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정보는 생략한다.


모    델

DVC-430(COLOR)

DVC-410(BLACK & WHITE)

DVC-470(COLOR)

신호방식

NTSC Color / (PAL Color)

주사선 주파수

NTSC:15.734KHz (수평), 59.94Hz (수직) PAL:15.626KHz(H),50Hz(V)

주사방식

525 Lines(NTSC), 625 Lines(PAL) 2:1 Interlace

촬상소자

1/3" Sony CCD Image Sensor

1/3" Samsung CCD Image Sensor

1/3" Sony CCD Image Sensor

최대화소수

510(H)X492(V)-NTSC(270K), 500(H)X582(V)-PAL(320K)

768(H)X494(V)-NTSC(410K), 752(H)X582(V)-PAL(470K)

S/N 비

46dB 이상 (AGC Off)

영상출력

VBS 1.0 Vp-p / 75Ω, Unbalanced, (BNC출력) Composite

수평해상도

350 TV Lines

470 TV Lines

최저조도

0.5 Lux

0.1 Lux

0.5 Lux

동기방식

내부동기

화이트 밸런스

자동(Auto)/실내/실외/수동

전자 셔터 속도

1/60~1/10,000 sec (NTSC), 1/50~1/10,000sec (PAL) (8단계)

AGC Control

자동(Auto)

RIS Control

자동/수동

사용온도

영하10℃ ~ 40℃

보관온도

영하20℃ ~ 60℃

동작습도

10% RH ~ 80% RH

사용전원

DC 9.0V ~ 15.0V(권장사양 DC12.0V±10%) 300~500mA

소비전력

4W 이하

크기 (W×H×D)

63.5w x 55.6h x 74.1d mm

63.5w x 55.6h x 74.1d mm

  63.5w x 55.6h x 74.1d mm

중량

350g,

350g

 350g


[링크 : http://www.eunsuahn.co.kr/1024htm/dvc_430.htm]


아무튼, 퇴직기념(?)으로 2개 획득. 연차를 이걸로 퉁친 스멜~

'하드웨어 > 캡쳐보드 카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layer, gnome-mplayer  (0) 2010.07.07
xawtv / v4l-conf 관련 끄적임  (0) 2010.07.06
CSE PotoTV on Linux  (0) 2010.07.05
xawtv (for linux)  (0) 2010.07.03
DVC-430 연결!  (4) 2010.06.3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24. 22:32
기호는 저항이지만, 단순한 저항과는 다른 의미이다.

V=IR 공식에서 유도하여, R= V/I 가 되며
전압과 전류는 반비례 하게 된다.

아무튼, 접지(그라운드)보다 저항이 높으면, 전류(?)는 접지로 흐르게 되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없애는데 이용될수 있다.(내가 이해한게 맞을려나?)

그런데 이번에는 출력측의 임피던스에 비교하여 입력측의 임피던스가 큰 경우.
이 경우는 전송 로스는 있지만 일단 신호의 주고 받음은 할 수 있다.
최악인 것은 출력측의 임피던스에 비교하여 입력측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에
이 경우는 신호의 주고 받음이 매끄럽지 않아 신호가 일그러지거나 고역의 열화를 생긴다.

[링크 : http://raindol572.tistory.com/tag/임피던스]

[링크 : http://ko.wikipedia.org /wiki/임피던스]
[링크 : http://www.terms.co.kr/impedance.htm]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24. 21:27
어떤 종류의 부품이 있나 기웃거리다가 보면 가장 헷갈리는 넘이 위의 세녀석이다.
가속도 센서 (Accelation)
자이로 센서 (gyro)
기울기 센서 (Tilt)

혼용되어 쓰기도 하고 그래서 헷갈리는데, 아무튼 대충 정리 하자면
기울기 센서는 응답속도가 가속도 센서 보다 느린편이고(제품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가격은 자이로 센서가 우월하다.. (젠장 OTL)
그래도 전반적으로 가속도 센서가 기울기 보다는 많이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가격은 기울기 보다 약간 높은편이지만, 반응속도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추측됨)


 자이로 센서  NT-Gyro300 (IDG-300)
 가속도 센서  AM-3AXIS (MMA7260Q)
 기울기 센서  SA1 (AMP 내정형)

 기울기 센서의 응답속도(현재 500ms)가 가속도센서에 비하면 현저히 느리기 때문

[링크 : http://pinkwink.kr/121]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05000&query=view&no=34308] AM-Gyro (IDG-300) 5만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05000&query=view&no=16576] M-3AXIS (MMA7260Q) 2만
[링크 : http://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49012000&query=view&no=14502] SA1 2.2만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의 차이는
자이로센서는 회전관성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가속도센서는 가속도를 감지합니다.
그래서 자이로센서는 로봇이 회전할 때 회전각을 알 수 있을때 사용하므로 주로 항법장치에 많이 사용하고요,
가속도센서는 외부의 충격량과 방향을 감지합니다.
로봇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때 그 충격의 방향을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 없을때는 항상 중력방향을 감지하므로 기울기센서의 기능도 있습니다.
로봇이 쓰러져 있거나 비스듬한 곳에 있을때 로봇의 기울어진 방향과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휴머노이드에는 가속도센서가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겠죠.

로봇의 외부로 부터 공격을 받았을때나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넘어질때
스 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능으로 프로그램할 때 가속도센서가 유용합니다

[링크 : http://robobuilder.net/board/user_qna/board_index.asp?cmd=view&page=7&info_ref=97&info_idx=98]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X232(RS-232) 용 캐패시터 타입  (0) 2010.07.02
임피던스 (impedance)  (0) 2010.06.24
심심해서 만든거 치고 오래걸린 LED 조명 ㅠ.ㅠ  (4) 2010.06.22
3.5 파이 이어폰 잭 극성  (18) 2010.06.20
LCD 관련 용어  (0) 2010.06.12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22. 00:36




심심해서 만든거 치고는 한 3시간 걸린듯한 이 좌절감은.. OTL
아무튼, 웹캠에서 떼어낸 6개의 고휘도 LED와 자전거용 조명에서 떼어낸 5개의 LED
그 중에 한개씩 불량이 나서(아무래도.. 인두기의 열로 파괴된듯 ㅠ.ㅠ) 10개만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가장 아래 사진을 보면 밝기가 미묘하하게 다르다 ^^:

근데.. 자전거 어디에 달아야 하나..
앞으로 하기에는 생각보다 밝지는 않고, 눈만 부실텐데 흐음..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피던스 (impedance)  (0) 2010.06.24
가속도 센서 / 자이로 센서 / 기울기 센서의 차이점  (0) 2010.06.24
3.5 파이 이어폰 잭 극성  (18) 2010.06.20
LCD 관련 용어  (0) 2010.06.12
LED 극성  (0) 2010.06.1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20. 22:06
마이크는 잘 모르겠지만..(머.. 다이나믹은 극성없나?)

이어폰의 극성은 머리부분(?)이 + 이다.

1. Sleeve: usually ground
2. Ring: Right-hand channel for stereo signals, negative phase for balanced mono signals, power supply for power-requiring mono signal sources
3. Tip: Left-hand channel for stereo signals, positive phase for balanced mono signals, signal line for unbalanced mono signals
4. Insulating ring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Phone_jack]



[링크 : http://dmbuser.com/bbs/board.php?bo_table=qna&wr_id=7552&page=5]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12. 23:24
AMOLED를 이야기 하다가 보니,
막상 이 녀석에 대해서 아는게 없었다는 생각이 들어 부랴부랴 검색 모드 -ㅁ-!

아무튼, 정리하자면 AMOLED는 AM-OLED의 약자이다.
OLED는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를 이용한 LED로 백라이트가 없이 소자 자체가 발광하는것이 특징
[유기 EL 디스플레이 : http://e-words.ne.kr]

그리고 약간 차이가 있는 내용이지만
Active / Passive Address LCDs로 나뉘는데, Passive는 과거의 느린 녀석으로, 한 행/한 열 단위로 갱신하고
Active는 하나하나 소자를 한번에 접속하여 변경한다. 결론은 Active / Passive는 소자 제어에 대한 방법론이지
백라이트나 소자의 작동 방식에 대한 내용은 아닌것으로 생각된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iquid_crystal_display#Passive-matrix_and_active-matrix_addressed_LCDs]

그런 이유로 엄밀하게는 AM-OLED는 Active Matrix 로 빠른 화면 갱신의 특성을 보이며
만약에, Passive Matrix OLED가 나온다면 상대적으로 느리고 저렴하게 나올지도 모르겠다.
(근데 왜 난.. AMO-LED를 AMOrphous-LED로 착각하고 있었을까? ㅠ.ㅠ)

amorphous는 비결정질이라고 하며, 고체처럼 고정된 분자결합이 아니며
그렇다고 해서 액체처럼 끊어진 결합도 아닌 상태이다. 유리나 LCD에 들어가는 액정이 이러한 상태이다.
(그러고 보면, 굳이 S-LCD에서 amorphous를 꺼내낼 이유가 있을까?)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6. 10. 14:46
LED : Light-emitting diode
 

매번 극성이 헷갈린다.
다리가 붙어있으면 긴쪽이 - 라고 외우고 사는데
다리가 잘리거나 이미 붙어있는넘 재활용할때는 회로를 보거나 부품을 자세 히보는수 밖에 없다.

다리가 짧거나, 면적이 크면    - 극이다.
다리가 길거나, 면적이 작으면 + 극이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ight-emitting_diode]
[링크 : http://ko.wikipedia.org /wiki/발광_다이오드]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5. 10. 11:05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는 본래 명령용 버스와 데이터용 버스로 물리적으로 분할한 컴퓨터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폰 노이만 구조와 대비시킨 용어이기도 하다).

[링크 : http://ko.wikipedia.org /wiki/하버드_아키텍쳐]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Harvard_architecture]


AVR에서 하버드 아키텍쳐라는 이야기가 나오길래 문득 기억이 나서 검색한 내용.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D 관련 용어  (0) 2010.06.12
LED 극성  (0) 2010.06.10
USB 3.5 인치 외장하드가 돌긴하는데 인식이 안된다구요?  (0) 2010.03.08
bogoMIPS on E5400  (0) 2010.03.03
USIM / SIM  (0) 2010.02.19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3. 8. 13:18
잘보니 노란색 전원 케이블이 끊어져 있었다.
3.5 인치 IDE 계열 전원 커넥터는 몰렉스 커넥터라고 하며
노란색은 12V
빨간색은 5V
검은색은 GND 이다.

음.. 3.5인치 하드면은 12V가 들어가야 할텐데
5V만 들어가서 모터 돌리는데 전기 다 잡아먹고
다른 회로들이 작동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추측된다.


Type Electrical power connector
Production history
Designer Molex
Specifications
Width 21 mm
Height 6 mm
Electrical Yes

Max. voltage 12 V

Max. current 11 A/pin (30 °C rise)
Pins 4
Pin out

Color Type
Pin 1 Yellow +12 V
Pin 2 Black Ground
Pin 3 Black Ground
Pin 4 Red +5 V
18 AWG wire is typically used.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olex_connector]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D 극성  (0) 2010.06.10
하버드 아키텍쳐 / Harvard architecture  (0) 2010.05.10
bogoMIPS on E5400  (0) 2010.03.03
USIM / SIM  (0) 2010.02.19
디커플링(decoupling) / 바이패스(bypass) 캐패시터  (0) 2010.02.16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3. 3. 16:14
혹시 E5400 이라고 붙은 이유가..
bogomips로 5400이 나와서 그런건 아니겠지? ㄱ-

아무튼 단순 수치상으로 2개 프로세서니까, 10800MIPS가 되는걸려나?

#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model           : 23
model name      : Pentium(R) Dual-Core  CPU      E5400  @ 2.70GHz
stepping        : 10
cpu MHz         : 2700.095
cache size      : 2048 KB
physical id     : 0
siblings        : 2
core id         : 0
cpu cores       : 2
fdiv_bug        : no
hlt_bug         : no
f00f_bug        : no
coma_bug        : no
fpu             : yes
fpu_exception   : yes
cpuid level     : 13
wp              : yes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nx lm constant_tsc pni monitor ds_cpl vmx est tm2 cx16 xtpr lahf_lm
bogomips        : 5403.74

processor       : 1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model           : 23
model name      : Pentium(R) Dual-Core  CPU      E5400  @ 2.70GHz
stepping        : 10
cpu MHz         : 2700.095
cache size      : 2048 KB
physical id     : 0
siblings        : 2
core id         : 1
cpu cores       : 2
fdiv_bug        : no
hlt_bug         : no
f00f_bug        : no
coma_bug        : no
fpu             : yes
fpu_exception   : yes
cpuid level     : 13
wp              : yes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nx lm constant_tsc pni monitor ds_cpl vmx est tm2 cx16 xtpr lahf_lm
bogomips        : 5400.07


2009/11/12 - [하드웨어 관련] - BogoMIPS - cpu 성능 측정하는 방법중 하나


Pentium(R) Dual-Core  CPU      E5400  @ 2.70GHz
bogomips        : 5403.74

Intel(R) Pentium(R) D CPU 3.00GHz
bogomips        : 5988.40

Intel(R) Xeon(R) CPU           X3320  @ 2.50GHz
bogomips        : 6236.74

Intel(R) Pentium(R) 4 CPU 2.66GHz
bogomips    : 5319.93

Intel(R) Pentium(R) M processor 1.20GHz under Portable Ubuntu TRES (9.10)
bogomips    : 5872.02 / 5319.93 / 4246.73
bogomips    : 2510.02 (Speed Step to 600Mhz)

Intel XScale-PXA255 rev 6 (v5l)
BogoMIPS        : 396.56

STb7100 Reference board (SH4)
bogomips        : 262.14

STBx25xx (PPC)
bogomips        : 250.36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