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관련 > 수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텐서 합 (0) | 2021.06.22 | 
|---|---|
| 텐서 곱 (0) | 2021.06.14 | 
| 데이터 사이언스 / 사이언티스트 (0) | 2019.12.09 | 
| 선형대수학 (0) | 2019.12.09 | 
| Finite Field / Galois field / 유한체 (2) | 2010.11.05 | 
| 텐서 합 (0) | 2021.06.22 | 
|---|---|
| 텐서 곱 (0) | 2021.06.14 | 
| 데이터 사이언스 / 사이언티스트 (0) | 2019.12.09 | 
| 선형대수학 (0) | 2019.12.09 | 
| Finite Field / Galois field / 유한체 (2) | 2010.11.05 | 
마지막 상태를 기억하는 릴레이
전자기기 에서 리모콘으로 전원 ON 해두고 다시 켜면은 마지막 상태인 ON으로 되는데
어떻게 상태를 저장하나.. 궁금했는데
하드웨어적으로 전원부 스위치가 래칭 릴레이를 사용한다면 복잡하게 생각 할 필요가 없어진다.
[링크 : http://kor.pe.kr/make/reference/latching_relay/?ckattempt=1]
ER 이런것 처럼 data model중 하나로
EAV 는 일종의.. 비정형 데이터 그러니까 로그 스타일? 머 이런 느낌인듯
영문위키를 번역해서 보는데 의료정보 쪽에서 촉발(?)된 비정형 데이터 처리에 대한 방법으로 보이기도 한다.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Entity%E2%80%93attribute%E2%80%93value_model]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Data_model]
[링크 : https://wsjoung.tistory.com/91]
[링크 : https://snowple.tistory.com/359]
[링크 : https://gojjc.tistory.com/entry/Entity%E2%80%93attribute%E2%80%93value-model]
[링크 : http://wiki.gurubee.net/pages/viewpage.action?pageId=15630354]
| zmmu gen-z (0) | 2020.09.07 | 
|---|---|
| async와 non block (0) | 2020.01.20 | 
| ETL - Extract Transform Load (0) | 2019.12.11 | 
| SAS expander (0) | 2019.11.02 | 
|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 2019.10.28 | 
ETL은 어떤 특정 분야의 단어인건가?
단순하게 생각하면.. 추출해서 변형하고 다시 적재하는거..
어떠한 복잡한 행위보다는 형상의 변화에만 맞춰진것 같긴한데
데이터가 데이터인지라 그걸 손실없이 변형하는게 쉽지 않다는게 문제..
연관검색어는 CDM ETL 인가
[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추출,_변환,_적재]
[링크 : https://itholic.github.io/etl/]
[링크 : https://brownbears.tistory.com/410]
+
아래는 기사. .한번 읽어 볼만한 듯
[링크 : http://www.itworld.co.kr/news/106925] ETL 시대의 종말
| async와 non block (0) | 2020.01.20 | 
|---|---|
| EAV - Entitiy Attribute Value (0) | 2019.12.15 | 
| SAS expander (0) | 2019.11.02 | 
|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 2019.10.28 | 
| sql join 집합별 쿼리(차집합, 교집합 등등) (0) | 2019.10.22 | 
이번년도 한 것이 이런 부류의 일이었구나.. 라는걸 이제야 찾아보게 된다.
어떤 의미로 이번에 한건.. 수작업으로 한 빅데이터 경향성 추출 작업?
그게 바로 데이터 사이언스 인데..
선형대수학 이야기도 나오고.. 수학적 기반이 수능과 함께 리셋된 나로서는 이해가 안될수 밖에..
다시 정석책이랑 수학, 통계를 좀 봐야지 살아 남을려나..
그게 아니라면 데이터 사이언스가 아닌 다른 분야를 하는게 나으려나 고민이 된다.
[링크 : https://blog.pabii.co.kr/lessons-learned-after-7-cycles-data-science-classes/]
[링크 : http://blog.ab180.co/data-science-with-r-1-misperception/]
대학교때 필요한건 안듣고 날렸나.. 왜 기억이 안나지?
무료 공개된 동영상 강의라도 보면서 다시 공부를 좀 쌓아 올려야겠다.
[링크 : https://ko.khanacademy.org/math/linear-algebra]
[링크 : http://matrix.skku.ac.kr/SKKU-LA-FL-Model/SKKU-LA-FL-Model.htm]
[링크 : https://www.inflearn.com/roadmaps/22?gclid=CjwKCAiA...E]
| 텐서 합 (0) | 2021.06.22 | 
|---|---|
| 텐서 곱 (0) | 2021.06.14 | 
| 맵핑 (0) | 2019.12.27 | 
| 데이터 사이언스 / 사이언티스트 (0) | 2019.12.09 | 
| Finite Field / Galois field / 유한체 (2) | 2010.11.05 | 
USB 허브 같은 느낌으로 SAS 포트를 늘리는거라는데
내부적으로는 대역폭을 더 늘려놓고 그걸로 나누는거라
실 성능에는 저하가 없다고 한다. (근데 그게 어떻게 가능하지?)
| EAV - Entitiy Attribute Value (0) | 2019.12.15 | 
|---|---|
| ETL - Extract Transform Load (0) | 2019.12.11 | 
|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 2019.10.28 | 
| sql join 집합별 쿼리(차집합, 교집합 등등) (0) | 2019.10.22 | 
| SPICE (0) | 2019.08.23 | 
쉬고 있는 데이터일리는 없으니 검색을 하는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data at rest라고 하는 듯?
아무래도 데이터가 살아나려면 메모리로 올라와야 하니.. 그렇게 표현하는건가?
[링크 : https://blog.naver.com/cososyskorea/221243921730]
| Data at rest in information technology means inactive data that is stored physically in any digital form | 
| ETL - Extract Transform Load (0) | 2019.12.11 | 
|---|---|
| SAS expander (0) | 2019.11.02 | 
| sql join 집합별 쿼리(차집합, 교집합 등등) (0) | 2019.10.22 | 
| SPICE (0) | 2019.08.23 | 
| overlay FS (0) | 2019.07.18 | 

[링크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33052/Visual-Representation-of-SQL-Joins]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560471/how-to-exclude-rows-that-dont-join-with-another-table]
| SAS expander (0) | 2019.11.02 | 
|---|---|
|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 2019.10.28 | 
| SPICE (0) | 2019.08.23 | 
| overlay FS (0) | 2019.07.18 | 
| bbs and oprom (0) | 2019.06.05 |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ISO15504, SPICE
[링크 : https://rakuraku.tistory.com/93]
[링크 : http://www.jidum.com/jidums/view.do?jidumId=292]
ISO/IEC 33000번대 번호를 부여받아 33001~33099 까지 표준 작업
[링크 : http://www.abni.net/bbs/content.php?co_id=consulting_spice]
| data at rest (저장데이터) (0) | 2019.10.28 | 
|---|---|
| sql join 집합별 쿼리(차집합, 교집합 등등) (0) | 2019.10.22 | 
| overlay FS (0) | 2019.07.18 | 
| bbs and oprom (0) | 2019.06.05 | 
| CVE CWE CPE CVSS SCAP (0) | 2019.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