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Office2010. 11. 23. 16:12
제목이 거창하지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현재 목차에 따른 큰 항목을 머릿글에 자동으로 연결해서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목차가

1. Index
2. Preface
3. Chapter 1
4. Chapter 2
5. Appendix A

이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페이지 위에 현재 속해있는 항목을 출력하는 것이다.

MS Word 2007 기준이며 다른 버전은 모르겠다 -_-

Step 1. "삽입 - 빠른 문서요소 - 필드"

Step 2. StyleRef 필드를 선택후 원하는 스타일 이름(물론 문서는 스타일이 적용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을 선택한다.

[링크 : http://office.microsoft.com/ko-kr/word-help/HP005186193.aspx]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141994/en-us]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Mantis2010. 11. 23. 11:08
mantis 1.2.3 버전에서 사용자 관리를 하는데(권한수정)

요런 에러가 발생을 한다면
 SYSTEM WARNING: require_once(/var/www/mantisbt-1.2.3/library/disposable/disposable.php):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disposable.php를 다운받아
mantisbt-1.2.3/library/disposable/disposable.php 에 복사를 해주면 된다.

[링크 : https://github.com/vboctor/disposable_email_checker/blob/master/disposable.php]
Posted by 구차니
svn export는 2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1. 이미 받아놓은 svn working copy 에서 하기

    단, 이 경우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여 그 안에 export 해야 안전하다.
    (현재 디렉토리 이름 그대로 export 하므로 이름이 겹쳐진다.)


2. 서버에서 직접 받아 export 하기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0. 11. 22. 13:42
wgGroupPermissions 항목을 추가하면 간단하게 해결!


mediawiki/LocalSettings.php
$wgGroupPermissions['*' ]['read'] = false;

[링크 : http://kldp.org/node/85405]

그렇다면 Linux 계정(PAM)으로 로그인하거나,혹 은 가입자체도 막아야 할텐데 어떻게 해야하려나..

Linux 계정으로 로그인(읽다말음 -_-)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Authentication] / mediawiki
[링크 : http://www.dokuwiki.org/auth:pam]                / dokuwiki
   [링크 : http://www.dokuwiki.org/tips:htaccessauth]
   [링크 : http://www.dokuwiki.org/tips:httpslogin]
Posted by 구차니
내부적으로
mtd를 위해 YAFFS2 와
SDcard를 위해 VFAT을 사용한다.

$ mountrootfs / rootfs ro 0 0
tmpfs /dev tmpfs rw,mode=755 0 0
devpts /dev/pts devpts rw,mode=600 0 0
proc /proc proc rw 0 0
sysfs /sys sysfs rw 0 0
tmpfs /sqlite_stmt_journals tmpfs rw,size=4096k 0 0
none /dev/cpuctl cgroup rw,cpu 0 0
/dev/block/mtdblock6 /system yaffs2 ro 0 0
/dev/block/mtdblock8 /data yaffs2 rw,nosuid,nodev 0 0
/dev/block/mtdblock7 /cache yaffs2 rw,nosuid,nodev 0 0
/dev/block/mtdblock5 /cdrom yaffs2 rw 0 0
tmpfs /tmp tmpfs rw,size=2048k 0 0
/dev/block/mtdblock0 /pds yaffs2 rw,nosuid,nodev 0 0
/dev/block//vold/179:1 /sdcard vfat rw,dirsync,nosuid,nodev,noexec,uid=1000,gid=1015,fmask=0702,dmask=0702,allow_utime=0020,codepage=cp437,iocharset=iso8859-1,shortname=mixed,utf8,errors=remount-ro 0 0


$ cat /proc/filesystems
nodev   bdevnodev   proc
nodev   cgroup
nodev   binfmt_misc
nodev   debugfs
nodev   sockfs
nodev   usbfs
nodev   pipefs
nodev   anon_inodefs
nodev   tmpfs
nodev   inotifyfs
nodev   devpts
nodev   ramfs
        vfat
        msdos
        yaffs
        yaffs2

근데.. 도대체 왜! cdrom이 마운트 되는거지 -ㅁ-?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0. 11. 22. 12:00
dokuwiki는 설정이 매우 단순한 녀석이라 좋긴한데 음..
일단 dokuwiki를 다운로드 받고
[링크 : http://www.splitbrain.org/projects/dokuwiki]
    [링크 : http://www.splitbrain.org/_media/projects/dokuwiki/dokuwiki-2010-11-07.tgz]

FCKEditor를 위한 wikiconverter를 Perl을 통해설치!
sudo perl -MCPAN -e 'install HTML::WikiConverter::DokuWiki'

[링크 : https://fosswiki.liip.ch/display/DOKU/Installation]

그리고 dokuwiki로 통합된 FCKEditor를 다운받고
[링크 : https://fosswiki.liip.ch/download/attachments/4817036/fckw.0.8.zip?version=1&modificationDate=1232621697000]

dokuwiki/lib/plugin 에서 압축을 풀어준다.
 unzip fckw.0.8.zip

그리고 한글화는
dokuwiki/conf/dokuwiki.php 의 18Line 에서 "en" 이라고 쓰인 부분을 아래와 같이 ko로 변경해준다.
  $conf['lang']        = 'ko';              //your language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0. 11. 22. 11:36
mediawiki는 현재 1.16 버전이고
fckeditor는 1.15 버전까지만 통합이 되어있다.
그런 이유로 현재로서는 svn repository에서 REL-1.15 계열을 받아주어야 한다.

mediawiki/LocalSettings.php
 require_once("$IP/extensions/FCKeditor/FCKeditor.php");
 $wgUseAjax = 'true';
[링크 : http://mediawiki.fckeditor.net/index.php/FCKeditor_integration_guide]

mediawiki/extensions/FCKeditor/FCKeditor.body.php 에서 &를 삭제(206Line)
 public function onCustomEditor(&$article, &$user) {
[링크 : http://dev.ckeditor.com/ticket/3530]



다운로드 링크
FCKEditor + mediaWiki extension
  http://mediawiki.fckeditor.net/nightly/svn/mediawiki_fckeditor_ext_N.tar.gz (Size 1 MB, FCKeditor 2.6.4 included).
Posted by 구차니
설마했는데.. 정말로 EXT4를 쓸줄이야 -_-
아무튼 2.2 프로요 업글해도 생각보다 성능향상이 없다는

갤럭시S 업그레이드 후 패치할 수밖에 없던 이유

글을 보고 나니, 예전에 들었던 부두 라는 녀석이 머길래 그렇게 좋아지나? 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By replacing the faulty RFS filesystem with the Linux-standard Ext4 filesystem, Voodoo lagfix simply restores I/O performance and global user experience of the Galaxy S to what it should have been to begin with.
And the performance level is awesome !

[링크 : http://project-voodoo.org/lagfix]

[링크 : http://project-voodoo.org/]
    [링크 : http://project-voodoo.org/lagfix]




RFS는 아마도 ReiseFS인 것같다.
Structures
Directory contents B+ tree
File allocation Bitmap [1]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ReiserFS]

EXT4는 아래 링크 참조
Structures
Directory contents Linked list, hashed B-tree
File allocation Extents/Bitmap
Bad blocks Tabl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Ext4]

B tree가 물론 검색에 유용하다고 하지만,
hashing 테이블이 크다면(다르게 말하면 용량을 조금 더 차지한다면)
EXT4의 파일검색 속도가 더 빠를수 밖에 없어 보인다.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0. 11. 21. 11:38
아는 녀석에게 당한 뽕뿌질 -_-
마침 모니터 하나 지를까 하드를 먼저 지를까 재보고 있는데
모니터를 먼저 지르는쪽으로 유도하게 된 장본인!

생긴건 평범한 22인치(?) LCD 모니터인데...
IBM 까진 좋은데 밑에... 읭?!

아무튼 LFH-60 커넥터를 사용한다는데 이거를 바로 꼽을수 있는 그래픽 카드는 없는 관계로
(쿼드로나 매트록스 계열은 존재하려나?) 이 커넥터를 질러야 할 기세.jpg

나이가 들면서 돈은 있으면서 겁이 많아지는건지
효율이라는 이름하에 지르고 안되면 또 사면되지~! 이런 막무가내 정신이 자꾸만 사라지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이걸 사서도 제대로 돌릴수 있는 그래픽 카드가 몇가지나 될려나 마는..
일단 커넥터까지 같이 구매하거나 별도구매 하고 나서 사용하게 될녀석인듯
(아마 최악의 경우 그래픽 카드 하나는 교체 해야할듯)

결론 : 급여날이여 오라!!!!!

[링크 : http://www.junggolove.com/shop/shopdetail.html?brandcode=042005000010]
    [링크 : http://download.lenovo.com/ibmdl/pub/pc/pccbbs/visuals/usersguidet221.pdf]
    [링크 :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642696]
[링크 : http://www.nvidia.com/object/geforce_8600_features.html]
     [링크 : http://www.leadtek.com/eng/support/faq/Quadro_Resolution_Tables.pdf]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IBM_T220/T221_LCD_monitor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ow_Force_Helix]
     [링크 : http://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lfh&tab=goods&cate_c1=862&cate_c2=10621]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무료백신은... x64 미지원 -ㅁ-!  (2) 2011.04.29
docbook  (0) 2010.12.18
NAS SAN DAS 그리고 SAS  (4) 2010.10.24
세면기와 변기 호스가 다르다니!  (2) 2010.06.30
유리, 비결정질, 과냉각, 결정  (0) 2010.06.1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Putty2010. 11. 20. 23:24
Putty에서 port forwarding을 이용하면, Local의 경우 특정 웹페이지 하나만을 돌릴수 있다.
Dynamic으로 설정하면 임의로 사용가능 하다고 이야기는 들은적 있지만 -_-
설정을 제대로 해서 돌려본적이 없는데 문득 VPN 관련해서 검색하다가
Dynamic SOCKS라는 Putty 기능에 대해서 다시 찾게 되었고, 이제야 사용방법을 알게 되었다.
(머.. 그래도 정말로 되는지는 나중에 다시 해봐야 할 듯)

Step 1. Putty의 Connection - SSH - Tunnels 메뉴에서
          Source Port는 임의로 입력, Desination에서 Dynamic만 선택하고 Add 한다.

Step 2. 브라우저의 프록시 설정메뉴에서 SOCKS에 설정을 넣는다.


[링크 : http://www.devdaily.com/unix/edu/.../2-configure-putty-ssh-tunnel-ssh-server.shtml]
[링크 : http://www.devdaily.com/unix/edu/.../3-configure-firefox-use-ssh-tunnel-socks-proxy.shtml]
[링크 : http://www.virtualroadside.com/blog/index.php/2007/04/12/dynamic-socks-proxy-using-putty/]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OCKS]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SOCKS]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