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에 해당되는 글 321건

  1. 2017.07.04 배터리 방전율 관련
  2. 2017.06.14 GPS DOP
  3. 2017.06.12 3D영상 종류 sbs tab 2
  4. 2017.05.24 LVCMOS, LVTTL
  5. 2017.04.27 DDR3 ZQ calibration
  6. 2017.04.19 영상처리 관련 링크 기술
  7. 2017.04.14 MMI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8. 2017.04.14 논리회로 게이트
  9. 2017.04.03 EF 마운트 별 플랜지 차이(?)
  10. 2017.03.06 CMT SMT?

방전율은 자기가 가진 양의 몇배를 뽑아낼수 있냐 인데

간단하게 말해서 nC가 nA는 아니라는 의미


즉 3000mA 짜리 배터리가 1C 면 3A를 뽑아내서 1시간 가지만

200mA짜리 배터리가 10C 면 2A를 뽑아내고 1/10시간=6분 간다는 의미


[링크 : http://www.jajakrc.com/B07/29] 배터리 관리

[링크 : https://www.anadronestarting.com/drone-battery/]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릴레이 종류 ac dc  (0) 2017.08.11
얼터네이터 / 제너레이터  (0) 2017.07.12
LVCMOS, LVTTL  (0) 2017.05.24
논리회로 게이트  (0) 2017.04.14
크리스탈 정밀도 - PPM  (0) 2016.11.23
Posted by 구차니

GPS에 DOP라는 용어가 나오길래 무슨 용도의 용어인가 찾아보니...


DOP ValueRatingDescription
< 1IdealHighest possible confidence level to be used for applications demanding the highest possible precision at all times.
1-2ExcellentAt this confidence level, positional measurements are considered accurate enough to meet all but the most sensitive applications.
2-5GoodRepresents a level that marks the minimum appropriate for making business decisions. Positional measurements could be used to make reliable in-route navigation suggestions to the user.
5-10ModeratePositional measurements could be used for calculations, but the fix quality could still be improved. A more open view of the sky is recommended.
10-20FairRepresents a low confidence level. Positional measurements should be discarded or used only to indicate a very rough estimate of the current location.
>20PoorAt this level, measurements are inaccurate by as much as 300 meters with a 6-meter accurate device (50 DOP × 6 meters) and should be discarded.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Dilution_of_precision_(navigation)]


정밀도의 희석? 읭?!?!

[링크 :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d66d0304edab416ca0858c1e19ca4494]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 대수(bool algebra)  (0) 2017.12.20
a-gps  (0) 2017.09.01
DDR3 ZQ calibration  (0) 2017.04.27
MMI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0) 2017.04.14
CMT SMT?  (0) 2017.03.06
Posted by 구차니

VR 어플에 SBS라고 있어서 먼가 찾아 봤더니

화면 분할 방식에 대한 용어였군


SBS - side by side

TAB - top and bottom

'이론 관련 > 3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ucture from Motion  (0) 2024.12.16
BSDF, BRDF, BTDF  (0) 2024.08.29
path tracing - rendering  (0) 2016.12.14
visual 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0) 2016.03.10
극좌표계, 구면좌표계...  (0) 2015.07.2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7. 5. 24. 10:33

Low Voltage CMOS/TTL


3.3V면 CMOS 레벨일줄 알았는데

LVTTL 이라고 해서 3.3v TTL 계열도 있네..


[링크 : http://www.ddpp.com/DDPP3_mkt/c03samp2.pdf]



LVCMOS power supply voltage and interface standards for decreasing voltages have been defined by the 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 (JEDEC) for 3.3, 3.0, 2.5, 1.5, 1.2 and 1.0 volt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LVCMOS]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터네이터 / 제너레이터  (0) 2017.07.12
배터리 방전율 관련  (0) 2017.07.04
논리회로 게이트  (0) 2017.04.14
크리스탈 정밀도 - PPM  (0) 2016.11.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 리드 스위치  (0) 2016.11.23
Posted by 구차니

on-die termination (ODT)

DQ (Data Strobe)


DDR3가 되면서 클럭이 올라가고

그러면서 임피던스 매칭이 더 중요하다는데..

ZQ는 도대체 머야 -ㅁ-???!


[링크 : http://www.easytv.co.kr/114] ZQ caliration

[링크 : http://www.easytv.co.kr/115] Dynamic ODT

[링크 : http://www.easytv.co.kr/120] RESET, 8bit prefetch


[링크 : http://www.nxp.com/files-static/training_pdf/VFTF09_AN111.pdf]

[링크 : https://www.micron.com/~/media/documents/products/technical-note/dram/tn4102.pdf]


[링크 : https://www.micron.com/~/media/documents/products/technical-note/dram/tn4605.pdf]

[링크 : http://cs.ecs.baylor.edu/~maurer/CSI5338/JEDEC79R2.pdf]



odroid c2의 DDR3 쪽 보는데 ZQ는 보이는데 설명이 많이 부실하네...

[링크 : https://dn.odroid.com/S905/DataSheet/S905_Public_Datasheet_V1.1.4.pdf]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ps  (0) 2017.09.01
GPS DOP  (0) 2017.06.14
MMI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0) 2017.04.14
CMT SMT?  (0) 2017.03.06
db shading  (0) 2016.05.08
Posted by 구차니

예전에 보고 우와! 했던 것들

지금은 당연한거라던가.. 멀 저정도로? 가 될려나?


PatchMatch : A Randomized Correspondence Algorithm for Structural Image Editing

건물 무너진거 자동 복원해주거나 건물 모양 마음대로 변형가능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vVKaKw0F7hA]


blur 복구

[링크 : http://prodesigntools.com/photoshop-sneak-peek-image-deblurring-adobe-max.html]


'이론 관련 > 2D 그래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tinex 알고리즘  (0) 2022.01.20
jpeg 헤더  (0) 2020.12.01
HDRi / HDRI (High dynamic range imaging)  (0) 2011.04.29
BDF - Bitmap Distribution Format  (0) 2011.04.28
pbm pgm - Netpbm format  (2) 2010.06.09
Posted by 구차니

나 같은 프로그래머야 손쉽게

특정 메모리 번지에 값을 쓰면 하드웨어가 제어되는데

이게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가 궁금해서 찾다가 든 생각


어짜피 CPU 내부 레지스터는 플립플롭이고 값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 + 전기가 공급되는 이상

회로에 입력으로 쓰일수 있는 값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니

레지스터는 하드웨어 플립플롭이고

cpu의 메모리 디코더를 통해 해당 플립플롭으로 값을 쓸수 있도록

메모리 번지와 하드웨어 어드레스 매칭을 통해 cpu에서 저장할 공간을 해당 플립플롭을 연결해주면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연결이 끝! 일려나?


다만 DRAM의 경우 읽으면 다시 리프레시 하거나 해줘야 하니

이런식으로 쓰긴 힘들거 같고.. 그래픽 카드 값은 넓은 범위의 메모리를 쓰는 녀석들은

DMA 등을 통해 자기 자신의 메모리가 건드려지게 되면 내부적으로 트리거 되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려나?



결론은.. 현 구조의 CPU 에서는 레지스터는 필수불가결한 존재?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Processor_register]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DOP  (0) 2017.06.14
DDR3 ZQ calibration  (0) 2017.04.27
CMT SMT?  (0) 2017.03.06
db shading  (0) 2016.05.08
h.264 헤더  (0) 2016.02.02
Posted by 구차니
이론 관련/전기 전자2017. 4. 14. 09:41

AND OR NOT

NAND NOR XOR


기호에 동그라미는 NOT 입력이나 NOT 출력


[링크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nav=2&id=735]



AND / OR / NOT 게이트 회로

AND/OR는 다이오드와 저항만 있으면되고

NOT은 TR이 있어야 하는 군...


[링크 : http://jht0620.tistory.com/37]



각종 회로기호 모음

[링크 :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550845]


버퍼(NOT에 동그라미 뺸거)

[링크 : http://bunrint10103.tistory.com/entry/BUFFER-게이트]


버퍼 사용 이유 - 팬아웃(fan out)

[링크 : http://blog.daum.net/trts1004/12108898]


FET 기호 - 꼭 스위치 같네...

ATmega128 / GPIO 회로에서 좌상단


'이론 관련 >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 방전율 관련  (0) 2017.07.04
LVCMOS, LVTTL  (0) 2017.05.24
크리스탈 정밀도 - PPM  (0) 2016.11.23
자전거 속도계 센서 - 리드 스위치  (0) 2016.11.23
27MHz에 1Mohm 저항을 왜 달까?  (2) 2016.10.26
Posted by 구차니

EF / EF-S는 플랜지 는 같고

EF-M은 짧다?


Canon's EF-M has an 18mm flange focal distance, compared to 44mm for the EF and EF-S systems. 

[링크 : http://photo.stackexchange.com/questions/27254/whats-the-difference-between-canon-ef-s-and-ef-m]



+

The flange focal distance is 17.526 millimetres (0.6900 in) for a C mount.

CS-mount has a flange focal distance of 12.50 millimetres (0.492 in)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_mount]


Its large diameter and relatively short flange focal distance of 44.0 mm allows mechanical adaptation of EF camera bodies to many types of non-EF lenses.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Canon_EF_lens_mount]


M42 lens mount Flange 45.5 mm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42_lens_mount]


마운트 종류 엄청 많네 -_-?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Lens_mount#List_of_lens_mounts]

'이론 관련 > 사진 광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영상 이미지 - 컬러  (0) 2017.08.24
ir corrected lens ld low dispersion  (0) 2017.07.04
이미지 센서 - ccd cmos 비교  (0) 2016.09.22
크롭바디 EF / EF-S 렌즈 화각 테스트  (0) 2016.08.29
back focus  (0) 2016.07.22
Posted by 구차니

AMD에서 CMT를 밀었다 말아 먹고 SMT 구조로 온건가..

Cluster based Multi threading - CMT

[링크 : https://scalibq.wordpress.com/2012/02/14/the-myth-of-cmt-cluster-based-multithreading/]


Simultaneous multithreading - SMT/HT(Hyper Threading) 하드웨어 레벨의 멀티쓰레딩(슈퍼스칼라 cpu가 필수조건)


Chip-level multiprocessing - CMP 혹은.. SMP 일려나(Symmetric Multi Processing?)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Simultaneous_multithreading]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동시_멀티스레딩]



---

가장 위의 링크를 요약하면..

AMD는 CMT 구조로 가기 위해서 트랜지스터 조낸 때려박았으나 CMT를 비활성화 하면

비활성화된 코어 갯수 만큼 ALU도 같이 비활성화 되지만


Intel의 SMT 구조는 SMT를 비활성화 하면 한쪽 코어에 ALU를 몰빵해주어서 더 성능이 오르는 구조

머.. 이런 의미인듯.



SMT는 불도저 에서 부터 마켓팅 용어로 꺼낸걸려나?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Bulldozer_(microarchitecture)]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R3 ZQ calibration  (0) 2017.04.27
MMI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0) 2017.04.14
db shading  (0) 2016.05.08
h.264 헤더  (0) 2016.02.02
RAID6  (2) 2016.01.2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