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버전 정보를 보니 초기버전이다.
현재 올라온건 2009년 버전으로 1.1.0.15 버전인데 이녀석은 1.0.0.3으로 극초기형이다
그래서 펌웨어 받고 업그레이드 했는데..
성격이 급한 죄로.. 업그레이드가 덜 되었는데 전원을 뽑는 바람에 켜지질 않는다. -_-
일단 연결된 랜선에는 불이 들어 오지만, POWER LED에는 불이 들어오지 않고 있는 상황
그냥 컴퓨터에 연결하니 인터넷은 연결되는거 보면 관리기능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상이 없이 작동하나보다.
Menu options: --------[1m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0m-----------------------
? - Displays Help information
initialize - Reset the device to factory default, except IP.
ipSetup - Configures IP address.
logout - Logout from this session.
ping - Ping a remote station.
password - Change password.
reboot - Power cycles the device.
summary - Summarises IP setup and software versions.
upgrade - Software upgrade over TFTP.
Type ? for help.
_M#]
신기한건.. 로그인은 안바뀌고..
CLI를 통해 접속하여 건드리는 부분도 회사의 것과는 다른 모습 -_-
Login: admin
Password:
Menu options: --------3Com Baseline Switch 2226-SFP Plus-----------------------
? - Displays Help information
initialize - Reset the device to factory default, except IP.
ipSetup - Configures IP address.
logout - Logout from this session.
ping - Ping a remote station.
password - Change password.
reboot - Power cycles the device.
summary - Summarises IP setup and software versions.
upgrade - Software upgrade over TFTP.
Type ? for help.
아래는 원래 회사에서 사용하던 녀석의 도움말(메뉴얼 캡쳐)
<Command-Line> ?
display Display current system information
ip IP configuration commands in an interface
localuser Configure WEB user manager
ping Ping function
quit Exit from current command view
reboot Reset device
restore Restore configuration
save Save current configuration
undo Cancel current setting
결론 : 웹페이지 개발회사였는거 같은데.. 담배를 얼마나 폈길래 허브에서 담배 냄새가 솔솔 날까..
팬이 없어서 방안 가득 니코틴이 채워지진 않아 다행이지만... 머랄까....
작동시간이 길어지면서 열이 나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조금씩 은은하게(!) 퍼지는 느낌이랄까?!
진짜결론 : 진득하게 기다리자 ㅠ.ㅠ
괜히 개고생하지 말구!
사족 : 이녀석 업데이트 참 특이하게 한다. 웹으로 올리고 리부팅하고, 리부팅 이후에 응답이 없는데 그 때 업데이트를 한다.
업로드 중 3분간도 먹통이 되고(왜 100Mbps의 0.01% 속도로 밖에 못 받냐고 -_-)
다 받고 나면 업그레이드 안되어 있고!
리부팅 하고 나면서 그제서야 업그레이드를 시작하는데 별티도 안나고 후우.. 빡신녀석이다 ㅠ.ㅠ
자세히 보니, 끝에 H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26H는 현재 생산중이고 26은 단종되었다.
The MII may be used to connect the MAC to an external PHY via a
pluggable connector (see photo), or to connect a MAC chip to a PHY chip
on the same printed circuit board.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Media_Independent_Interface] MII
결론만 말하자면 "안된다"
드물게 다른 기종간에 되는것이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저 예외 조차도, 공정만 바뀐 동일 코어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돈 버리지 말구 그냥 싼걸 사서 SLI 다시 구축해야겠다 -_-
In an SLI configuration, cards can be of mixed manufacturers, card model names, BIOS revisions or clock speeds. However, they must be of the same GPU series (e.g. 8600, 8800) and GPU model name (e.g. GT, GTS, GTX). There are rare exceptions for "mixed SLI" configurations on some cards that only have a matching core codename (e.g. G70, G73, G80, etc.), but this is otherwise not possible, and only happens when two matched cards differ only very slightly, an example being a differing amount of video memory, stream processors, or clockspeed. In this case, the slower/lesser card becomes dominant, and the other card matches. Another exception is the GTS 250, which can SLI with the 9800 GTX+, as the GTS 250 GPU is a rebadged 9800 GTX+ GPU.
채널본딩(channel bonding), NIC teaming 등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이다.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Intel 이나 Broadcom 의 랜카드를 사용해서 Teaming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허브에서 설정을 잡아주는 지는 일단 미지수 -_-
(정확하게 이 프로토콜이 하는 역활을 모르겠다. 일단 보유중인 3com 허브는 static 설정밖에 없던디..)
관리용 허브를 처음만져 보는데, VLAN이라는 용어가 눈에 띄었다.
설정은 해보진 않았지만
하나의 허브를 내부적으로 나누어쓰는 방법으로
간단하게는 포트단위로 허브를 분할하여 쓰는식인듯.
24 Fast ethernet + 2 GbE 라면
12 Fast ethernet + 1 GbE / 12 Fast ethernet + 1 GbE 식으로 두개로 나누어 쓰는 식으로도 가능할듯.
VLAN[뷔랜]은
지리적인 위치가 아닌, 다른 것(예를 들면, ① 접속 포트 단위 ② MAC
주소나 IP 주소 단위 ③ 프로토콜
단위 등)에 기반을 두고 워크스테이션을 사상(寫像)하는 개념을 가진 근거리통신망이다.
VLAN 콘트롤러는 물리적인 근거리통신망에 비해, 좀더 쉽게 워크스테이션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부하조절과 대역폭
할당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네트웍 관리 소프트웨어가
실제 물리적인 그림을 써서, 관련된 가상 랜의 모습을 추적 관리한다.
VLAN은 캠퍼스 환경의 네트웍과 함께 사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VLAN을
지원하는 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보이는 업체로는 시스코, 베이네트웍스, 그리고 3Com 등이 있다.
Gigabit Combo Ports
The 2 Gigabit combo ports support fiber Gigabit Ethernet short-wave (SX) and long-wave (LX) SFP transceivers in any combination. This offers you the flexibility of using SFP transceivers to provide connectivity between the Switch and a 1000 Mbps core network. When an SFP port is in operation, the corresponding 1000BASE-T port is disabled. The 1000 Mbps connections can only operate in full duplex mode.
네트워크 카드를 묶어서 사용하는것으로 teaming / channel boding 식으로 부르는데
Intel Pro/100 이런 구형 카드도 지원하는것으로 보인다.
2010.12.16 추가
어쩌면 Pro/100 이라도 Server 나 Management 급에서만 되고 Desktop 은 안되는걸려나?
Supported Adapters Teaming options are supported on
Intel® PRO/100, PRO/1000, PRO/10GbE, Gigabit, and 10 Gigabit server
adapters and the Intel® Gigabit CT Desktop Adapter. Teaming options are
supported on Intel desktop adapters if there is at least one server
adapter installed. Selected LAN adapters and LAN on Motherboard (LOM)
connections from other manufacturers are also supported on a best effort
b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