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쌈지길 3층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언젠간 행복해지겠죠. 저 문구가 웬지 모르게 눈에 들어왔다.
난 지금 행복한가?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9. 18. 11:24
저번에 yaffs2 넣는다고 컴파일 했다가 시스템 날려먹고
겨우겨우 grub 메뉴로 들어가 복구는 했는데.. 이유를 오늘에서야 찾아보게 되었다.
(아.. 직딩의 한이란 ㅠ.ㅠ)

Shift 누르고 GRUB2 메뉴로 들어가서 기존의 커널로 부팅!
아마 update-grub시 1번 메뉴(=기본 선택 부팅)은 시간을 비교해서 최신의 것으로 바뀌는 것으로 추측된다.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죽을때의 메시지.
0.618952 초에 나온 이후의 메시지가 관건이다. sda1 응? "root=" boot option?

그래서 다른 부팅메시지와 비교를 해봤더니
커널 설정 부분의 root= 뒤에 UUID가 들어가냐, 아니면 device 이름이 들어가냐의 차이로 부팅이 안된게 아닐까 추측이 된다.
그리고, initrd가 빠져있었는데 음.. 귀찮은데 다른 버전의 것을 그냥 써줘도 되려나?
menuentry 'Ubuntu, 그리고 Linux 2.6.32.15+drm33.5' --class ubuntu --class gnu-linux --class gnu --class os {
        recordfail
        insmod ext2
        set root='(hd0,1)'
        search --no-floppy --fs-uuid --set 1e3d003c-6547-40c8-8f7f-32c0156b7ac8
        linux   /boot/vmlinuz-2.6.32.15+drm33.5 root=/dev/sda1 ro   quiet splash
}
}
menuentry 'Ubuntu, 그리고 Linux 2.6.32-24-generic' --class ubuntu --class gnu-linux --class gnu --class os {
        recordfail
        insmod ext2
        set root='(hd0,1)'
        search --no-floppy --fs-uuid --set 1e3d003c-6547-40c8-8f7f-32c0156b7ac8
        linux   /boot/vmlinuz-2.6.32-24-generic root=UUID=1e3d003c-6547-40c8-8f7f-32c0156b7ac8 ro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2.6.32-24-generic


UUID는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확인자 라는 의미라고 한다.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Universally_unique_identifier]

귀찮아서 initrd 를 2.6.32.24 걸로 끌어다 썻더니 부팅은 시도하지만
커널과 관련된 파일들이 없어서 부팅이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make modules_install 을 해주거나 depmod 를 해주면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cd linux-2.6.30/drivers/gpu/drm/i915/
patch i915_drv.c /tmp/patch # make any modification you need here
make -C /usr/src/linux-headers-`uname -r` M=`pwd` modules
sudo make -C /usr/src/linux-headers-`uname -r` M=`pwd` modules_install
sudo depmod -a

[링크 : https://wiki.ubuntu.com/KernelCustomBuild]
[링크 : http://linux.die.net/man/8/depmod]

$ make modules_install
  ...
  INSTALL /lib/firmware/yam/9600.bin
  DEPMOD  2.6.32.15+drm33.5


여전히 initramfs 에서 못넘어 간다. 이래저래 initrd.img를 생성해야 할듯 하다.

머 생성해도 달라지는건 별로 없군 ㄱ- busybox 에서 못 넘어 간다 (안해!!!! ㅆㅂ)


다른것들 보다는.. 도대체 왜
 FATAL: Could not load /lib/modules/... : No such file or directory
라는 에러가 발생을 하는지 모르겠다.


---
/dev/sda1 대신 /dev/hda1을 바꾸면 될까 했는데.. 역시나 안되고 -_-
(sda1은 SATA 하드 hda1은 IDE용 하드의 식별자이다)

혹시나 해서 initrd의 내용을 열어보니
conf/conf.d/resume 파일의 내용중 UUID의 값이 /boot/grub/grub.cfg 의 내용과 다르게 들어있었다.
그리고 이 내용은
/etc/initramfs-tools/conf.d/resume에 들어있던 내용이고
mkinitramfs 에 의해 이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Extracting initrd image
Initrd image is just cpio-gzip archive. So to extract it:

$ mkdir initrd
$ cd initrd
$ gzip -dc /boot/initrd-2.6.16-026test014.4-smp.cpio | cpio

[링크 : http://wiki.openvz.org/Modifying_initrd_image]

바꾸어서 해보니 안되는건 차이가 없다.
그래서 위의 방법대로 되는 버전의 initrd 와 내가 만든 initrd를 비교해보니
initrd 내부의 /lib/modules/ 에 modules.dep 파일이 빠져있었다 ㄱ-
미네랄!



2010.09.19
문서를 찾아봐도 mkinitramfs 라는 녀석이 끝판왕인데
나의 경우에는 우분투에서 받은 소스의 설치 경로가 달라서인지 제대로 된 initrd.img가 생성되지 않았다.

아무튼 이러한 경로를 참조해서 생성하도록 [version] 값을 넣어주어야 한다.
(-o 옵션 뒤의 값은 생성할 파일의 이름이고, 그 뒤의 이름은 /lib/modules에 존재하는 디렉토리의 이름이다)
 $ ls -al /lib/modules/[version]
 $ mkinitramfs -o initrd.img-[version] [version]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9. 18. 11:13
이것저것 깔아놓다 보면 업데이트시 다운로드 용량에 한번 놀라고!
업데이트 주기에 한번 더 놀라고!
업데이스 시간에 한번 더 놀란다 -_-

아무리 공부용/테스트용 우분투 이지만.. 이렇게 많이 깔아 놓다니 후회중 ㅠ.ㅠ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Kernel Compile 버전 정보  (0) 2010.09.21
grub.cfg 설정 + VFS 패닉  (4) 2010.09.18
grub2 메뉴 들어가기  (0) 2010.09.16
grub menu.lst 넌 어디야?!  (0) 2010.09.15
yaffs2 하려는데 왜케 빡시누  (0) 2010.09.14
Posted by 구차니
주 5일이라 좋긴한데.
주중에는 피곤해서 일찍 잠들기 바쁘고..
오히려 내 시간이 더 없는 느낌이다 -_-

좋지 않아 ㅠ.ㅠ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4) 2010.09.29
토요일의 평일근무  (4) 2010.09.25
잉여스러운 주말  (6) 2010.09.12
개인용 pc 획득!  (2) 2010.09.03
생존신고  (0) 2010.09.03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10. 9. 16. 23:19
둘다 GPU의 프로세서를 범용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제조사가 다르니머.. 근데 이거 볼날이 올려나?

[링크 : http://developer.nvidia.com/object/cuda_3_2_toolkit_rc.html]           CUDA
[링크 : http://developer.amd.com/gpu/atistreamsdk/pages/default.aspx]   ATI stream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ssagepopup 2 - 메시지팝업 2  (0) 2010.11.09
freeNAS + 설치형 웹하드  (2) 2010.09.24
컴퓨터 최초설치시 다운로드 목록  (2) 2010.09.06
가청주파수 테스트 프로그램  (6) 2010.08.15
빵집 4 - Build2270  (6) 2010.07.27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0. 9. 16. 18:53
.... 이거 먼가 ... 기분이 이상해!


웬지 껐다켜면 안될꺼 같은 기분이 들잖아!!!!

결론 : 그냥 UAC 쓰고 네이트온 원격을 포기하자 =_=
[링크 : http://jwmx.tistory.com/1824]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STL2010. 9. 16. 10:07
new와 delete,
new[] 와 delete[] 가 묶여야 한다고 한다.

즉,
 int *a = new int;
 delete a;

 int *arr = new int[10];
 delete[] arr; // delete arr[]; 이 아님

그렇다고 해서 링크드 리스트 처럼 다층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구조에서는
delete[] 가 자동으로 해주진 않는것으로 보인다.
(그냥 STL 쓰면 해결된다는 지인의 조언이 -_-)

[링크 : http://yesarang.tistory.com/39]

'Programming > C++ ST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template  (0) 2012.05.12
리눅스에서 c++ 컴파일시 strcpy / strcat 오류  (0) 2011.10.13
cout 그리고 namespace  (0) 2010.09.16
C++ 레퍼런스 변수(reference variable)  (4) 2010.09.15
C++0x  (0) 2010.09.15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STL2010. 9. 16. 09:35
cout을 쓰려면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두개를 써야 한다고 했는데, 문득 아래를 안쓰면 어떤 에러가 날지 궁금해졌다.

 error C2065: 'cout' : 선언되지 않은 식별자입니다.
음.. 역시 namespace가 다르니 인식을 하지 못하는 건가?

물론
std::cout << "Hello World";
라고 namespace를 직접 입력해주면 에러없이 실행이 가능하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amespace]

'Programming > C++ ST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c++ 컴파일시 strcpy / strcat 오류  (0) 2011.10.13
new / new[] / delete / delete[]  (4) 2010.09.16
C++ 레퍼런스 변수(reference variable)  (4) 2010.09.15
C++0x  (0) 2010.09.15
std::vector 포인터  (0) 2010.09.13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언어론2010. 9. 16. 09:15
포인터는 메모리의 특정 지점을 찍어주는 역활을 한다.
즉, 데이터든 코드든 어디든 찍을수가 있다.

함수 포인터에서 의문점이 생긴것은 바로 함수 포인터의 선언부분이다.
#include <stdio.h>

void testout1(const char *s) {
  printf("시험출력1:%s\n", s);
}

void testout2(const char *s) {
  printf("시험출력2:%s\n", s);
}

// 함수포인터 변수
void (*funcPtr)(const char *s);

int main() {
  // 함수포인터를 testout1, testout2로 각각 대입해보고 실행해본다.
  funcPtr = testout1;
  funcPtr("테스트");
  funcPtr = testout2;
  funcPtr("테스트");
}

[링크 : http://www.redwiki.net/wiki/wiki.php/%C7%D4%BC%F6%C6%F7%C0%CE%C5%CD]

위의 코드를 보면,
 void (*funcPtr)(const char* s);
위의 부분에서 함수 포인터의 인자(arguments)들의 형은 존재하지만, 변수명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물론 VS2010 에서 컴파일을 해보아도
변수명이 존재를 하던 변수형만 존재를 하던 상관은 없지만 왜 그럴까? 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왜 그럴까?
아마도, 함수 포인터에서 중요한건 연결되는 함수와,
넘겨지는 변수들의 형, 그리고 갯수이지 변수명이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

어짜피 stdcall 형태로 calling convention을 유지한다면
넘어가는 변수명 따위는 내부적으로는 의미가 없고, 넘어가는 순서가 중요하니 말이다.
그런 이유로, 함수 포인터의 선언에는 변수형만 존재하고 변수명은 옵션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링크 : http://www.cplusplus.com/doc/tutorial/pointers/]

'Programming > 언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급 함수 first-class function  (0) 2025.01.31
dangling if-else  (0) 2014.08.13
double의 정확도 자릿수  (0) 2011.03.25
type system  (0) 2010.09.15
calling convention(콜링 컨벤션)  (0) 2010.04.17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0. 9. 16. 08:51
커널 바꾸고 VFS 패닉나는 관계로.. 복구를 해야 하는데
당췌 우분투 10.04 에서 지원하는 부트로더의 메뉴로 들어가는 법을 찾지 못하고 있었는데..

grub 의 경우 esc
grub2의 경우 shift를 누르고 부팅을 하면 메뉴로 들어간다고 한다.
(USB 로 부팅해서 복구하기 귀찮아서 이러는건 절대 아닐지도 -_-)

부팅되는 동안 시스템이 쉬프트 키(SHIFT key)의 상태를 점검하는데, 만약 결정하지 못했다면, 이에스시 키(ESC key)를 누름으로써 메뉴를 보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링크 : http://www.xpressengine.com/18965688]

[링크 : http://www.gnu.org/software/grub/]
[링크 : http://www.dedoimedo.com/computers/grub-2.html]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195275]


집에와서 해보니, BIOS 에서 부터 Shift를 누르는것은 들어가지지 않고,
BIOS 에서 Bootloader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부터 Shift 키를 누르고 있어야 GRUB loader menu로 진입하였다.
눌렀다 뗐다 하는것도 안되고, 계속 메뉴가 뜰때까지 누르고 있어야 하는데 음.. 이건 촘 아니라는 느낌..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ub.cfg 설정 + VFS 패닉  (4) 2010.09.18
ubuntu 업데이트 시스템의 불편함  (0) 2010.09.18
grub menu.lst 넌 어디야?!  (0) 2010.09.15
yaffs2 하려는데 왜케 빡시누  (0) 2010.09.14
ubuntu 에서 X window 종료시키기  (0) 2010.08.23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