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에서 깨서 아깝다라는 생각보다

왜.. 폭락 전의 잠시 올려주는 타이밍이라고 생각이 될까?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5. 21:01

와라와라와라!!!



근데 생각해보니까..

나 microSD 리더랑

microSD가 없다? -_ㅠ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4. 22:47

품절에 대처하는 구차니의 자세.. -_-a



[링크 : http://eleparts.co.kr/EPXDVFC8]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qt2015. 2. 24. 18:04

qt에서 qml을 통해 다국어를 지원하는 방법


ts 파일은 qml에서 스캔해서 메시지 파일을 생성하고

qtcreator를 통해

ts를 qm 파일로 컴파일 한다.





웬지.. poedit에서 po를 mo로 바꾸는 기분이야...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manager.html]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translators.html]

[링크 : http://qt-project.org/doc/qt-4.8/linguist-hellotr.html]

'Programming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5 fb reset  (0) 2021.02.23
qt framebuffer에 출력하기  (0) 2021.02.09
qt 5.3 cross compile 조사  (0) 2015.01.21
qt 4.x/5.x INSTALL_PATH  (0) 2015.01.20
qt font path  (0) 2015.01.20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5. 2. 24. 16:57

머가 문제인지 알수가 없네...

xming으로 putty를 통해

gnome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려니 에러가 나서 안된다 ㅠㅠ



(nautilus:3124): Eel-WARNING **: GConf 오류:

  설정 서버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원인은 ORBit에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시스템의 이상 종료로 인해 NFS 잠금이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projects.gnome.org/gconf/>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정보 -  1: 세션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Failed to connect to socket /tmp/dbus-9b0J564h9R: 연결이 거부됨)

GConf 경고: `/apps/nautilus/preferences' 내의 쌍들을 열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설정 서버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원인은 ORBit에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시스템의 이상 종료로 인해 NFS 잠금이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projects.gnome.org/gconf/>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정보 -  1: 세션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Failed to connect to socket /tmp/dbus-U3KtDrbQrE: 연결이 거부됨)GConf 경고: `/desktop/gnome/file_views' 내의 쌍들을 열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설정 서버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원인은 ORBit에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시스템의 이상 종료로 인해 NFS 잠금이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projects.gnome.org/gconf/>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정보 -  1: 세션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Failed to connect to socket /tmp/dbus-93Oxw7SK4H: 연결이 거부됨)GConf 경고: `/desktop/gnome/background' 내의 쌍들을 열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설정 서버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원인은 ORBit에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시스템의 이상 종료로 인해 NFS 잠금이 동작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projects.gnome.org/gconf/>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정보 -  1: 세션에 연결하는데 실패했습니다: Failed to connect to socket /tmp/dbus-FY6UXzfTlV: 연결이 거부됨)


+

어떤 분의 리플로 다시 보니

socket 파일이 /tmp 아래에 있고 퍼미션 거부인것 같은데..

tmp 아래에 접근 권한이 없거나 그룹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2.04 LTS G1610 CPU 지원 종료  (0) 2015.04.10
sudo: unable to resolve host  (0) 2015.03.26
apt-file  (0) 2015.02.13
ubuntu 10.04 32bit / PAE  (0) 2015.02.13
우분투 cpu 클럭 조절 설정 변경하기  (0) 2015.02.12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5. 2. 24. 09:04

크레마 터치

모토로라 모토 G

델 스트릭


모토로라 니네는 자회사인 freescale 칩 쓰는것도 아니면서 왜 SD를 쓰고 그래 -_-


[링크 : http://www.kpug.kr/kpugknow/1826161]

    [링크 : http://gyeo.egloos.com/279631]

    [링크 : http://gigglehd.com/zbxe/10931062#7]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ell_Streak] 델 스트릭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7l softfp hardfp fmac  (0) 2015.02.28
밑바닥에서 rootfs 생성하기  (0) 2015.02.26
eMMC / UFS / PCM(PRAM)  (0) 2015.02.20
arm linux patch  (0) 2015.02.20
gcc -lz 와 -z  (0) 2015.02.12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2. 23. 22:34





[링크 : http://eleparts.co.kr/EPXDVFC8]


(직역) 특허 포트폴리오는 개별 혹은 회사 같은 단일 단체에 의해 소유한 특허의 모음이다. 특허들은 연관이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특허 적용은 특허 포트폴리오에 포함된것으로 간주되어질수 있다. 특허 포트폴리오의 금전적 이득은 포트폴리오 소유자와 지적 재산권을 라이센싱으로 부터의 수익를 위한 시장 독점적 지위를 포함한다. 비 금전적 이득은 선점 이득과 같은 전략적 잇점과 라이벌 포트폴리오 소유자로 부터의 방어를 포함한다.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투자를 권장하는데 이용되어진다. 

(의역) 특허 포트폴리오는 특정 단체에 소유한 특허의 모음이며 이 특허들은 서로 연관이 있을수도 있으며 없을 수도 있다. 특허 적용품들은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되어 질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소유자와 지적 재산권을 라이센싱함으로 얻어지는 수익과 시장 독점적 지위등의 금전적 이득과, 선점 이득이나 라이벌 포트폴리오로 부터의 방어등의 비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설립되어 지기도 한다. 


A patent portfolio is a collection of patents owned by a single entity, such as an individual or corporation. The patents may be related or unrelated. Patent applications may also be regarded as included in a patent portfolio.

The monetary benefits of a patent portfolio include a market monopoly position for the portfolio holder and revenue from licens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Non monetary benefits include strategic advantages like first-mover advantages and defense against rival portfolio holders. Constituting a patent portfolio may also be used to encourage investment.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atent_portfolio] 

음.. 그러니까 특허 포트폴리오로 하면 셋트로 구매가 가능해서 신경안써도 된다라는 의미?

아니면... 뭉쳐서 파니까 낱개로 싸게는 안된다는 의미이려나?


MPEG-4는 더이상 제공하지 않는다는건 무슨 의미이려나?

[링크 : http://www.mpegla.com/main/programs/M4S/Pages/Intro.aspx]

[링크 : http://www.mpegla.com/main/programs/AVC/Pages/Intro.aspx]

[링크 : http://www.mpegla.com/main/programs/M2/Pages/Intro.aspx]


[링크 : http://www.mpegla.com/main/programs/avc/Documents/avcweb.pdf]

[링크 : http://www.mpegla.com/main/programs/M2/Documents/m2web.pdf]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 2 하드웨어 관련 정보 및 win10 IoT  (0) 2015.02.26
라즈베리 2 시작! - raspbian  (0) 2015.02.26
으헤헤헤헤 라즈베리 2  (0) 2015.02.26
라즈베리 파이 2 구매!!  (0) 2015.02.25
망했어요 -_-  (6) 2015.02.24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clang2015. 2. 21. 10:22

오픈소스 정적분석 툴

llvm이 본체(?)고 clang은 llvm을 위한 front-end

그리고 cppcheck는 eclipse와 통합!


어느게 나으려나?



[링크 : http://llvm.org]

[링크 : http://clang.llvm.orgfrontenf for llvm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LLVMlow level virtual machin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LVM]


[링크 : http://cppcheck.sourceforge.net]

'프로그램 사용 > c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grep  (0) 2023.04.17
cppcheck 사용  (0) 2023.04.17
clang 으로 컴파일  (0) 2015.08.03
clang on ubnutu  (0) 2015.08.03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5. 2. 20. 21:52

eMMC는 라즈베리 2나 비글본에서 옵션 품목으로 채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Flash나 SD 메모리 보다는 안정적이고 빠른 녀석으로

SD 메모리가 컨트롤러는 CPU에서 내장하고 있는 반면, eMMC는 컨트롤러와 메모리를 하나의 패키징에 넣고

FLASH 메모리 처럼 쓰려는 접근 방법이다.

물론 FLASH 메모리 역시 소프트웨어적으로 wear leveling을 지원해야 하기에 상당히 번거로운 감이 없기에

SW와의 통합이 중요하고 어려운 난제인데

eMMC의 경우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칩으로 해결해 버리려는 목적을 가졌다고 해야 하려나?

요약하면... 즉.. 임베디드 세상에서의 SSD 드라이브?(자체적으로 Trim과 Wear leveling등을 지원하는?)


아무튼.. 이걸로도 부족해서

더 빠르고 좋은(!) UFS도 투입하려고 있는데..


eMMC

The eMMC (embedded MMC) architecture puts the MMC components (flash memory plus controller) into a small ball grid array (BGA) IC package for use in circuit boards as an embedded non-volatile memory system. eMMC doesn't support the SPI-bus protocol.


Almost all mobile phones and tablets use this form of flash for main storage. The latest version of the eMMC standard (JESD84-B501) by JEDEC is version 5.01, with speeds rivaling discrete SATA based SSDs (400 MB/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ultiMediaCard#eMMC] eMMC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hase-change_memory] PCM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Ferroelectric_RAM]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구나 ㅠㅠ


[링크 : http://avenuel.tistory.com/2137] eMMC

[링크 : http://avenuel.tistory.com/2138] UFS



'embeded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밑바닥에서 rootfs 생성하기  (0) 2015.02.26
SD 메모리를 메인 스토리지로 쓰는 녀석...들?  (0) 2015.02.24
arm linux patch  (0) 2015.02.20
gcc -lz 와 -z  (0) 2015.02.12
i.MX515 EVK 보드 CPU 활성화 내용  (0) 2015.02.10
Posted by 구차니
embeded/ARM2015. 2. 20. 21:31

음.. 찾아는 보는데..

공식적으로 3.x 대에 대한 커널은 존재하지 않는 걸려나?


[링크 : http://www.arm.linux.org.uk/developer/]

[링크 : http://www.arm.linux.org.uk/docs/kerncomp.php]

[링크 : ftp://ftp.arm.linux.org.uk/pub/armlinux/source/kernel-patches/]


비글본은 3.10.x 대 라는 듯?

[링크 : http://slowbootkernelhacks.blogspot.kr/2014/03/beaglebone-linux-kernel310x-programming.html]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wnloads/]

[링크 : http://beagleboard.org/latest-images]


오잉? 3.x대 부터는 그냥 통합인가?!

[링크 : http://www.acmesystems.it/compile_linux_3_12_8]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