shading
  8. 2016.05.03 i2c ...
  9. 2016.04.26 포칼 리듀서 / 스피드 부스터
  10. 2016.04.14 bayer 포맷 출력...?

크게 쓸일이 느껴지진 않지만....

그래도 지원하는게 의외로 얼마 안되는구나..


[링크 : http://support-kr.canon-ci.co.kr/contents/KR/KR/8201440300.html]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롭바디 EF / EF-S 렌즈 화각 테스트  (0) 2016.08.29
back focus  (0) 2016.07.22
센서 사이즈별 크기  (0) 2016.05.26
focus peak 찾아내기  (0) 2016.05.25
FEL - Flash Exposure Lock  (0) 2016.05.13
Posted by 구차니

사이즈는... 영어고 크기는 한글? ㅋㅋ

센서 사이즈는 대개 대각선 인치 단위인데

크기는 가로세로 mm 단위


그나저나.. 1인치 라고 해도 의외로 크진 않겠구나 싶어지네..

2/3 인치만 해도 CCTV에서 크다고 하는데..

암만 그래봤자 APS-C(canon) 보다 작다는게...



[링크 : http://photohistory.tistory.com/11906]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ck focus  (0) 2016.07.22
eos m 다중노출 미지원  (0) 2016.05.26
focus peak 찾아내기  (0) 2016.05.25
FEL - Flash Exposure Lock  (0) 2016.05.13
플래시 사용방법  (0) 2016.05.1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5. 25. 18:06

TV system별 클럭차이..

결론(?)은 서브캐리어의 차이인데.. CVBS는 음성 없이 영상만 NTSC/PAL을 실어나르는데..

왜 27MHz로 30fps로 동일하지 -ㅁ-?


28.6363MHz for NTSC or 28.375MHz for PAL

CVBS (30 fps @ 27Mhz)


27MHz crystal clock for subcarrier generation

[링크 : http://datasheet.octopart.com/TW9920-BC1-GR-Intersil-datasheet-14388706.pdf]


In PAL system, the frequency of the system clock and the subcarrier signal are 28.375 MHz and 4.4336 MHz

[링크 : http://www.google.com/patents/US5946053]



In the PAL system, the color subcarrier is 4.43 MHz above the video carrier, while in the NTSC system it is 3.58 MHz above the video carrier.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hrominance]


The frequency of this subcarrier is 4.43361875 MHz for PAL, compared to 3.579545 MHz for NTSC. The SECAM system, on the other hand, uses a frequency modulation scheme on its two line alternate colour subcarriers 4.25000 and 4.40625 MHz.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AL]


[링크 : http://wodnrrns.tistory.com/entry/NTSC-PAL-비교]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MHz에 1Mohm 저항을 왜 달까?  (2) 2016.10.26
Load Capacitor - CL  (0) 2016.10.26
bayer 포맷 출력...?  (0) 2016.04.14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0) 2016.04.14
genlock  (0) 2016.04.05
Posted by 구차니

결론(?)은 HPF(High Pass Filter) 인가?


The simplest way to detect microcontrast is through a high pass filter (HPF). In the areas in focus, the detail will trigger a threshold set in the HPF, while out of focus areas wont's do so for being totally blurred in terms of high spatial frequencies.

[링크 : http://forum.luminous-landscape.com/index.php?topic=56246.0]


The simple recipe is to convolve with a Laplacian of Gaussian kernel (3x3, with 8 in the middle surrounded by -1 and take the abs(result)) .

[링크 : http://photo.stackexchange.com/questions/32388/how-can-i-focus-peak-a-photograph]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os m 다중노출 미지원  (0) 2016.05.26
센서 사이즈별 크기  (0) 2016.05.26
FEL - Flash Exposure Lock  (0) 2016.05.13
플래시 사용방법  (0) 2016.05.12
포칼 리듀서 / 스피드 부스터  (0) 2016.04.26
Posted by 구차니


[링크 : http://cpn.canon-europe.com/.../flash_exposure_lock_and_compensation.do]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서 사이즈별 크기  (0) 2016.05.26
focus peak 찾아내기  (0) 2016.05.25
플래시 사용방법  (0) 2016.05.12
포칼 리듀서 / 스피드 부스터  (0) 2016.04.26
안구 해부도?  (0) 2015.11.01
Posted by 구차니


[링크 : http://ran.innori.com/655]

  [링크 : http://ran.innori.com/662] 추천

[링크 : http://morningcoffee.pe.kr/xe/Photo_Lecture/30758]

[링크 : http://mena.tistory.com/481]

[링크 : http://www.monthlyphoto.com/digital/photoshop_view.asp?m_seq=2&s_seq=49&page=]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cus peak 찾아내기  (0) 2016.05.25
FEL - Flash Exposure Lock  (0) 2016.05.13
포칼 리듀서 / 스피드 부스터  (0) 2016.04.26
안구 해부도?  (0) 2015.11.01
삼각측량 소스코드...  (0) 2015.10.19
Posted by 구차니

샤딩이라길래 쉬이딩 오타인줄 알고 찾아봄


일단 원리는...

테이블별로 서버를 분할해서 접속하는 식으로 로드 밸런싱을 하거나

동일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구분해서 밸런싱 하는 등의 방법..


[링크 : http://mongodb.citsoft.net/?page_id=225]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I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0) 2017.04.14
CMT SMT?  (0) 2017.03.06
h.264 헤더  (0) 2016.02.02
RAID6  (2) 2016.01.28
file system snapshot  (0) 2016.01.28
Posted by 구차니

slave address는 7bit

그래서 1bit shift left 해야 하는데

프로그램마다 어떤건 address를 1비트 shift 해서 표기하는건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표기되는거랑 실제 쓰이는거랑 다를때가 있음


register address 8bit / 16bit



data 1byte / multi byte



음.. 이정도가 다인것 같으면서...

이넘의 i2c 드럽게 안친해 지네 -_-

'이론 관련 > 네트워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rt 2bit stop bit  (0) 2018.05.02
rs232 / ttl 전기적 특성(?)  (0) 2016.09.22
Gigabit / Terabit Ethernet  (0) 2015.05.18
FEC - Forwarding equivalence class  (0) 2015.01.09
CIDR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0) 2013.08.07
Posted by 구차니

크랍바디에 풀 프레임용 렌즈를 끼우면

상대적으로 작은 이미지 센서 사이즈로 인해

1.6배의 확대 효과가 있으나, 반대로 그 만큼의 밝기 손실이 생기고 포커스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포칼 리듀서를 이용하면

볼록렌즈를 이용해서 프레임 사이즈에 맞춰 밝기도 올려주고(물론 렌즈에 의한 손실이 약간 생기지만)

크랍바디를 풀 프레임의 심도로 올려준다고 한다.


[링크 : http://sjcy.tistory.com/entry/EFM용-스피드-부스터포컬리듀서-반년-사용기]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L - Flash Exposure Lock  (0) 2016.05.13
플래시 사용방법  (0) 2016.05.12
안구 해부도?  (0) 2015.11.01
삼각측량 소스코드...  (0) 2015.10.19
카메라의 원리  (0) 2015.09.09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4. 14. 18:44

bayer 포맷은 디카의 raw 포맷이라고 하면 될 것 같은데...

일단.. RGB나 YUV와는 달리

순수하게 센서의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 받는데 이미지 센서의 RGB 픽셀은 bayer pattern을 따르게 되고

3x3 bayer 데이터를 하나의 RGB 픽셀로 변환하는 수학 공식을 거쳐 우리가 보는 영상이 되는 듯




Example 2.3. V4L2_PIX_FMT_SGBRG8 4 × 4 pixel image

Byte Order. Each cell is one byte.


start + 0: G00 B01 G02 B03

start + 4: R10 G11 R12 G13

start + 8: G20 B21 G22 B23

start + 12: R30 G31 R32 G33


Example 2.2. V4L2_PIX_FMT_SBGGR8 4 × 4 pixel image
Byte Order. Each cell is one byte.

start + 0: B00 G01 B02 G03
start + 4: G10 R11 G12 R13
start + 8: B20 G21 B22 G23
start + 12: G30 R31 G32 R33

[링크 : https://linuxtv.org/downloads/v4l-dvb-apis/pixfmt-rgb.html] <<


[링크 : http://blog.naver.com/sunflowerove/60026207550]

[링크 : http://www.peter-cockerell.net/Bayer/bayer.html]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ad Capacitor - CL  (0) 2016.10.26
NTSC, PAL, CVBS  (0) 2016.05.25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0) 2016.04.14
genlock  (0) 2016.04.05
tri-state  (0) 2016.03.30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