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PAM_Enabled on AuthType Basic
AuthName "Subversion Repository" AuthUserFile /etc/shadow Require group www-data
Require valid-user
</Location>
위와 같이 설정을 해주니, shadow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svn에 접근할수 있게 되었다.
Apache2: PAM Authentication 리눅스 계정으로 아파치 인증하기
[Q] Apache2 를 이용할 때, 아파치가
설치된 서버의 계정 정보를 이용한 로그인을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새로운 전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Trac 을 개설하고, Trac 을 설치한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연동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PAM Authentication 을 이용하면 됩니다.
Debian / Ubuntu 배포판에서는 간단히 libapache2-mod-auth-pam 모듈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사이트 설정 (httpd.conf 나 각 사이트의 configuration) 의 해당 섹션에 이와
관련된 설정을 하면 됩니다.
우선 AutyType 을 Basic 으로 하는 경우 (가장 간단한 경우) 부터 보겠습니다.
AuthPAM_Enabled on
AuthType Basic
AuthBasicAuthorative off
AuthName “사용자에게 아이디 / 비번을 물어볼 때 표시될 문자열. 따옴표 포함해서 적으면 장땡임.”
Require group “로그인을 허용할 그룹들. 빈칸으로 구분. 따옴표는 적지 마세요.”
Require valid-user # 이건 뭐하는건지 모르겠음
그리고 이 설정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etc/shadow 파일을 Apache2 가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정을 적절한 곳에 해 주도록 합시다. httpd.conf 에 하면 되겠지요? 저같은 경우에는 /etc/apache2/mods-available/auth_pam.load 에 직접 적용하였습니다만 어디까지나 귀차니즘 때문이었습니다.
Group shadow
사실 저 자리에 적어주는 shadow 는 /etc/shadow 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그룹명이면 됩니다. 이렇게 할 때 무언가 보안 헛점이 생길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혹시라도 /etc/shadow 파일에 g+w 가 설정되어 있다면 이를 끄도록 합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옵션에서 "방화벽 및 DSL 모뎀과 호환되는 수동 FTP 사용"의 체크를 꺼주면된다.
아래는 MS사의 정보이다.
이 문서에서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PORT 모드와 PASV 모드를 모두 사용하도록 Internet Explorer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FTP는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합니다. 이들 모드는 각각 표준(또는 PORT나 능동)과 수동(또는 PASV)이라고 합니다. 표준 모드 FTP 클라이언트는 PORT 명령을 FTP 서버에 보냅니다. 수동 모드 클라이언트는 PASV 명령을 FTP 서버에 보냅니다. 이러한 명령은 FTP 세션을 설정할 때 FTP 명령 채널을 통해 보내집니다.
표준 모드 FTP 클라이언트는 먼저 FTP 서버의 TCP 포트 21에 연결을 설정합니다. 그러면 이 연결이 FTP 명령 채널을
설정합니다. FTP 클라이언트가 폴더 목록이나 파일 같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야 할 때는 클라이언트가 FTP 명령 채널을 통해 PORT 명령을 보냅니다. PORT
명령에는 FTP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연결에 사용하는 포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준 모드에서는 FTP 서버가 항상
TCP 포트 20에서 데이터 연결을 시작합니다. FTP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때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연결을 새로 열어야
합니다. 또한 FTP 클라이언트도 PORT 명령을 다시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연결을 새로 열도록 요청합니다.
수동 모드 FTP 클라이언트도 먼저 FTP 서버의 TCP 포트 21에 연결을 설정해서 제어 채널을 만듭니다. 클라이언트가 명령 채널을 통해 PASV 명령을 보내면FTP 서버는 임시 포트(1024 - 5000)를 열고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기 전에 해당 포트에 연결하도록 FTP 클라이언트에 알립니다. 표준 모드와 마찬가지로 전송 전에 FTP 클라이언트에서 새로 PASV 명령을 보내야 하며 FTP 서버는 전송이 이루어질 때마다 새 포트에서 연결을 기다립니다.
FTP 클라이언트나 서버 중 한 곳의 방화벽 구성에 따라 FTP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모드를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이상은 표준 모드와 수동 모드를 모두 지원합니다.
방화벽까지 내려가면서 써야할 정도의 가치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드는 경고문구
아무리 intranet용이라고 하지만 이건좀... OTL
메세지팝업 II
MessagePopup II
는 LAN에서 메세지 전송을 하는 Instant LAN Messenger 입니다.
공짜로
사용할 수 있게 Freeware로 공개되며, 업무에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설치만으로 같은
LAN상에 메세지팝업이 설치된 컴퓨터들끼리 통신이 가능합니다. (TCP/IP
프로토콜 설치 IP셋팅완료 컴)
기본적으로는 메세지 전송을 주로
하고, 파일 한개를 첨부해서 보낼 수있습니다. 대화명도 바꿀수 있으며
그룹기능이 추가되어
그룹별로 리스팅할 수도 있습니다.
업무에
편의를 위해 다이어리를 제공해 달력스타일의 다이어리에 업무정리를
할 수 있고, 알람시간을 정해서 알람시간을 알려줍니다.
한글 대한민국
프로그램이므로 여타 외국 프로그램이 제공 못하는 음력으로 기념일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의 빨강 공휴일도 당연히 표시 됩니다.
일단 사용하시면 어떠한 상용프로그램과 비교할 수없는 메세지팝업만의
기능에 빠져들게 될 겁니다.
요구사항 OS:
windows 95/98/Me/2000/XP 와 이후 Windows
LAN card : TCP/IP protocol installed
( 일관성 없는 동적IP사용하면 안될 수 있음)
해상도 : 최소 800
X 600, ( 1024 X 768 이상이 최적환경).
(윈도우즈 XP 사용자는 반드시 네트워크설정에서
방화벽을 사용안함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해제안하면 보내는건 되는데 받지 못함
)
Options:
--version show program's version number and exit
-h, --help show this help message and exit
-a DIGESTAUTH, --auth=DIGESTAUTH
[projectdir],[htdigest_file],[realm]
--basic-auth=BASICAUTH
[projectdir],[htpasswd_file],[realm]
-p PORT, --port=PORT the port number to bind to
-b HOSTNAME, --hostname=HOSTNAME
the host name or IP address to bind to
--protocol=PROTOCOL http|scgi|ajp
-q, --unquote unquote PATH_INFO (may be needed when using ajp)
--http10 use HTTP/1.0 protocol version (default)
--http11 use HTTP/1.1 protocol version instead of HTTP/1.0
-e PARENTDIR, --env-parent-dir=PARENTDIR
parent directory of the project environments
--base-path=BASE_PATH
the initial portion of the request URL's "path"
-r, --auto-reload restart automatically when sources are modified
-s, --single-env only serve a single project without the project list
-d, --daemonize run in the background as a daemon
--pidfile=PIDFILE When daemonizing, file to which to write pid
--umask=MASK When daemonizing, file mode creation mask to use, in
octal notation (default 022)
아무튼 로그인에 성공(!) 하면은 아래와 같이 "New Ticket" 이라는 녀석이 생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