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665건

  1. 2016.12.27 진도 VTS 관련 의문점... 2
  2. 2016.12.26 세월X 요약 4
  3. 2016.12.25 odroid u3 웹캠 두 채널
  4. 2016.12.23 문득 떠오른 유기EL
  5. 2016.12.22 linux shared memory 관련
  6. 2016.12.20 linux ipc
  7. 2016.12.20 pthread detach while
  8. 2016.12.20 tm4c 하이버네이트 소스...
  9. 2016.12.19 뻘글 / 계란값이 오른 이유 2
  10. 2016.12.19 MFC / stdlib / qsort example

X 밴드 레이더라고 하는데..

진도 VTS에서 보고 있는 레이더 영상이었다고 하는데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4zKsg2LocBQ]


진도 VTS는 이렇다는데 대충 7층 정도

그럼 높이가 끽해봤자 30m 보다 낮다는건데


사고 해역인 병풍도 까지는 하조도가 가로막고 있고

하조도의 레이더 빔의 직선상인 조도면 쪽은 200m 정도 까지 되는 산지

그리고 VTS에서 직선상 왼쪽에(VTS 기준) 수풀이 있는데..

각도에 따라서는 숲의 영향을 받을 것 같다.

장죽도도 직선상 아주 가까운 곳에 존재하고

저 200m 정도 되는 조도면의 산을 뚫고 진도 VTS에서 

자기 레이더만으로 세월호를 추적이 가능했을까?


진도 VTS에서 공개한 자료는

실제로 자기가 가진 레이더가 아닌 다른 사이트의 레이더와 같이 합성된(synthetic) 지역 영상이 아닐까?

그리고 세월호를 뒷따르는 이상한 궤적은 저런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한 고스트가 아닐까?



+

진도VTS쪽 레이더가 아니라 서거차도 레이더일려나?


[링크 : http://blog.naver.com/actachiral/220439022976]




+

고스트 라고 표현했는데. 다중경로 전파로 인한 허상 이라고 해야 하려나?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ultipath_propagation]

Posted by 구차니

라고 하면 너무 노력을 폄하하는게 되려나?


1. 초반에는 "외력"을 의심을 함

2. 국가에서 공개한 각종 항적 자료와 항해자료를 교차검증

3. 결론은 데이터 통신이나 디지털 자료 특성의 오류로 인한것이지 조작되었다 볼 수는 없음

4. 세월호는 의외로 쓰러트리려고 해도 쓰러지지 않는 녀석이다.

5. 편견을 버리고 진실을 보자(조금은 작위적이고...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같지만)

6. 진짜 결론. 아직 세월호 사건에 대해서 알려진 내용은 하나도 없다. 조사가 필요하다






다큐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 다운로드받아서 5배속으로 보았음에도 하세월 ㅜㅜ

소리없이 빠르게 하다 보니 빠트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지만

밀도가 낮은 다큐멘타리 구성과, 느린 자막(?)으로 도배되고

나레이션으로(무음으로 봐서..) 도배되서 더 늘어난 재생시간이 아쉽다.


2. 초반에 외력을 의심하지만, 언론이나 리뷰어(?)들은 잠수함을 연관했으나

어떠한 외력에 의한 이론상 가능한 선회율을 상회하는 궤적만 남았다는 것이 핵심인데

그걸 잘못한 해석한 사람들의 평이 아쉽..


3. 7시간 시점에서 나오는 박근혜 7시간 의혹은 노린 편집이나.. 내용이 없어서 아쉽


4. 무기력하게 끝날수 있는 "실제로 아직 밝혀진건 하나도 없다" 라는 메시지

물론 개인의 입장에서 확신이 없는 자료로 추측성 발언을 할 수는 없기에 이해는 되지만

화두조차도 읽히기 힘들게 던져진 상황이라 아쉽..



개인적인 의문

외력에 대한 걸 하도 강조해서 고민을 해보았지만

외부의 충격 그리고 그 이후에 문제가 발생했고

내용들 중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곳에서 칠수록 선회력이 커질수 있다는

보이지 않는 면에서 어떠한 물체가 쳤거나 끌었다는 이야기 인데, 

6천톤급 이라는데 짐 실린것만 2천톤 막 이런녀석이라..

세월호 진행방향 기준 왼쪽 전면에서 무언가가 쳐박았거나(무게중심에서 멀어 질수록 영향력이 커지니)

왼쪽 후면에서 무언가가 견인을 해서 끌어 버렸거나 일텐데..

쳐박기에는 둘다 무사하지 못할 테고(고래라는 설도 있지만.. 세월호 파손이 없기에)

끌고 가기에는 그 질량을 순식간에 엄청난 힘이 걸릴 텐데 그만한 힘을 버텨줄 끈도 없을테고

잠수함으로 보기에는 함교탑의 크기가 너무 과도하게 큰게 아닌가 싶고..

(얼핏봐서는 1/5 정도는 되는데 함교탑이 그만하려면 도대체 잠수함이 얼마나 커질까 싶고

그렇게 큰 함교탑이 존재할까 싶으면서도 그렇게 무거운 두녀석을 버텨줄 끈의 존재가 가능할까 싶은 수준?)

그리고.. 도대체 저 레이더 영상은(미스테리 물건?) 어느쪽에서 찍은걸까

레이더-세월호-미스테리 일직선이라면 전파 특성상 세월호에 가려진 영상을 찍기 힘들텐데 도대체 무얼까

혹시.. 다른곳에서 반사된 잘못된 전파가 흔적으로 남은건 아닐까?


아무튼 그래서 결론은 알려진게 밝혀진게 너무도 없다는 사실에 대공감...



+ 개인적인 생각

오히려 세월호를 뒤집을 만큼 큰 너울성 파도라던가(얘가 레이더 잡히는진 모르겠지만) 이런게 현실이 있어 보이지

이번 다큐를 보고 나니.. 잠수함 설은 더더욱 불가능해 보이는 기분


+

레이더 영상이나 GPS 좌표에 의한 오차 범위를 고려해본다면, 마지막 급격한 선회역시도 최대 오차 범위로 본다면

오히려 완화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링크 : http://newstapa.org/12806] << 레이더 영상 (02:00)


+

진도 VTS 레이더 영상이 공개된거라고 하니

저 미스테리 영상 자체는 세월호의 위치와 관계없이 찍혀질순 있겠네(세월호 기준 북서쪽에 레이더가 있는 줄..)


뉴스타파 동영상 캡쳐인데

세월호가 제주도를 향할때는 정 측면에서 레이더를 조사 받기에, 가장 크게 나올테고

충돌 이후에는 레이더를 보고 있기에 반사면적이 좁아져서 작게 나오게 된다.

레이더 특성상 반사면적에 따라 크게 보이기도 작게 보이기도 하는데

세월호 측면의 1/10 정도 되어 보이는 크기의 반사면적을 가지려면 얼마정도 크기면 되려나..



+

2016.12.27 추가

생각을 해본.. 초당 몇도 이상 선회를 했다고 해서 문제라고 하는데..

다르게 보면 설계상 최대 선회 각도가 있을 꺼고

설계를 넘어선... 자동차로 치면 오버스티어 발생시 최대 선회 각도는 다를테니

배가 선회를 하는 개념과 미끌리면서 돌아 버리는 경우를 다르게 판단해야 하지 않을까?

Posted by 구차니
embeded/odroid2016. 12. 25. 20:17

cpu 점유율 무지 낮네?

이정도면.. 화면에 출력 안하면  640x480 으로 두개 동시에 처리하는거 무리 없을지도?



'embeded > o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roid u3 mame psp  (0) 2018.02.20
odroid U2/U3 USB 전원 사용하도록 개조 + 케이스  (0) 2018.01.16
odroid u3 전원소비 (경우별)  (0) 2016.12.15
odroid vlc 웹캠 cpu 점유율  (0) 2016.11.26
odroid u3 16.04 vlc / webcam  (0) 2016.11.2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6. 12. 23. 17:52

음.. 이게 일본식 용어였고

OLED로 바뀐거구나..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OLED]



2000년대 초반 한국과 일본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용어를 놓고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와 유기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로 다퉜다. 그러다 2003년 말 국제표준회의에서 OLED가 국제표준 용어로 확정됐고, 2004년 당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국내 표기 표준을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라고 못박았다.


[링크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29/2013042901952.html]



그러고 보니 저 민트색 빛이 그립네? ㅋㅋ

[링크 : http://www.displaybly.com/led-backlight-news/el-backlight-vs-led-backlight/]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극 이어폰 리모컨 원리  (0) 2017.03.06
오홍.. 부품등급에 자동차도 있었어?  (2) 2017.02.22
MPU-6050 / ADXL345  (2) 2016.03.25
HBM - High Bandwidth Memory  (0) 2015.06.17
HBA - Host Bus Adaptor  (0) 2015.03.19
Posted by 구차니
Linux API/linux2016. 12. 22. 14:41
shm으로 시작하는걸 찾으니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shm_open같은 shm_으로 시작하는 애들은 정체가...

POSIX 관련인가.. shm은 리눅스 쪽?

$ man -k shm

shm_open (3)         - Create/open or unlink POSIX shared memory objects

shm_overview (7)     - Overview of POSIX shared memory

shm_unlink (3)       - Create/open or unlink POSIX shared memory objects

shmat (2)            - shared memory operations

shmctl (2)           - shared memory control

shmdt (2)            - shared memory operations

shmget (2)           - allocates a shared memory segment

shmop (2)            - shared memory operations 


#include <sys/ipc.h>

#include <sys/shm.h>


int shmget(key_t key, size_t size, int shmflg);

shmflg = IPC_CREAT | IPC_EXCL;


void *shmat(int shmid, const void *shmaddr, int shmflg);

int shmdt(const void *shmaddr);


int shmctl(int shmid, int cmd, struct shmid_ds *buf);


#include <sys/types.h>

#include <sys/shm.h>


void *shmat(int shmid, const void *shmaddr, int shmflg);

int shmdt(const void *shmaddr);


다시 보니.. shm은 SystemV 계열

shm_ 은 POSIX 계열 인듯?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4582968/system-v-ipc-vs-posix-ipc]

'Linux API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버튼 IRQ 발생 관련  (0) 2018.04.23
linux kernel governor 관련 코드  (0) 2018.04.17
linux ipc  (0) 2016.12.20
pthread detach while  (0) 2016.12.20
fd <-> fp 변환  (0) 2016.10.07
Posted by 구차니
Linux API/linux2016. 12. 20. 21:10

머라도 하나씩 직접해보자 ㅜㅜ


[링크 : http://www.joinc.co.kr/w/Site/system_programing/Book_LSP/ch08_IPC]

'Linux API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kernel governor 관련 코드  (0) 2018.04.17
linux shared memory 관련  (0) 2016.12.22
pthread detach while  (0) 2016.12.20
fd <-> fp 변환  (0) 2016.10.07
shared memory - linux/IPC  (0) 2016.06.28
Posted by 구차니
Linux API/linux2016. 12. 20. 20:58

쓰레드 보다보니

공부는 해냐하는데 끄응 ㅜㅜ


암튼 쓰레드를 분리하면 자식 스레드가 종료시 자원을 반납하지만

분리할 쓰레드가 무한루프 돌면

메모리 누수로 이어지는 듯


프로세스는 종료되었고 그럼 프로세스로서 cpu를 할당받진 않을테나

해당 쓰레드가 공유하던 메모리만 붕 떠버리려나?


[링크 : http://www.joinc.co.kr/w/Site/system_programing/Book_LSP/ch07_Thread]

[링크 : http://stackoverflow.com/.../how-can-i-kill-a-pthread-that-is-in-an-infinite-loop-from-outside-that-loop]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5655706/how-to-terminate-or-stop-a-detached-thread-in-c]

'Linux API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hared memory 관련  (0) 2016.12.22
linux ipc  (0) 2016.12.20
fd <-> fp 변환  (0) 2016.10.07
shared memory - linux/IPC  (0) 2016.06.28
메시지 큐 - ipc  (0) 2016.06.28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4 Ti2016. 12. 20. 10:49

my Ti 계정 있어야 함

진즉에 검색해볼걸 그랬나...


SW-DK-TM4C123G-2.1.3.156.exeDK-TM4C123GL Kit Software60168K

[링크 : http://software-dl.ti.com/tiva-c/SW-TM4C/latest/index_FDS.html]



소스 기본 골격 자체는 lm3s1968이랑 차이가 없네

    //
    // Check to see if Hibernation module is already active, which could mean
    // that the processor is waking from a hibernation.
    //
    if(HibernateIsActive())
    {
        //
        // Read the status bits to see what caused the wake.
        //
        ui32Status = HibernateIntStatus(0);
        HibernateIntClear(ui32Status);

        //
        // If the wake is due to button or RTC, then read the first location
        // from the battery backed memory, as the hibernation count.
        //
        if(ui32Status & (HIBERNATE_INT_PIN_WAKE | HIBERNATE_INT_RTC_MATCH_0))
        {
            HibernateDataGet(&ui32HibernateCount, 1);
        }
    }

    //
    // Enable the Hibernation module.  This should always be called, even if
    // the module was already enabled, because this function also initializes
    // some timing parameters.
    //
    HibernateEnableExpClk(ROM_SysCtlClockGet());

    //
    // If the wake was not due to button or RTC match, then it was a reset.
    //
    if(!(ui32Status & (HIBERNATE_INT_PIN_WAKE | HIBERNATE_INT_RTC_MATCH_0)))
    {
        //
        // Configure the module clock source.
        //
        HibernateClockConfig(HIBERNATE_OSC_LOWDRIVE);

        //
        // Wait a couple of seconds in case we need to break in with the
        // debugger.
        //
        SysTickWait(3 * 100);

        //
        // Allow time for the crystal to power up.  This line is separated from
        // the above to make it clear this is still needed, even if the above
        // delay is removed.
        //
        SysTickWait(15);
    }

    //
    // Clear and enable the RTC and set the match registers to 5 seconds in the
    // future. Set both to same, though they could be set differently, the
    // first to match will cause a wake.
    //
    HibernateRTCSet(0);
    HibernateRTCEnable();
    HibernateRTCMatchSet(0, 5);

    //
    // Set wake condition on pin or RTC match.  Board will wake when 5 seconds
    // elapses, or when the button is pressed.
    //
    HibernateWakeSet(HIBERNATE_WAKE_PIN | HIBERNATE_WAKE_RTC);

    //
    // Request hibernation.
    //
    HibernateRequest();


'embeded > Cortex-M4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4c hibernate module 초기화 무한루프  (2) 2017.01.10
tivaware swd debug / semihosting  (0) 2017.01.10
tm4c rtc trim...  (0) 2016.11.23
tm4c rtc 빨라...  (0) 2016.11.02
tm4c hibernate module 초기화 관련..  (0) 2016.11.01
Posted by 구차니

시위할때 계란 던지지 말라고 그런걸지도?

비싼데 어떻게 던지겠어 훗?

이런 심정이 반영된 결과?


[링크 : http://v.media.daum.net/v/20161219152203036]




+

개인적인 추측이지만..

이러다가 내년이면 우리나라 에서 닭이 멸종할지도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C Win32 MFC2016. 12. 19. 09:18

심심해서 만든 로또 프로그램에 정렬기능 추가

qsort()는 첨 써보네..

일단 compare 함수에서 캐스팅 하는 부분을 잘 해주면...

범용으로 쓸수 있을려나? 무리일려나?


int compare (const void *first, const void *second)

{

    if (*(unsigned char*)first > *(unsigned char*)second)

        return 1;

    else if (*(unsigned char*)first < *(unsigned char*)second)

        return -1;

    else 

        return 0;

}


void CLottoDlg::OnButton1() 

{

// TODO: Add your control notification handler code here

int idx;

unsigned char flag[45];

unsigned char genval = 0;

CString *strarray[42] =

{

&m_edit1,&m_edit2,&m_edit3,&m_edit4,&m_edit5,&m_edit6,

&m_edit7,&m_edit8,&m_edit9,&m_edit10,&m_edit11,&m_edit12,

&m_edit13,&m_edit14,&m_edit15,&m_edit16,&m_edit17,&m_edit18,

&m_edit19,&m_edit20,&m_edit21,&m_edit22,&m_edit23,&m_edit24,

&m_edit25,&m_edit26,&m_edit27,&m_edit28,&m_edit29,&m_edit30,

&m_edit31,&m_edit32,&m_edit33,&m_edit34,&m_edit35,&m_edit36,

&m_edit37,&m_edit38,&m_edit39,&m_edit40,&m_edit41,&m_edit42

};


unsigned char row[42];

memset(flag, 0x00, sizeof(unsigned char) * 45);

srand(time(NULL));


for(idx = 0 ;idx < 30;idx++)

{

do

{

genval = rand() % 45;

}

while(flag[genval] != 0);

flag[genval] = 1;

row[idx] = genval;

}


for(idx = 0; idx < 5; idx++)

{

qsort(row + (idx * 6), 6, sizeof(char), compare);

}


for(idx = 0; idx < 30; idx++)

{

strarray[idx]->Format("%d",row[idx] + 1);

}


UpdateData(FALSE);


lotto.zip


'Programming > C Win32 MF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C HTTP GET/POST  (0) 2017.03.02
win32 http 인증 관련  (0) 2017.02.28
MFC UpdateData()  (0) 2016.12.16
윈도우에서 dll 동적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0) 2016.04.04
가변 매크로 __VA_ARGS__  (0) 2016.03.1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