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핸드폰을 보면 VPN 설정이라는 것이 있다.
중국이라던가 이런 검열이 심한 곳에서 위키피디아 접속하는 방법으로
국내의 VPN 서버로 접속 국내 아이피를 통해 회피하는 수단등으로 사용되는데
핸드폰에 보면
PPTP
L2TP
L2TP/IPSec PSK(사전키 공유 기반)
L2TP/IPSec CRT(인증서 기반)
이렇게 네가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중에서 PPTP는 MS가 설계해서 가장 손쉽고 널리 사용이 가능하다지만,
아래와 같이 MS 에서도 보안상의 문제로 추천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PPTP is known to be a faulty protocol.The designers of the protocol,
Microsoft, recommend not to use it due to the inherent risks. Lots of
people use PPTP anyway due to ease of use, but that doesn't mean it is
any less hazardous. The maintainers of PPTP Client and Poptop
recommend using OpenVPN (SSL based) or IPSec instead.
그리고 openvpn은 안드로이드 에서 사용하려면 루팅을 한뒤
여러가지 파일을 복사 해야 해서 상당히 복잡하다고 하고 -_-
Step 3 - Perform the following bold text commands at a command prompt ADB shell mount /system
ADB shell
cd /system/lib
cp libcrypto.so libcrypto-orig.so
cp libssl.so libssl-orig.so
These last 2 entries are just a 2ndary backup. you can skip if you like exit
From the unzipped fries download find all the files (should be 5 in total) and do adb push libcrypto.so /system/lib/
adb push liblzo.so /system/lib/
adb push libssl.so /system/lib/
adb push openssl /system/bin/
adb push openvpn /system/bin/
adb shell chmod 4755 /system/bin/openssl
adb shell chmod 4755 /system/bin/openvpn
L2TP로 검색을 하니 L2TP는 시스코의 L2 포워딩과 PPTP를 결합한거라고 하는데
대부분 openswan과 결합이 되는지(아무래도 IPSec 때문?) 같이 검색이 걸려 나온다.
Debian: xl2tpd is in the unstable tree, l2tpd
is in the stable tree,
and l2tpns is in both.
Executing an 'apt-get
install xl2tpd' (or likewise for l2tpd) should get you
started. Alternative, you can use my
RPM
processed through alien, as reported by Nicolas Pouvesle:
문득 네트워크 대역폭을 느릴 이유가 있어서
본딩을 검색하다 보니 Teaming이라는 용어가 나오길래 한번 검색을 해보았다.
근원은 집합연결 이고
하위 기술로 Ethernet bonding, NIC teaming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술의 근원은 과거 네트워크가 느렸기 때문 속도의 제약을 뛰어넘고,
안정성의 확보를 위해(단일 링크일 경우 하나만 끊어지면 전체망이 죽어 버리므로) 사용해왔다고 한다.
Other terms for link aggregation include Ethernet bonding, NIC teaming, Trunking, port channel, link bundling, EtherChannel, Multi-link trunking (MLT), NIC bonding, network bonding,[1]Network Fault Tolerance (NFT), Smartgroup (from ZTE), and EtherTrunk (from Huawei).
Link aggregation addresses two problems with Ethernet connections: bandwidth limitations and lack of resilience.
With regard to the first issue: bandwidth requirements do not scale
linearly. Ethernet bandwidths historically have increased by an order of magnitude each generation: 10 Megabit/s,
100 Mbit/s, 1000 Mbit/s, 10,000 Mbit/s. If one started to bump into
bandwidth ceilings, then the only option was to move to the next
generation which could be cost prohibitive. An alternative solution,
introduced by many of the network manufacturers in the early 1990s, is
to combine two physical Ethernet links into one logical link via channel bonding. Most of these solutions required manual configuration and identical equipment on both sides of the aggregation.[2]
The second problem involves the three single points of failure
in a typical port-cable-port connection. In either the usual
computer-to-switch or in a switch-to-switch configuration, the cable
itself or either of the ports the cable is plugged into can fail.
Multiple physical connections can be made, but many of the higher level protocols were not designed to failover completely seamlessly.
On 802.11 (Wi-Fi) channel bonding is used in "Super G" technology, also referred as 108Mbit/s. It bonds two channels of classic 802.11g, which has 54Mbit/s signaling rate.
예전에 사놓은 콘덴서 마이크 모듈(?)을 어떻게 연결해야 하나 몰라서 썩혀두고 있던 정체불명의 녀석인데(일단 SKT444 라는 품명이라고 하던데 데이터시트가 없다 -_-)
아무튼, 극성은 아래와 같이 잰다고 한다.
1. MIC의 깡통부분과 극성 부분을 저항으로 측정하여 저항이 낮은쪽이 GND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은쪽(혹은 저항이 무한대가 아닌쪽)이 음성신호가 나가는 쪽이다.
아래의 제품에서는 깡통부분으로 이어지는 선이 보이고, 이녀석이 GROUND 부분이다. 참고로 콘덴서 마이크는 전원이 입력되어야 작동을 한다.(고 한다.)
2. 일반 3.5파이 이어폰을 싹둑! 해서 보자면 꼽는곳을 앞쪽이라고 가정하고, 가장 뒷쪽이 GROUND, 가장 앞쪽이 LEFT 이다.(기존의 모노 이어폰은 3극이 아니라 2극인데 LEFT로 연결됨) 그리고 가운데는 RIGHT인데 콘덴서 마이크의 경우 이 극성을 통해 전원을 공급해준다.
그리고 사운드카드에서 증폭을 하던 안하던, 일단 MIC 쪽으로는 1V가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10V DC에 연결했음 읽는법은 셀프~)
2개의 컴퓨터가 있어서 따로따로 측정해보니, 메인보드 별로 MIC에 인가되는 전원이 다른것 같다. 다른 녀석은 2V가 인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