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ded/raspberry pi2015. 3. 3. 18:41

라즈베리에서 라즈비언에 startx로 들어가서 봤을때

mathematica가 있어서 음? 비슷한건가 했었는데 같은게 맞다!

그런데 이녀석.. 요즘 유명한(!) 울프람 사의 제품이었을 줄이야?


우리 누나가 예전에 수학과에서 쓰던거 보고는 잊고 있었는데 ㅋㅋㅋㅋ




[링크 : http://www.wolfram.com/raspberry-pi/]

[링크 : http://matrix.skku.ac.kr/sglee/algebra/atlast/usage/] 4.0 대 도움말 번역(성균관대)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3. 18:15

음.. 솔찍히 우분투에 익숙해져서 apt-get을 벗어 날수 없는지라

가장 무난한 녀석은.. ubuntu nappy가 아니라 raspbian인듯?


원인불명으로 1600x900으로 잡히지만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이라던가는 다 되니까(무려! raspbian에는 build-essential이 기본 설치!)

이녀석을 메인으로 쓰게 될지도?



클럭을 800MHz로 약간 오버클럭했는데

$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model name      : ARMv7 Processor rev 5 (v7l)

BogoMIPS        : 38.40

Features        : half thumb fastmult vfp edsp neon vfpv3 tls vfpv4 idiva idivt vfpd32 lpae evtstrm

CPU implementer : 0x41

CPU architecture: 7

CPU variant     : 0x0

CPU part        : 0xc07

CPU revision    : 5 

보고 밉스가 조금 높게 나오는 기분 같기도 하고?
(이전 700MHz 설정과 비교하니 38.00 에서 38.40.. -_-)

$ sudo cat /sys/devices/system/cpu/cpu0/cpufreq/cpuinfo_max_freq

800000

$ sudo cat /sys/devices/system/cpu/cpu0/cpufreq/cpuinfo_cur_freq

600000



그나저나 800 으로 했는데 현재 클럭이 600으로 잡히는건 왜지? -_-???

Posted by 구차니

저희나라

my country


우리나라

our country 


라고 굳이 번역되려나?


문득 드는 생각이 왜이렇게 우리는 '우리나라' 라는 단어에 집착을 할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나의 나라/저희 나라는 국가가 개인의 소유로

우리나라는 개인이 국가의 소유로 해석이 되는 기분이랄까..


그렇게 우리도 모르게 스스로를

국가의 소유물로 세뇌시키고 있던게 아닐까?

'개소리 왈왈 > 정치관련 신세한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 새마을 운동?  (0) 2015.03.21
목욕탕 그리고 이상한 사람  (0) 2015.03.17
3.1절 그리고 태극기  (0) 2015.03.01
태풍전야의 고요?  (0) 2015.02.26
네이트온 비밀대화라...  (0) 2014.12.21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2. 18:41

LAN9512의 경우 자체적으로 1 upstream / 2 downstream의 USB HUB를 제공하는데

라즈베리 파이 2 에서는 LAN9512의 다운스트림을 사용하지 않고

USB ROOT HUB 5port 짜리 하나를 사용해서

1번 포트에 SMSC LAN9512를 연결하고

나머지는 순서대로 2/3/4/5 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USB to Ethernet으로 인한 대역폭을 고려하면..

외장 HDD를 연결해서 사용하려는 나의 장대한(?) 음모는 꽤나 빛을 바래는 듯? ㅠㅠ


 

 Port 2 

 Port 4

 LAN (Port 1)

 Port 3 

 Port 5 



OpenELEC:~ # lsusb -t

/:  Bus 01.Port 1: Dev 1, Class=root_hub, Driver=dwc_otg/1p, 480M

    |__ Port 1: Dev 2, If 0, Class=Hub, Driver=hub/5p, 480M

        |__ Port 1: Dev 3, If 0, Class=Vendor Specific Class, Driver=smsc95xx, 480M

        |__ Port 5: Dev 8, If 0, Class=Human Interface Device, Driver=usbhid, 1.5M


OpenELEC:~ # lsusb -t

/:  Bus 01.Port 1: Dev 1, Class=root_hub, Driver=dwc_otg/1p, 480M

    |__ Port 1: Dev 2, If 0, Class=Hub, Driver=hub/5p, 480M

        |__ Port 1: Dev 3, If 0, Class=Vendor Specific Class, Driver=smsc95xx, 480M

        |__ Port 3: Dev 9, If 0, Class=Human Interface Device, Driver=usbhid, 1.5M


OpenELEC:~ # lsusb -t

/:  Bus 01.Port 1: Dev 1, Class=root_hub, Driver=dwc_otg/1p, 480M

    |__ Port 1: Dev 2, If 0, Class=Hub, Driver=hub/5p, 480M

        |__ Port 1: Dev 3, If 0, Class=Vendor Specific Class, Driver=smsc95xx, 480M

        |__ Port 2: Dev 10, If 0, Class=Human Interface Device, Driver=usbhid, 1.5M


OpenELEC:~ # lsusb -t

/:  Bus 01.Port 1: Dev 1, Class=root_hub, Driver=dwc_otg/1p, 480M

    |__ Port 1: Dev 2, If 0, Class=Hub, Driver=hub/5p, 480M

        |__ Port 1: Dev 3, If 0, Class=Vendor Specific Class, Driver=smsc95xx, 480M

        |__ Port 4: Dev 11, If 0, Class=Human Interface Device, Driver=usbhid, 1.5M




---

방열칩 뜯고 보니

smsc lan9514

이녀석은 5포트 USB 허브 내장한 녀석이다

즉 broadcom bcm 칩에는 루트 허브 하나만 있고

lan9514 와 연결해서 4개 포트를 빼내는 형식이다


[링크 : http://ww1.microchip.com/downloads/en/DeviceDoc/9514.pdf]

'embeded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스매티카 in raspbian/NOOBS  (0) 2015.03.03
라즈베리 2 / 라즈비언 가지고 놀기  (0) 2015.03.03
라즈베리 2 - NOOB / Scratch  (0) 2015.03.01
라즈베리 파이 2 ubuntu / snappy  (4) 2015.03.01
라즈베리 빌드 관련  (0) 2015.03.01
Posted by 구차니

db를 복구하려는데 에러발생!


$ ll

▒հ▒ 341564

drwx-----x  2 minimonk user      4096 2012-05-06 21:10 m

-rw-r--r--  1 minimonk user 294814223 2015-02-03 11:33 minimonk.sql

-rw-r--r--  1 minimonk user  54933995 2015-03-02 17:30 minimonk.sql.zip

drwx-----x 15 minimonk user      4096 2012-07-18 20:14 www


$ mysql -uusername -p dbname < mediawiki.sql

Enter password:

ERROR 1153 (08S01) at line 18575: 'max_allowed_packet'▒▒▒▒ ▒▒ū ▒▒Ŷ▒ ▒޾ҽ▒ϴ▒.


그래서 한번 검색은 해보고 따라해봤지만

mysql> show variables like 'max_allowed_packet';

+--------------------+---------+

| Variable_name      | Value   |

+--------------------+---------+

| max_allowed_packet | r|

+--------------------+---------+

1 row in set (0.00 sec)

mysql> set global net_buffer_length=1000000;
ERROR 1227 (42000): Access denied; you need the SUPER privilege for this operation
mysql> set global max_allowed_packet=1000000000;
ERROR 1227 (42000): Access denied; you need the SUPER privilege for this operation 


너님 권한없음 ㄴㄴ 외치는 mysql -_-


[링크 : http://stackoverflow.com/.../mysql-error-1153-got-a-packet-bigger-than-max-allowed-packet-bytes]

[링크 : http://www.jquery.kr/...search_keyword=&origin_target=]


max_allowed_packet은 업로드 하는 파일의 용량이고, 네트워크 패킷과는 상관이 없는 값

그런데.. 저 값만 단순하게 보면 1MB 정도이려나?(바이트 라면 1024 * 1024 = 1048576)


[링크 : http://blackbull.tistory.com/12]


+

2015.03.03

저기요 -_- 쉽지 않으니까 유료 서비스 이용하면서 문의하죠 아오 -_-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우비 입니다.
해당 오류는 해당 DB 테이블에 문제가 발생되어 오류가 호출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오류 해결은 간단하게 해결되지 때문에 해당 부분을 도움드리기 어렵습니다.
해당 테이블을 점검해서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용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내참.. 드러워서 내가 서버 돌려서 올리고 다시 내려 받고 또 올리던가
그냥 내 서버에서 돌리던가 해야지 에잇 -_-

2015.03.10 추가
서버측에서 설정해야지 mysql client로 한다고 해서 달라지는건 없는 듯. -_-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1. 21:09

NOOBS로 부팅하니 이것저것 깔라고 나오는데


다 체크하려니 용량 부족으로 + 다운로드 귀찮아서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Raspbian / Data Partition / Boot to Scratch를 설치하는데

크어어어엌 -_-a 겁내 오래 걸린다. 걍 파일 받아서 직접 굽는게 빠르니 다시는 그닥 하고 싶지 않은 방법이 되어버림 -_-


암튼 한 10분 넘게 방치해놓고 딴짓하니 끝!

근데 키보드 안붙여 놓고 마우스만 있어서 Shift를 누를수가 없어! ㅠㅠ


Raspbian 과 Raspbian - Boot to Scratch를 둘다 선택해서 설치했더니

다음 부팅시에 어느걸로 켤지 물어 보고 라즈비언은 써봤으니 Boot to Scratch를 해봤더니


으어어어엌 콘솔이다 ㅋㅋ

그냥 냅두면 마우스가 뜨는데 SD 로딩 불도 안들어 오고 고장났나? 해서 마우스를 움직여보니


헐 먼가 이상한 고양이가 나온다 -_-


귀찮아서 About을 누르고 턴 종료!


일종의 애니메이션/게임 저작도구 라고 한다.


Scratch is a visual programming tool which allows the user to create animations and games with a drag-and-drop interface. It allows you to create your own computer games, interactive stories, and animations using some programming techniques without actually having to write code. It’s a great way to get started programming on the Raspberry Pi with young people. To find out more about Scratch, visit the website at scratch.mit.edu or see the Computing At School Raspberry Pi Education Manual.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usage/scratch/]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1. 19:03

로그인은 ubuntu : ubuntu

그런데.. 일단 이녀석.. 콘솔이 기본이다 -_ㅠ

apt-get은 지원안하고 snappy를 사용하래서 써봤더니
야임마!!!! -_-+

login as: ubuntu

ubuntu@192.168.219.165's password:

Welcome to Ubuntu Vivid Vervet (development branch) (GNU/Linux 3.18.3-v7+ armv7l)


 * Documentation:  https://help.ubuntu.com/


The programs included with the Ubuntu system are free software;

the exact distribution terms for each program are described in the

individual files in /usr/share/doc/*/copyright.


Ubuntu comes with ABSOLUTELY NO WARRANTY, to the extent permitted by

applicable law.


Welcome to the Ubuntu Core rolling development release.


 * See https://ubuntu.com/snappy


It's a brave new world here in snappy Ubuntu Core! This machine

does not use apt-get or deb packages. Please see 'snappy --help'

for app installation and transactional updates.


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user "root"), use "sudo <command>".

See "man sudo_root" for details.


ubuntu@localhost:~$ sudo apt-get update

Ubuntu Core does not use apt-get, see 'snappy --help'!

ubuntu@localhost:~$ snappy

Usage:snappy [-h] [-v]

             {info,versions,search,update-versions,update,rollback,install,uninstall,tags,config,build,booted,chroot,framework,fake-version,nap}

             ...

ubuntu@localhost:~$ snappy update

This command needs root, please run with sudo

ubuntu@localhost:~$ sudo snappy update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r/bin/snappy", line 25, in <module>

    status = Main().__main__()

  File "/usr/lib/python3/dist-packages/snappy/main.py", line 195, in __main__

    return callback(args)

  File "/usr/lib/python3/dist-packages/snappy/main.py", line 511, in _do_update

    for pkg in ClickDataSource().upgradable_apps]

  File "/usr/lib/python3/dist-packages/snappy/click.py", line 180, in upgradable_apps

    all_updates_list = repo.get_upgradable()

  File "/usr/lib/python3/dist-packages/click/repository.py", line 183, in get_upgradable

    headers={"content-type": "application/json"})

  File "/usr/lib/python3/dist-packages/click/network.py", line 70, in http_request

    curl.perform()

pycurl.error: (60, 'server certificate verification failed. CAfile: /etc/ssl/certs/ca-certificates.crt CRLfile: none')



로컬에서 xwindow 켜고 해야 하려나? -_-

Posted by 구차니

저번에 올라왔던 기사


새마을 운동 회원들이 태극기를 나누어주었는데(무려!! 무료로!)

전부 주는데 오래 걸렸다고 -_-




문득 오늘 밖을 거니는데 태극기 달린 곳이 별로 없고

아버지께서 그런거 보면 한소리 하시겠구나 싶었는데


저번 태극기 배포건은 오늘 중장년 층과 20~30대의 간극을 벌여

싸움을 붙이기 위한 전초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1. 11:42

라즈베리를 남이 만들어 놓은것만 쓰려고 산건 아니니 ㅋ

일단 크로스 컴파일러와 커널 소스는 github상에 존재하고

그 외에는 받아서 천천히 보면 어찌 알게 되겠지 머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linux/kernel/building.md]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tools/tree/master/usbboot] 부트로더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linux] 커널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target_fs] rootfs / busybox 기반

[링크 : https://github.com/raspberrypi/tools] 크로스 컴파일러 - 리눅스 용인듯?



+ 2015.03.01

The BCM2835 device has a number of different modes for booting, the most obvious one is the SD card which looks for a file called bootcode.bin on the first FAT partition of the SD card to boot from.


올 -_-a

칩에서 SD 메모리 인식해서 FAT 면은 자동으로 bootconde.bin을 찾아서 부팅하다니

겁나 똑똑한 칩일세 ㄷㄷ

Posted by 구차니
embeded/raspberry pi2015. 3. 1. 09:56

다 설치는 아직 못해보고 부팅만 해봄



pre-installed NOOBS SD card도 파는데

먼데 돈 받고 팔어!? 라는 생각에 한번 시도


설치법은 의외로 쉬운데

SD 위원회의 SDFormatter라는 프로그램을 받아 설치후 포맷하면 된다.

[링크 : https://www.sdcard.org/downloads/formatter_4/]


다른건 필요없고 option의 FORMAT SIZE ADJUSTMENT를 ON으로 해주면

볼륨 사이즈 상관없이 전체 파티션을 하나로 잡고 자동으로 밀어 준다.

수동으로 한다면.. 단일 파티션으로 잡고 FAT로 포맷하면 될 것 같기도 한데? 문제는...


NOOBS_v1_4_0.zip을 다운로드 받아

옆의 경로 부터 전체를 복사해주면 설치 끝!(엥? 부트섹터도 없어!??!)


[링크 : http://www.raspberrypi.org/help/noobs-setup/]


아무튼 그렇게 하고 나서 켜보니

이런저런걸 install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NOOB이라고 해서 머 대단한걸 기대했는데 꼴랑랑(?) raspbian이라니 -_ㅠ


+ 2015.03.01

랜선 연결하고 하니

다른 배포판들도 네트워크로 접속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된다!!!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