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분석은 코드 레벨에서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고

동적분석은 실행 렙레에서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다.


굳이 비유하면..

Syntax high-light 가 일종의 정적분석 툴이 될 수도 있는 거고(물론 더 세밀한 룰을 통해 버퍼 깨지는 문제등 까지 찾아 주지만)

junit과 같은 녀석을은 동적분석 툴이 될 수 있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tatic_program_analysi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ynamic_program_analysis]



대개는 상용툴로 나온녀석이라 가격도 후덜덜하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tools_for_static_code_analysis]

[링크 : http://www.stroustrup.com/JSF-AV-rules.pdf]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QA-C]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SRA_C]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15. 2. 15. 21:30

일단.. 첫 소감은 드럽게 느리다. -_ㅠ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phpmyadmin 에서 올리려고 하니

계속 연결이 재설정되었다면서 끊어지고..(일단 zip으로 압축된 데이터 데이스는 52MB 압축 이전은 281MB)


일단은.. sql.zip은 인식 못해서 sql.gzip으로 편법을 쓰고(어짜피 둘다 같은 포맷이잖아?)

올리는데 고작 52MB에 왜이렇게 오래걸려 -_ㅠ

한 10분 넘게 걸렸는데 아래정도 밖에 못 올라간듯 ..


크아아아앙



Posted by 구차니



sdcard\.android_secure

*.asec


쿠키런을 sd 메모리로 저장하니 

apk가 아닌 asec으로 저장되는데

확장자를 zip으로 바꾸어도 압축 프로그램에서 인식을 못해 검색해보니

마운트 해서 사용하는 dm-crypt 방식의 파일이라고 한다.


[링크 : http://android.stackexchange.com/questions/73304/how-do-i-convert-asec-files-to-apk]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m-crypt]


음.. AES 어쩌구 나오는거 봐서는..

다른 장비의 asec 파일은 연결못할거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드네 -_-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EncryptedFilesystemHowto]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13. 16:55

특정한 파일의 포함된 패키지를 검색하는 유틸 ㄷㄷ


sudo apt-file update

sudo apt-file find sql.h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5447386/sql-h-header-file-missing-though-unixodbc-is-installed]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13. 08:24

ubuntu 10.04 LTS 32bit Desktop edition 에서

6GB 설치된 시스템에 설치하니


$ uname -a

Linux interm-dev 2.6.32-72-generic-pae #139-Ubuntu SMP Wed Jan 14 21:35:19 UTC 2015 i686 GNU/Linux


$ free -g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5          1          4          0          0          0
-/+ buffers/cache:          0          5
Swap:            8          0          8

이렇게 pae로 자동으로 인식되서 메모리를 다 사용가능하게 된다 ㄷㄷㄷ
예전에 내글을 보니.. 네트워크 설치시에만 pae가 된다고 되어 있는데
그건 또 어디서 찾은거지 -_-


[링크 : http://www.cyberciti.biz/faq/linux-how-to-find-if-processor-is-64-bit-or-not/] 32bit / 64bit 판별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PAE] forcepae

[링크 : http://egloos.zum.com/calmglow/v/4571486] 우분투의 경우 3GB 이상이면 자동으로 pae 커널로 설치


2011/05/08 - [Linux/Ubuntu] - PAE - Physical Address Extension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ing / gconf / putty 실행불가  (2) 2015.02.24
apt-file  (0) 2015.02.13
우분투 cpu 클럭 조절 설정 변경하기  (0) 2015.02.12
intel 내장형 SATA RAID 컨트롤러 /dev/mapping  (0) 2015.02.11
ld.so ?  (0) 2015.02.11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12. 17:50

부팅시에 계속 ondemand로 설정되서 먼가 하고 찾아 봤는데

/etc/init.d/ondemand

라고 파일이 똭 -_-


$ cat /etc/init.d/ondemand

#! /bin/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ondemand

# Required-Start:    $remote_fs $all

# Required-Stop: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 Short-Description: Set the CPU Frequency Scaling governor to "ondemand"

### END INIT INFO



PATH=/sbin:/usr/sbin:/bin:/usr/bin


. /lib/init/vars.sh

. /lib/lsb/init-functions


case "$1" in

    start)

        start-stop-daemon --start --background --exec /etc/init.d/ondemand -- background

        ;;

    background)

        sleep 60 # probably enough time for desktop login


        for CPUFREQ in /sys/devices/system/cpu/cpu*/cpufreq/scaling_governor

        do

                [ -f $CPUFREQ ] || continue

                echo -n ondemand > $CPUFREQ

        done

        ;;

    restart|reload|force-reload)

        echo "Error: argument '$1' not supported" >&2

        exit 3

        ;;

    stop)

        ;;

    *)

        echo "Usage: $0 start|stop" >&2

        exit 3

        ;;

esac 


$ ls -al /sys/devices/system/cpu/cpu*/cpufreq/

/sys/devices/system/cpu/cpu0/cpufreq/:

합계 0

drwxr-xr-x 4 root root    0 2015-02-12 17:34 .

drwxr-xr-x 7 root root    0 2015-02-12 17:32 ..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affected_cpus

-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cpuinfo_cur_freq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33 cpuinfo_max_freq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cpuinfo_min_freq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cpuinfo_transition_latency

drwxr-xr-x 2 root root    0 2015-02-12 17:43 ondemand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related_cpus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33 scaling_available_frequencies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scaling_available_governors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34 scaling_cur_freq

-r--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scaling_driver

-rw-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34 scaling_governor

-rw-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33 scaling_max_freq

-rw-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scaling_min_freq

-rw-r--r-- 1 root root 4096 2015-02-12 17:43 scaling_setspeed

drwxr-xr-x 2 root root    0 2015-02-12 17:43 stats 


$ cat /sys/devices/system/cpu/cpu*/cpufreq/scaling_available_governors

conservative ondemand userspace powersave performance 


음.. 깔끔(?) 하게 ondemand파일에서 거버너를 ondemand에서 performance로 해주면 해결?

근데 아무래도 ondemand니까 이름도 바꿔주는게 좋을듯 하다.


[링크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860926]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file  (0) 2015.02.13
ubuntu 10.04 32bit / PAE  (0) 2015.02.13
intel 내장형 SATA RAID 컨트롤러 /dev/mapping  (0) 2015.02.11
ld.so ?  (0) 2015.02.11
bash: ./arm-linux-gcc: No such file or directory  (0) 2015.01.12
Posted by 구차니
Linux2015. 2. 12. 16:11

testdisk



[링크 : http://blog.syszone.co.kr/2687]

    [링크 : http://www.cyberciti.biz/tips/understanding-unixlinux-filesystem-superblock.html]

    [링크 : https://ext4.wiki.kernel.org/index.php/Ext4_Disk_Layout]

[링크: http://www.cgsecurity.org/wiki/TestDisk]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1분만에 커널 빌드하기  (0) 2015.04.06
리눅스 무선랜 유틸리티 - iwlist iwconfig  (0) 2015.03.03
LD_SHOW_AUXV  (0) 2015.02.10
cpu 활성화 기능 확인하기  (0) 2015.02.06
ntp monlist  (0) 2015.01.22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5. 2. 12. 15:00

-lz는 libz.so를 쓰라는거고

-z는 실수로 친건데

이상한 ld 파일을 끌어와서 하길래 멘붕와서 찾아봐도

이렇다할 설명이 없다.


아무튼.. -z text 라고 되어있고 이게 링커에게 옵션으로 던져주는것 같은데

-lz 대신 -z로 입력해서 그 뒤의 값이 링커에게 넘어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mimpure-text
-mimpure-text, used in addition to -shared, tells the compiler to not pass -z text to the linker when linking a shared object. Using this option, you can link position-dependent code into a shared object.

[링크 : http://linux.die.net/man/1/gcc]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MC / UFS / PCM(PRAM)  (0) 2015.02.20
arm linux patch  (0) 2015.02.20
i.MX515 EVK 보드 CPU 활성화 내용  (0) 2015.02.10
zedboard / cortex-A9 / Xilinx Zynq-7000 neon & vfpv3  (0) 2015.02.10
uboot.bin 아키텍쳐별 바이너리 차이점  (0) 2015.02.09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11. 22:17

BIOS에서 SATA를 AHCI 대신 RAID로 하면

Ctrl-I 눌러서 설정에 들어가는데

하드가 두개 뿐이라 RAID-1(mirroring)으로 해주고 우분투를 켜니

/dev/sda

/dev/sdb

뿐만 아니라

/dev/mapper/isw_* 식으로 생성이 된다.

아무튼.. 미묘하게 이상하게 인식되서 나중에 다시..




Beginning with Linux kernel version 2.6.18*, the dmraid* utility 1.0.0-rc15 supports RAID 0, RAID 1, and RAID 10.

Beginning with Linux kernel version 2.6.27*, the mdadm* utility 3.0 supports RAID 0, RAID 1, RAID 10, and RAID 5.

The kernel provides the RAID level support. The utilities support the Intel® Matrix Storage Manager metadata format.

To use the RAID features in dmraid and mdadm, set up the RAID volume using the Intel® Matrix Storage Manager option ROM. To enter the option ROM user interface, click CTRL + I when prompted during boot.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chipsets/imsm/sb/cs-020663.htm]


my RAID device is listed as /dev/dm-0 (and linked from /dev/mapper/isw_[raid set]_[array's name from BIOS]

[링크 : http://askubuntu.com/questions/87979/configure-mdadm-for-existing-intel-rapid-storage-array]


+

암튼.. intel의 굴욕이라고 해야하나?

BIOS에서 사용하는 RAID는 FakeRAID라고 하고

리눅스에서 커널로 하는건 SoftRAID 라고 한다. 머지 ㅋㅋㅋ


---


[링크 : http://hwangji.kr/sub/dev_leader/link/os/default.aspx?NHBBSID=NHBoardWebTip&NHBBSIDX=33]

[링크 : http://linux.keizie.net/raid]

[링크 : http://en.community.dell.com/.../wiki/4906.installing-ubuntu-server-with-intel-matrix-raid-arrays]

[링크 : https://help.ubuntu.com/community/FakeRaidHowto]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32bit / PAE  (0) 2015.02.13
우분투 cpu 클럭 조절 설정 변경하기  (0) 2015.02.12
ld.so ?  (0) 2015.02.11
bash: ./arm-linux-gcc: No such file or directory  (0) 2015.01.12
ssh 로그인시 apt-check 프로세스 cpu 점유  (0) 2014.12.24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11. 15:34

ld.so 는 dynamic linker / loader로

/lib/*.so 나 /usr/lib/*.so 등의 shared object를 끌어오는 역활을 하는 녀석인데

ld.so 라고 해서 검색하니 안나온다 ㅋㅋ


암튼 ubuntu 14.04 LTS 32bit desktop edition에서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이 나온다.


lrwxrwxrwx 1 root root     25 Dec  4 11:39 /lib/ld-linux.so.2 -> i386-linux-gnu/ld-2.19.so*

-rwxr-xr-x 1 root root 134380 Dec  4 11:39 /lib/i386-linux-gnu/ld-2.19.so*

lrwxrwxrwx 1 root root     10 Dec  4 11:39 /lib/i386-linux-gnu/ld-linux.so.2 -> ld-2.19.so*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