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SLI2010. 10. 12. 23:31
메인보드 이상인지 파워부족인지, 부팅하는데 뻥좀 쳐서 10분 걸린다 -_-
하드를 찾는데 몇분 걸리고, 부팅하고 나서도 버버버버버 -_-!



아무튼, 골드핑거(금색이라 그런가 !) / SLI 브릿지를 연결하고 찰칵!
(그래봤자 아직 제대로 작동도 못시켜봤다)


아무튼.. 군대 간 이후로 그렇게 고대하던 SLI 시스템 드디어 구축 ㅠ.ㅠ
하아.. 거의 10년 걸렸구나.. (그러기에는 너무 저렴한 성능 ㅠ.ㅠ)



2010.10.18 추가
IDE 점퍼 설정의 오류로 부팅이 오래걸렸다 -_-
웨스턴 디지털은 Master / Single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데 확인안한 내탓 ㅠ.ㅠ
아무튼, POST 단계에서 삑 소리 나기 까지 10여초 걸리는건 어떻게 해결 하는법이 없을려나
아니면 nVidia SLI 칩셋 자체의 문제일려나?

'하드웨어 > S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I 머가 문제야! ㅠ.ㅠ  (0) 2010.10.26
파워 600W  (3) 2010.10.21
SLI 그리고 파워 그리고 메인보드  (0) 2010.10.18
nvidia sli  (2) 2010.10.17
메인보드 부팅 지연관련  (0) 2010.10.1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0. 12. 10:37
펜4 1.6 기가 메인보드에 그래픽 카드를 꼽으려니 안되서 다른 카드를 보니 슬롯이 달랐다.
위의것은 쿼드로 2 이고, 아래것은 ATi rage pro 이다.

위키의 내용을 보면,
ATi Rage 는 1.5V AGP 이고, 쿼드로2는 3.3V/1.5V 겸용이거나 유니버셜인것으로 생각된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Accelerated_Graphics_Port]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O / DLT  (2) 2010.10.20
AWG - American Wiring Gauge  (0) 2010.10.20
VRM with P3-1Ghz  (0) 2010.10.11
MEMS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0) 2010.09.19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0. 11. 11:19
HP Proliant ML350 모델에 CPU가 하나뿐이라 어떤걸 사용하나 보다보니 메인보드에 신기한게 뽑혀있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 녀석이 바로 그녀석인데

검색을 해보니 VRM 은 Voltage Regulator Module의 약자로
일종의 DC-DC regulator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게 반드시 있어야 작동하는지 안하는지는 일단 모름 -_-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Voltage_regulator_module]
[링크 : http://www.terms.co.kr/VRM.htm]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G - American Wiring Gauge  (0) 2010.10.20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MEMS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0) 2010.09.19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기가비트 이더넷 PCI 랜카드 - about PCI GbE  (4) 2010.07.1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모터(motor)2010. 10. 2. 11:33
우연히(?) 뽀려온 스텝모터 스펙도 모르는 지라 -_-
일단 분해 고고싱

상단

하단(이거 검색해도 alldatasheet에서 안나옴 ㅠ.ㅠ)

요따구로 생긴 드라이버로 해체

말랑말랑 고무고무! (열매?)

기판과 코일 그리고 중앙의 베어링

파란색의 회전자에는 자세히 보면 |||| 이런식으로 극성을 위한 철(?)이 있다.

코일쪽에도 오돌도돌하게 무언가가 있다.


스텝모터 원리로 보니 하이브리드 스텝모터인것으로 추측된다.
아니면 말고 -_-

HYBRID / UNIFILAR / BIPOLAR 타입이려나?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모터(motor)2010. 9. 25. 23:45
스텝모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가 그런걸 알리가!)

일단 현재 아는 정보는
스텝모터는
unifilar(유니파일러/1선), bifilar(바이파일러/2선) 방식으로 코일을 감으며
unipolar(유니폴라/단극성), bipolar(바이폴라/양극성) 방식으로 나뉜다.

유니폴라/바이폴라는 전기를 흘리는 방식으로
모터에 따라 두가지 모두 사용가능한 모터도 존재한다.

그리고 회전자(rotor)의 방식에 따라
PM(영구자석) / VR(전자석) / HB(하이브리드) 세가지가 존재하며
가격도 PM < VR < HB 순으로 안드로메다 고고싱

[링크 : http://keom.khu.ac.kr/keomwiki/moin.cgi/스태핑모터]
Posted by 구차니

왕십리 / 용산은 같은 3D 방식인데, 강동CGV의 3D는 앞의 두개관의 3D 방식과는 다른 느낌이다.

Not for Use as Sunglasses

방향에 따라 보이기도 하고

안보이기도 한다.

masterImage

[링크 :

http://masterimage3d.com/

]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9. 19. 23:16
핸드폰에 내장된 전자 나침판(compass sensor)등을 만드는 기술적인 방법
음.. 예전에 화제가 되었던 나노 크기의 장비를 만드는 것들이 상용화 된것일려나?

[링크 : http://www.motioncontrol.co.kr/default/news/?grpid=000000005&nwsid=n3&uid=6021]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MEM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icroelectromechanical_systems]
[링크 : http://www.mems-exchange.org/MEMS/what-is.html]
[링크 : http://www.terms.co.kr/MEMS.htm]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VRM with P3-1Ghz  (0) 2010.10.11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기가비트 이더넷 PCI 랜카드 - about PCI GbE  (4) 2010.07.14
Kicad - open source PCB / circuit program  (11) 2010.07.08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7. 17. 02:49
부팅이 안되서 뻘짓하다가, 심심해서 그래픽 카드 청소겸 분해!
대충 써멀컴파운드 닦아내고 찰칵!


잘만 저소음 쿨러에 달린 냉각판
냉각핀 하나하나를 하나로 붙여서 면으로 만들어 냈는데
으아~ 이런거 cpu에도 달아줘야 하나? 하는 충동이 마구마구 드는 부품 -ㅁ-

Posted by 구차니
SMA 커넥커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일반적인 동축 케이블에 비하면 엄청작으며, 특이하게도 50옴 이다.

The connector has a 50 Ω impedance. It offers excellent electrical performance from DC to 18 GHz.
The SMA connector consists of a 0.250x36 thread. The male is equipped with a .312 inch (7.925mm) hex nut.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MA_connector]



[링크 : http://www.satcomnow.com/satcom/images/diagrams/Radyne_DM240XR_d1.jpg]
[링크 : http://www.comtechefdata.com/datasheets/legacy/radyne/dm240pic.pdf]

위의 DM240 장비의 뒷면 우측의 MON OUT / L-BAND OUT 커넥터가 바로 SMA 커넥터이다.
아무튼, 장비를 제대로 안봐서.. 이녀석을 ASI로 착각하다니 OTL

2010/07/15 - [하드웨어 관련] - ASI -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하드웨어 > 커넥터 (Connec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tary joint / rotary unions  (0) 2017.07.12
micro usb 케이블 수리  (0) 2017.02.21
ASI -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0) 2010.07.15
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0) 2010.07.15
PS/2 커넥터  (0) 2009.12.16
Posted by 구차니
ASI는 회사다닐적, DVB modulator 장비에서 출력으로 RF 출력이 아닌 ASI 라는것을 본적이 있다.
잊고 있었는데.. SDI를 오늘 보니.. 이녀석이 문득 떠올라서 검색 고고싱

SDI와 비교하자면
ASI는 MPEG-TS가 전송되며, 다르게 말하자면 압축된 데이터가 전송이 된다.
그리고 보내지는 데이터에 의존적인 대역폭을 지닌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Asynchronous_serial_interface]


우측 하단의 금색 커넥터가 ASI 커넥터이다.
[링크 : http://www.linsys.ca/products/asi2ip.htm]

우측 하단의 녹색 케이블이 ASI 케이블이다.
[링크 : http://www.avsforum.com/avs-vb/showthread.php?t=1122271]

음.. 기억이 꼬이고 있다 ㅠ.ㅠ
예전에 mini 캐논잭인가 이녀석이 ASI 였던거 같은데 장비마다 다른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기본은 BNC 인것으로 보인다.

2010/07/15 - [하드웨어 관련] - SDI - Serial Digital Interface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