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2010. 10. 20. 13:45
테이프를 이용한 대용량 백업장치라는 점은 동일하지만
LTO는 HP, IBM, Seagate 합동
DLT는 DEC의 기술이다.

LTOHP, IBM 및 Seagate 등의 공동노력으로 개발된 백업 테이프 시스템을 위한 개방형 표준
[링크 : http://www.terms.co.kr/LTO.htm]

Digital Linear Tape (DLT) (previously called CompacTape) is a magnetic tape data storage technology developed by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EC) from 1984 onward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Linear_Tape]

DLT는 컴퓨터 테이프 드라이브의 저장 용량과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에 개발된 기술 중 하나이다. 이와 경쟁하고 있는 테이프 저장 장치들로, LTO 드라이브, AIT 드라이브, 맘모스 드라이브 등이 있다.
[링크 : http://www.terms.co.kr/DLT.htm]


LTO <-> DLT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Linear_Tape]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Linear_Tape-Open]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ps, powerPC  (0) 2010.12.02
콘덴서 마이크 자작하기  (0) 2010.11.07
AWG - American Wiring Gauge  (0) 2010.10.20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VRM with P3-1Ghz  (0) 2010.10.1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0. 20. 09:24
랜선에는 24AWG라고 써있고, 파워 서플라이를 구매하려고 보다보니 18AWG 라고 써져있었다.


검색을 해보니, AWG는 선의 굵기나 저항등을 정의한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굵은선이라는 의미가 된다.

AWG Diameter Turns of wire Area Copper
resistance[6]
NEC copper wire
ampacity with 60/75/
90°C insulation (A)[7]
Approximate
stranded metric
equivalents
(inch) (mm) (per inch) (per cm) (kcmil) (mm²) (Ω/km) (Ω/kFT)
0000 (4/0) 0.4600 11.684 2.17 0.856 212 107 0.1608 0.04901 195 / 230 / 260
000 (3/0) 0.4096 10.404 2.44 0.961 168 85.0 0.2028 0.06180 165 / 200 / 225
00 (2/0) 0.3648 9.266 2.74 1.08 133 67.4 0.2557 0.07793 145 / 175 / 195
0 (1/0) 0.3249 8.252 3.08 1.21 106 53.5 0.3224 0.09827 125 / 150 / 170
1 0.2893 7.348 3.46 1.36 83.7 42.4 0.4066 0.1239 110 / 130 / 150
2 0.2576 6.544 3.88 1.53 66.4 33.6 0.5127 0.1563 95 / 115 / 130
3 0.2294 5.827 4.36 1.72 52.6 26.7 0.6465 0.1970 85 / 100 / 110 196/0.4
4 0.2043 5.189 4.89 1.93 41.7 21.2 0.8152 0.2485 70 / 85 / 95
5 0.1819 4.621 5.50 2.16 33.1 16.8 1.028 0.3133
126/0.4
6 0.1620 4.115 6.17 2.43 26.3 13.3 1.296 0.3951 55 / 65 / 75
7 0.1443 3.665 6.93 2.73 20.8 10.5 1.634 0.4982
80/0.4
8 0.1285 3.264 7.78 3.06 16.5 8.37 2.061 0.6282 40 / 50 / 55
9 0.1144 2.906 8.74 3.44 13.1 6.63 2.599 0.7921
84/0.3
10 0.1019 2.588 9.81 3.86 10.4 5.26 3.277 0.9989 30 / 35 / 40
11 0.0907 2.305 11.0 4.34 8.23 4.17 4.132 1.260
56/0.3
12 0.0808 2.053 12.4 4.87 6.53 3.31 5.211 1.588 25 / 25 / 30 (20)
13 0.0720 1.828 13.9 5.47 5.18 2.62 6.571 2.003
50/0.25
14 0.0641 1.628 15.6 6.14 4.11 2.08 8.286 2.525 20 / 20 / 25 (15)
15 0.0571 1.450 17.5 6.90 3.26 1.65 10.45 3.184
30/0.25
16 0.0508 1.291 19.7 7.75 2.58 1.31 13.17 4.016 — / — / 18 (10)
17 0.0453 1.150 22.1 8.70 2.05 1.04 16.61 5.064
32/0.2
18 0.0403 1.024 24.8 9.77 1.62 0.823 20.95 6.385 — / — / 14 (7) 24/0.2
19 0.0359 0.912 27.9 11.0 1.29 0.653 26.42 8.051
20 0.0320 0.812 31.3 12.3 1.02 0.518 33.31 10.15
16/0.2
21 0.0285 0.723 35.1 13.8 0.810 0.410 42.00 12.80
13/0.2
22 0.0253 0.644 39.5 15.5 0.642 0.326 52.96 16.14
7/0.25
23 0.0226 0.573 44.3 17.4 0.509 0.258 66.79 20.36

24 0.0201 0.511 49.7 19.6 0.404 0.205 84.22 25.67
1/0.5, 7/0.2, 30/0.1
25 0.0179 0.455 55.9 22.0 0.320 0.162 106.2 32.37

26 0.0159 0.405 62.7 24.7 0.254 0.129 133.9 40.81
7/0.15
27 0.0142 0.361 70.4 27.7 0.202 0.102 168.9 51.47

28 0.0126 0.321 79.1 31.1 0.160 0.0810 212.9 64.90

29 0.0113 0.286 88.8 35.0 0.127 0.0642 268.5 81.84

30 0.0100 0.255 99.7 39.3 0.101 0.0509 338.6 103.2
1/0.25, 7/0.1
31 0.00893 0.227 112 44.1 0.0797 0.0404 426.9 130.1

32 0.00795 0.202 126 49.5 0.0632 0.0320 538.3 164.1
1/0.2, 7/0.08
33 0.00708 0.180 141 55.6 0.0501 0.0254 678.8 206.9

34 0.00630 0.160 159 62.4 0.0398 0.0201 856.0 260.9

35 0.00561 0.143 178 70.1 0.0315 0.0160 1079 329.0

36 0.00500 0.127 200 78.7 0.0250 0.0127 1361 414.8

37 0.00445 0.113 225 88.4 0.0198 0.0100 1716 523.1

38 0.00397 0.101 252 99.3 0.0157 0.00797 2164 659.6

39 0.00353 0.0897 283 111 0.0125 0.00632 2729 831.8

40 0.00314 0.0799 318 125 0.00989 0.00501 3441 1049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n_wire_gauge]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덴서 마이크 자작하기  (0) 2010.11.07
LTO / DLT  (2) 2010.10.20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VRM with P3-1Ghz  (0) 2010.10.11
MEMS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0) 2010.09.19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LI2010. 10. 18. 00:40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AMD 4600+ x2 (65W)
Nvidia 8600GT 540Mhz (레퍼런스)
Nvidia 8600GT 600Mhz (오버)
시스템이다.
그런데 파워가 400W 이다보니, SLI cuda로 boinc(seti@home)을 돌리는 순간 전원이 나가버린다.

대충 찾아보니, 8600GT 600Mhz 오버 버전의 풀로드 전력 소비량은 대략 195W
2개면은 대략 그래픽 카드만 400W cpu에서 100W
그러다 보면 500W 전원으로도 빠듯한 느낌이 든다.

그런데.. 예전에 메인보드 판 사람은 450W로도 잘 돌렸다는데.. 8600GT 급도 아닌
그 이하급인가?


[링크 : http://www.neoseeker.com/Articles/Hardware/Reviews/xfx_8600_gt/10.html]


메인보드는 Asus M2N-SLI 이다(E Deluxe 이런거 아님)
검색을 해보니 업데이트를 통해 페넘2-x4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AM2 보드다 보니 어느정도 성능저하는 감수해야 할지도?)

M2N-SLI



[링크 : http://support.asus.com/cpusupport/cpusupport.aspx?SLanguage=en-us]

BIOS 정식버전은 1002 이며, 신버전은 전부 베타버전이다. -_-
BIOS (8) [BIOS 기록]

[링크 : http://support.asus.com/download/download.aspx?SLanguage=ko-kr]



---
2011.10.06 추가
[링크 : http://www.asus.com/Motherboards/AMD_AM2/M2NSLI/#CPUS

'하드웨어 > S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I 머가 문제야! ㅠ.ㅠ  (0) 2010.10.26
파워 600W  (3) 2010.10.21
nvidia sli  (2) 2010.10.17
메인보드 부팅 지연관련  (0) 2010.10.13
ASUS M2N-SLI  (6) 2010.10.12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LI2010. 10. 17. 22:57
SLI 메인보드의 문제인지 초기부팅이 오래걸린다.
IDE를 오랫동안 못 찾고 한참뒤에야 부팅하는건 Western Digital IDE 하드의 점퍼셋팅의 불량이었고
(원래 하나의 케이블에 HDD / CDROM이 달려있었는데 그걸 빼고는 확인을 안했으니 -_-)
그 외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어보인다. 다음주말이나 주중에 시간을 내서 OS를 재설치를 해봐야 할 듯.


아무튼 NVIDIA 8600GT 가 원래 장착되어 있던 시스템이라
메인보드만 교체하고 기존에 설치된 OS/드라이버가 알아서 인식을 했다.

SLI 를 위한 골드핑거도 연결해주고 일단 부팅!

SLI 및 PhysX 구성에서
SLI 사용/사용안함에 따라 내용이 달라진다.


머.. 벤치마크를 안해보니 알수가 있나 -_-
게임이라도 해야지 티가 날텐디!

------
BOINC seti@home에서 GPU 가속을 해놓으니 바로죽어 버린다 -_-
아마도 400W 밖에 안되는 묻지마 파워라서 힘이 딸리는 듯

'하드웨어 > S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I 머가 문제야! ㅠ.ㅠ  (0) 2010.10.26
파워 600W  (3) 2010.10.21
SLI 그리고 파워 그리고 메인보드  (0) 2010.10.18
메인보드 부팅 지연관련  (0) 2010.10.13
ASUS M2N-SLI  (6) 2010.10.12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LI2010. 10. 13. 21:38
하드도 연결안하고 부팅하는데도 Disk failure 메시지 까지 1분 넘게 걸리는건 다른 문제가 아닐려나?

아무튼 ASUS AMD 메인보드 AS를 맡고 있는 디지털그린텍에 전화하니
BIOS 5xxx 대나 1xxx 대의 펌웨어로 업데이트 해보거나 AS 보내라고 한다.
AS 정책상 중고구매던 상관없이 메인보드 자체의 AS 기간을 따지니까 일단 보내라는 착한 녀석들 -ㅁ-b

그리고 판매자에게 물어봤지만
450W 에 별다른 문제 없이 잘 쓰던 녀석이라 (단 IDE로는 안해봤다고 하지만) 갸우뚱 갸우뚱

아무튼.. 이 먼가 찜찜한 상황.. 후우..
ATI 그래픽 카드도 아니고 Geforce 8600GT x 2 인데도 왜이래?!

The M2N-E SLI motherboard indeed has a compatibility problem when using HD5xxx based ATI graphics adapters (I am using a Sapphire Radeon HD5770). It takes about 55 seconds and several hard drive and FAN spin-ups before the POST continues with its initial beep.

After doing some analysis on that issue with my computer (measuring total power consumption, disconnecting all 12V and 5V consumers, checking the PSU's power-good signal, trying another PSU, ...) I was finally sure that this was not a problem of the PSU, which I had suspected initially. I also read that other ASUS boards (M2N-E, M2N-SLI, P5N32-SLI SE Deluxe, ...) suffered the same problem, for some a solution (BIOS patch) was available.

So I decided to contact ASUS Germany support on that matter and after some mail exchange they too were convinced that the PSU is not to blame and forwarded the problem to Taiwan for deeper analysis. Two days ago I finally got a new BIOS (version 1205). I flashed it and the problems were gone. The mainboard now comes up normally, the 55 seconds delay has disappeared.

I have already confirmed to ASUS that the BIOS is working, so I assume it will be available for download, soon.

So, please do NOT try to flash a BIOS (such as M2N-E) that is not intended to be used on your mainboard type, even if the name is similar and therefore suggests it could be. The M2N-E SLI is a different board, the BIOS therefore has a different version number.

I asked ASUS whether or not I can distribute this inofficial BIOS version. When they confirm I will make it available for download.



[링크 :  http://vip.asus.com/forum/view.aspx?id=20100106060438859]
>>    [링크 :  http://vip.asus.com/forum/view.aspx?id=20100319145325484]

Do you have your HD and Optical Drive on the same IDE channel? If so, plug the HD into one channel and the optical drive in the other. Check to see that the HD is set to master and not cable select on the jumper settings. Also if you have multiple hard drives in the system, unplug the storage drive and see if the main drive smartens up. Hope that helps.

[링크 :  http://forum.ncixus.com/forums/index.php?mode=showthread&msg_id=1480184]



2010.10.14 추가
BIOS 업데이트 해도 여전히 POST를 넘어가는데 1분이 걸린다 -_-

'하드웨어 > S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I 머가 문제야! ㅠ.ㅠ  (0) 2010.10.26
파워 600W  (3) 2010.10.21
SLI 그리고 파워 그리고 메인보드  (0) 2010.10.18
nvidia sli  (2) 2010.10.17
ASUS M2N-SLI  (6) 2010.10.12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SLI2010. 10. 12. 23:31
메인보드 이상인지 파워부족인지, 부팅하는데 뻥좀 쳐서 10분 걸린다 -_-
하드를 찾는데 몇분 걸리고, 부팅하고 나서도 버버버버버 -_-!



아무튼, 골드핑거(금색이라 그런가 !) / SLI 브릿지를 연결하고 찰칵!
(그래봤자 아직 제대로 작동도 못시켜봤다)


아무튼.. 군대 간 이후로 그렇게 고대하던 SLI 시스템 드디어 구축 ㅠ.ㅠ
하아.. 거의 10년 걸렸구나.. (그러기에는 너무 저렴한 성능 ㅠ.ㅠ)



2010.10.18 추가
IDE 점퍼 설정의 오류로 부팅이 오래걸렸다 -_-
웨스턴 디지털은 Master / Single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데 확인안한 내탓 ㅠ.ㅠ
아무튼, POST 단계에서 삑 소리 나기 까지 10여초 걸리는건 어떻게 해결 하는법이 없을려나
아니면 nVidia SLI 칩셋 자체의 문제일려나?

'하드웨어 > S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I 머가 문제야! ㅠ.ㅠ  (0) 2010.10.26
파워 600W  (3) 2010.10.21
SLI 그리고 파워 그리고 메인보드  (0) 2010.10.18
nvidia sli  (2) 2010.10.17
메인보드 부팅 지연관련  (0) 2010.10.1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0. 12. 10:37
펜4 1.6 기가 메인보드에 그래픽 카드를 꼽으려니 안되서 다른 카드를 보니 슬롯이 달랐다.
위의것은 쿼드로 2 이고, 아래것은 ATi rage pro 이다.

위키의 내용을 보면,
ATi Rage 는 1.5V AGP 이고, 쿼드로2는 3.3V/1.5V 겸용이거나 유니버셜인것으로 생각된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Accelerated_Graphics_Port]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O / DLT  (2) 2010.10.20
AWG - American Wiring Gauge  (0) 2010.10.20
VRM with P3-1Ghz  (0) 2010.10.11
MEMS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0) 2010.09.19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0. 10. 11. 11:19
HP Proliant ML350 모델에 CPU가 하나뿐이라 어떤걸 사용하나 보다보니 메인보드에 신기한게 뽑혀있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 녀석이 바로 그녀석인데

검색을 해보니 VRM 은 Voltage Regulator Module의 약자로
일종의 DC-DC regulator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게 반드시 있어야 작동하는지 안하는지는 일단 모름 -_-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Voltage_regulator_module]
[링크 : http://www.terms.co.kr/VRM.htm]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G - American Wiring Gauge  (0) 2010.10.20
AGP (Accelated Graphics Port)  (4) 2010.10.12
MEMS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0) 2010.09.19
Nvidia 8600GT core + cooler  (0) 2010.07.17
기가비트 이더넷 PCI 랜카드 - about PCI GbE  (4) 2010.07.14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모터(motor)2010. 10. 2. 11:33
우연히(?) 뽀려온 스텝모터 스펙도 모르는 지라 -_-
일단 분해 고고싱

상단

하단(이거 검색해도 alldatasheet에서 안나옴 ㅠ.ㅠ)

요따구로 생긴 드라이버로 해체

말랑말랑 고무고무! (열매?)

기판과 코일 그리고 중앙의 베어링

파란색의 회전자에는 자세히 보면 |||| 이런식으로 극성을 위한 철(?)이 있다.

코일쪽에도 오돌도돌하게 무언가가 있다.


스텝모터 원리로 보니 하이브리드 스텝모터인것으로 추측된다.
아니면 말고 -_-

HYBRID / UNIFILAR / BIPOLAR 타입이려나?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모터(motor)2010. 9. 25. 23:45
스텝모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가 그런걸 알리가!)

일단 현재 아는 정보는
스텝모터는
unifilar(유니파일러/1선), bifilar(바이파일러/2선) 방식으로 코일을 감으며
unipolar(유니폴라/단극성), bipolar(바이폴라/양극성) 방식으로 나뉜다.

유니폴라/바이폴라는 전기를 흘리는 방식으로
모터에 따라 두가지 모두 사용가능한 모터도 존재한다.

그리고 회전자(rotor)의 방식에 따라
PM(영구자석) / VR(전자석) / HB(하이브리드) 세가지가 존재하며
가격도 PM < VR < HB 순으로 안드로메다 고고싱

[링크 : http://keom.khu.ac.kr/keomwiki/moin.cgi/스태핑모터]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