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에 해당되는 글 321건

  1. 2016.04.14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2. 2016.04.06 가속도계로 각도계산하기
  3. 2016.04.05 genlock
  4. 2016.03.30 tri-state
  5. 2016.03.10 visual 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6. 2016.02.02 h.264 헤더
  7. 2016.01.28 RAID6 2
  8. 2016.01.28 file system snapshot
  9. 2016.01.17 solid state
  10. 2015.11.24 디지털 서보(?)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4. 14. 16:21

링크가 깨졋...

슈퍼캐패시터 보다가 보니.. 단위가 F 라서

감이 안오는 지라...


Wh = (F * V * V) / (3600 * 2)


인건가?

1F 5V 라면..

25 / 7200 = 0.0034722222222222 = 3.4mWh ?



Energy (Joule) = ½ x Capacitance (Farad) x Voltage2 (Volts) 패럿(Farad)을 일반적 충전 배터리의 와트(Watt)단위로 변환할 때 적용 할 수 있습니다.

Energy (Watt hour) = Energy (Joule) / 3600 (sec) LS엠트론에서는 최대전압에서 절반 정도까지, 전체 에너지의 ¾까지 방출할 것을 권장합니다.


Capacity of CellUltracapacitor Units
[F]
Conversion to Battery Units
[Wh]
Operation voltage
(2.8V - 1.4V)
120 F98m Wh
350 F286m Wh
3000 F2.45 Wh

[링크 :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www.ultracapacitor.co.kr/ko/ultracapacitor/comparison.html..o]

[링크 : http://www.ultracapacitor.co.kr/ko/ultracapacitor/comparison.html]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SC, PAL, CVBS  (0) 2016.05.25
bayer 포맷 출력...?  (0) 2016.04.14
genlock  (0) 2016.04.05
tri-state  (0) 2016.03.30
solid state  (0) 2016.01.17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2016. 4. 6. 09:39

어... 단순하게 arctan으로 하면 땡~이 아니었던게야?!?!?!





void calc_xy_angles(void){

   // Using x y and z from accelerometer, calculate x and y angles

   float x_val, y_val, z_val, result;

   unsigned short long x2, y2, z2; //24 bit


   // Lets get the deviations from our baseline

   x_val = (float)accel_value_x-(float)accel_center_x;

   y_val = (float)accel_value_y-(float)accel_center_y;

   z_val = (float)accel_value_z-(float)accel_center_z;


   // Work out the squares 

   x2 = (unsigned short long)(x_val*x_val);

   y2 = (unsigned short long)(y_val*y_val);

   z2 = (unsigned short long)(z_val*z_val);


   //X Axis

   result=sqrt(y2+z2);

   result=x_val/result;

   accel_angle_x = atan(result);


   //Y Axis

   result=sqrt(x2+z2);

   result=y_val/result;

   accel_angle_y = atan(result);


[링크 : http://www.hobbytronics.co.uk/accelerometer-info]


[링크 : https://cache.freescale.com/files/sensors/doc/app_note/AN3461.pdf]

[링크 : http://www.st.com/web/en/resource/technical/document/application_note/CD00268887.pdf]

[링크 : http://www.analog.com/media/en/technical-documentation/application-notes/AN-1057.pdf]


Posted by 구차니


ext. sync 라고 되어 있는 구멍이 장비들에 있어서

그게 명칭인줄 알았더니.. genlock이 명칭인가?



[링크 : http://wiki.edgertronic.com/index.php/Genlock]

[링크 : http://www.bhphotovideo.com/.../timecode-versus-sync-how-they-differ-and-why-it-matter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Genlock]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yer 포맷 출력...?  (0) 2016.04.14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0) 2016.04.14
tri-state  (0) 2016.03.30
solid state  (0) 2016.01.17
디지털 서보(?)  (0) 2015.11.24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3. 30. 20:45

음.. 이래서 input인데 값이 다른 칩에서 변경하지 못했던건가?

(Hi-Z / tri-state)



Input으로 사용할 시에는 해당 회로에서 들어오는 값을 갱신하지 못하는 상태로 만들어 Output을 고저항(Hi-Z)으로 두어 Input되는 값이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Output으로 사용할 시에는 상태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세-상태]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럿(farad) / 암페어(ampere) 변환  (0) 2016.04.14
genlock  (0) 2016.04.05
solid state  (0) 2016.01.17
디지털 서보(?)  (0) 2015.11.24
DMOS?  (0) 2015.10.20
Posted by 구차니

SLAM이라길래 미사일 같은건가?

visual SLAM 이래서 개발환경인가? 하고 찾아 봤더니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의 약자


예전에 찾아 둔.. 카메라 들고 돌아 다니면서 3d로 변환하고 현재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바로 SLAM


[링크 : http://darkpgmr.tistory.com/129]


[링크 : http://vision.in.tum.de/research/vslam]

[링크 : http://vision.in.tum.de/data/software/dvo]

'이론 관련 > 3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영상 종류 sbs tab  (2) 2017.06.12
path tracing - rendering  (0) 2016.12.14
극좌표계, 구면좌표계...  (0) 2015.07.22
극좌표계 / 구면좌표계  (0) 2013.03.26
shader  (0) 2011.11.20
Posted by 구차니



• Coded slice (regular VCL data),

• Coded data partition A, B, C (DPA, DPB, DPC),

• Instantaneous decoder refresh (IDR),

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SEI),

Sequence and picture parameter set (SPS, PPS),

• Picture delimiter (PD) and filler data (FD).

[링크 : http://iphome.hhi.de/wiegand/assets/pdfs/DIC_H264_07.pdf]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2320604/embedding-metadata-to-h-264-encoded-file]


[링크 : http://egloos.zum.com/yajino/v/782492]

[링크 : http://mmlab.knu.ac.kr/Lecture/hci/multi_2008_2/H.264_AVC_2008_7.pdf]


SODB (String Of Data Bits)

RBSP (Raw Byte Sequence Payload)

NAL(Netwrok Abstract Layer)

[링크 : https://codesequoia.wordpress.com/2009/10/18/h-264-stream-structure/]



[링크 : http://vaplab.ee.ncu.edu.tw/~mktsai/data/h264_introduction.ppt]


format pdf

[링크 : http://www.itu.int/rec/dologin_pub.asp?lang=e&id=T-REC-H.264-200305-S!!PDF-E&type=items]

[링크 : http://mmlab.knu.ac.kr/Lecture/hci/multi_2008_2/H.264_AVC_2008_4.pdf]

[링크 : http://iphome.hhi.de/wiegand/assets/pdfs/DIC_H264_07.pdf]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T SMT?  (0) 2017.03.06
db shading  (0) 2016.05.08
RAID6  (2) 2016.01.28
file system snapshot  (0) 2016.01.28
tsl - test and set lock  (0) 2015.11.23
Posted by 구차니

raid5가 의외로 고자라니... ㄷㄷㄷ

raid5는 N-1의 공간 효율을 가지는데

CRC 하나라서 동시 디스크 2개 이상의 손상에 대해서는 복구할 방법이 없다.

그런데 정작 필드에서 복구율을 보면 raid 라고 하기 처참한 상황


아래 그래프가 맞자면 raid0이랑 별반 다름없는 상황인데

하드가 3년 정도 주기로 서버에서는 교체할테니 고장률 35%대..


[링크 http://linux.krauss.kr/doku.php/raid_신뢰성_고찰]


아무튼 이런 이유로 대세는 raid6 라고..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shading  (0) 2016.05.08
h.264 헤더  (0) 2016.02.02
file system snapshot  (0) 2016.01.28
tsl - test and set lock  (0) 2015.11.23
SNTP - Simple NTP  (0) 2015.11.12
Posted by 구차니

음.. 대충 이해한걸로는

하드 데이터 복구랑 비슷한 기분?


파일이 삭제 되거나 수정하면

다른 inode에 저장/삭제를 할 텐데


file system 레벨에서

그걸 삭제한게 아니라 version history 관리하듯

촤르륵 목록으로 냅두고 실제로 삭제하지 않음으로서


inode 목록만 저장(snapshot) 해두고

그걸로 이전의 시간대로 복구하는 개념..


CoW(Copy on Write) 는 스냅샷을 구현하는 방법론이 되려나?


[링크 : http://hybridstoragekorea.blogspot.com/2013/10/blog-post_4204.html]



Snapshot technology
 Copy-
on-write
Redirect-
on-write
Clone/
split mirror
COW
w/back-
ground
copy
IncrementalCDP
Snapshot is tightly
coupled to original data
YesYesNoYes, until
background
copy finishes
Depends on how
original snapshot
is generated
No
Space efficientYesYesNoNoNoYes, versus multiple
point-in-time snapshots


[링크 : http://searchdatabackup.techtarget.com/...snapshot-technologies-for-data-protection]



고민을 해보니.. SSD에서는 구현 못하는거 아냐? inode가 붕뜨면 삭제처리 할텐데?(Trim)

했는데.. fs 레벨에서 inode 삭제가 아니라 삭제된 inode로 다른 테이블에서 실 데이터로 관리해주면

trim에 의해서 삭제 되지 않을테니 문제 없음! 이 될 것 같고


하드 공간이 넉넉하지 않으면 엄청난 성능 저하 및

snapshot으로 복구 할 가능성이나 시간대역이 짧아질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4T 하드에 3T 내용이 있고

그 내용 전부를 크립토락커로 당했다면.. 전부 복구가 불가능 해질 가능성도 존재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아니면 말고..)


한마디로.. 삭제 된 파일도 실제 FS 상에서는 .remove 식으로 관리해둔다고 보면 될 듯?(리눅스 기준)




+

저널링은 갑작스런 전원 중단으로 인한 불일치를 복구하는데 유리한 시스템이고

(commit이 완료되면 엎어씀)

스냅샷은 엎어쓰지 않아서 정전과 상관없는 백업을 유리하게 하는 시스템..


Versioning file systems should not be confused with journaling file systems. Whereas journaling file systems work by keeping a log of the changes made to a file before committing those changes to that file system (and overwriting the prior version), a versioning file system keeps previous copies of a file when saving new changes. The two features serve different purposes and are not mutually exclusive.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Versioning_file_system]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64 헤더  (0) 2016.02.02
RAID6  (2) 2016.01.28
tsl - test and set lock  (0) 2015.11.23
SNTP - Simple NTP  (0) 2015.11.12
MMIO <-> PMIO  (0) 2015.07.28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6. 1. 17. 20:46

고체로 된 전자기기

그냥.. solid(고체) state(상태)

인가?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Solid-state_electronics]



솔리드-스테이트, solid-state

명사

텔레비전·라디오에서, 진공관 대신에 트랜지스터·IC 등 반도체로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



전기/전자에서는 TR 같은 고체 소자를 이용한 것이라고 하네..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nlock  (0) 2016.04.05
tri-state  (0) 2016.03.30
디지털 서보(?)  (0) 2015.11.24
DMOS?  (0) 2015.10.20
PID 제어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0) 2015.10.13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5. 11. 24. 09:19

단지.. 내부 제어 주파수가 올라갔을뿐

PWM인건 그대로다...


그럼 왜 디지털이지?!

난또 디지털 서보라길래

PWM이 아닌 디지털 통신으로 하는줄 알았구만 -_-


[링크 : https://www.eleparts.co.kr/EPX4UK7H]

[링크 : http://blog.whattomake.co.kr/110]

[링크 : http://www.servodatabase.com/servo/skyholic/hds-577]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state  (0) 2016.03.30
solid state  (0) 2016.01.17
DMOS?  (0) 2015.10.20
PID 제어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0) 2015.10.13
전류제어  (0) 2015.09.1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