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나 집에서는 안들리던 ATIC 방송이 잘 들림.
그런데 해당 방송은 비행기에서는 안듣는건가?
'개소리 왈왈 > 아마추어무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녕 rtl sdr (0) | 2023.03.20 |
---|---|
안테나 수리 (0) | 2022.08.20 |
liveatc (0) | 2021.12.29 |
iss 주파수 (0) | 2021.12.19 |
아부지 HAM 장비 뽀려뽀려 (0) | 2021.12.18 |
회사나 집에서는 안들리던 ATIC 방송이 잘 들림.
그런데 해당 방송은 비행기에서는 안듣는건가?
안녕 rtl sdr (0) | 2023.03.20 |
---|---|
안테나 수리 (0) | 2022.08.20 |
liveatc (0) | 2021.12.29 |
iss 주파수 (0) | 2021.12.19 |
아부지 HAM 장비 뽀려뽀려 (0) | 2021.12.18 |
ICN이나 GMP로 검색해도 안나오는게.. 한국 공항쪽은 서비스 중이지 않은 듯?
[링크 : https://www.liveatc.net/]
안테나 수리 (0) | 2022.08.20 |
---|---|
김포공항 근처 다녀옴 (0) | 2021.12.29 |
iss 주파수 (0) | 2021.12.19 |
아부지 HAM 장비 뽀려뽀려 (0) | 2021.12.18 |
김포공항 관제 주파수 (0) | 2021.10.25 |
기본계정은 root / orangepi
전원은 micro USB / OTG 포트로 공급해주니 문제없이 작동한다.
microSD를 꽂지 않으면 power LED 조차 안들어 오는건가?
htop 신버전인가 cpu 온도랑 클럭 주파수가 나오네?
아무튼 1.8GHz랑 480MHZ랑 1초간격으로 오가는걸 보면 최적화는 잘 되어있지 않은듯(idle인데도)
/dev/mmcblk2 가 eMMC 같은데 이녀석만으로 독립 부팅이 가능하려나?
# fdisk -l Disk /dev/mmcblk0: 14.86 GiB, 15931539456 bytes, 31116288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e672dc9f 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 /dev/mmcblk0p1 8192 30805119 30796928 14.7G 83 Linux Disk /dev/mmcblk2: 7.29 GiB, 7818182656 bytes, 15269888 sectors Units: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2d07f978 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 /dev/mmcblk2p1 8192 15117183 15108992 7.2G 83 Linux Disk /dev/zram0: 50 MiB, 52428800 bytes, 12800 sectors Units: sectors of 1 * 4096 = 4096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4096 bytes / 4096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4096 bytes / 4096 bytes Disk /dev/zram1: 994.69 MiB, 1042993152 bytes, 254637 sectors Units: sectors of 1 * 4096 = 4096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4096 bytes / 4096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4096 bytes / 4096 bytes |
#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Processor : AArch64 Processor rev 4 (aarch64) Hardware : sun50iw1p1 BogoMIPS : 48.00 Features : fp asimd evtstrm aes pmull sha1 sha2 crc32 cpuid CPU implementer : 0x41 CPU architecture: 8 CPU variant : 0x0 CPU part : 0xd03 CPU revision : 4 |
OrangePi_install2EMMC.sh
파일을 찾아서 eMMC에 설치하고 독립적으로 켤 수 있으면 좋겠네?
[링크 : https://forum.armbian.com/topic/9368-orangepi-3-h6-allwiner-chip/page/23/]
orangepi-config (0) | 2021.12.31 |
---|---|
orange pi 3, 3 lts (0) | 2021.12.31 |
orange pi 3 (0) | 2021.12.30 |
orange pi gpio (0) | 2021.12.28 |
orange pi 3 사양 (0) | 2021.12.27 |
사이트는 느리고, 내용은 부실하고..
wiringpi 프로젝트가 유지되지 않는걸로 알고 있는데
잔재(?)는 남아 사실상 표준이 되어가는 중인가..
orangepi-config (0) | 2021.12.31 |
---|---|
orange pi 3, 3 lts (0) | 2021.12.31 |
orange pi 3 (0) | 2021.12.30 |
orange pi 3 기동 (0) | 2021.12.28 |
orange pi 3 사양 (0) | 2021.12.27 |
일단 성능은 가지고 있는 SBC들 중에 최상급인 듯?
다만 업체 지원이 미비해서 쓰는게 편리하지 않다는게 단점
all winner h6 cortex a53 1.8g quad
mali t720
2g 8g
ir receiver
mic, 이어폰(스테레오. cvbs)
full size hdmi 2.0a 4k 60p
usb otg (pwr)
usb 3.0
gbe
802.11ac, bt5.0
orangepi-config (0) | 2021.12.31 |
---|---|
orange pi 3, 3 lts (0) | 2021.12.31 |
orange pi 3 (0) | 2021.12.30 |
orange pi 3 기동 (0) | 2021.12.28 |
orange pi gpio (0) | 2021.12.28 |
/dev/dsp는 OSS의 일부인데
해당 기능을 활성화 하려면 아래의 모듈을 불러오면 된다고
# modprobe snd-pcm-oss |
아래처럼 하면 소리가 난다는 것 같다.
sudo sh -c 'cat file.wav > /dev/dsp' |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103746/why-wont-linux-let-me-play-with-dev-dsp]
+
2022.01.03
xwxtoimg 에서 해보려고 찾아두고는 얼마나 안해보고 있는거냐..
+
2022.06.08
ubuntu 18.04에서 시도해보았으나 동일한 모듈은 없고.
비슷한걸 찾아서 넣어봐도 /dev/dsp나 sound 등이 생성되진 않았다.
$ grep -rni oss /lib/modules/5.4.0-113-generic/ /lib/modules/5.4.0-113-generic/modules.alias:26312:alias sound-service-?-0 snd_mixer_oss /lib/modules/5.4.0-113-generic/modules.order:1161:kernel/drivers/net/ethernet/alacritech/slicoss.ko /lib/modules/5.4.0-113-generic/modules.order:4550:kernel/sound/core/oss/snd-mixer-oss.ko $ sudo modprobe snd_mixer_oss $ lsmod | grep oss snd_mixer_oss 24576 0 snd 86016 18 snd_hda_codec_generic,snd_seq,snd_seq_device,snd_hda_codec_hdmi,snd_hwdep,snd_hda_intel,snd_hda_codec,snd_timer,snd_pcm,snd_hda_codec_idt,snd_rawmidi,snd_mixer_oss |
+
pulseaudio와 osspd 라는 녀석을 설치하니 뜬다!
$ sudo apt-get install pulseaudio libpulse-dev osspd $ ls -al /dev/dsp crw-rw-rw- 1 root root 14, 3 6월 8 12:14 /dev/dsp |
[링크 : https://askubuntu.com/questions/1025532/initaudi-cannot-open-oss-audio-device-dev-dsp]
rpi gqrx (0) | 2022.01.07 |
---|---|
rtl sdr am (0) | 2022.01.07 |
rtl-sdr noaa 안테나 만들어서 재시도 (0) | 2021.12.27 |
부품 도착! + 공짜 도착! (2) | 2021.12.27 |
wxtoimg linux (0) | 2021.12.26 |
흐음.. 여전하네 머가 문제일까?
이번 변경사항
1. 안테나 만듦
2. hardware gain off / gain 34dB 정도로 고정
여긴 윈도우 버전 (2.11.2 beta)
아 몰라 귀찮아 안할래!!!
rtl sdr am (0) | 2022.01.07 |
---|---|
/dev/dsp snd pcm (0) | 2021.12.27 |
부품 도착! + 공짜 도착! (2) | 2021.12.27 |
wxtoimg linux (0) | 2021.12.26 |
multiple rtl-sdr 사용하기 (0) | 2021.12.26 |
오늘은 크리스마스에 맞춰 산게 죄다 밀려서 오늘 우르르 온 날!
BNC / MCX / SMA 커넥터들
orange pi 3
/dev/dsp snd pcm (0) | 2021.12.27 |
---|---|
rtl-sdr noaa 안테나 만들어서 재시도 (0) | 2021.12.27 |
wxtoimg linux (0) | 2021.12.26 |
multiple rtl-sdr 사용하기 (0) | 2021.12.26 |
rtl-sdr rpi 와 윈도우 드라이버 차이? (0) | 2021.12.25 |
우분투용 패키지로 wxtoimg/xwxtoimg를 설치했는데
장치(사운드카드)로 /dev/padsp, /dev/dsp, /dev/adsp 등으로만 나와서 찾아보는 중.
[링크 : https://forums.opensuse.org/.../512322-WXtoIMG-program-for-APT-satellites-no-dev-dsp-Opensuse-13-2]
[링크 : https://community.libre.space/t/wxtoimg-not-able-to-find-soundcard/7883]
rtl-sdr noaa 안테나 만들어서 재시도 (0) | 2021.12.27 |
---|---|
부품 도착! + 공짜 도착! (2) | 2021.12.27 |
multiple rtl-sdr 사용하기 (0) | 2021.12.26 |
rtl-sdr rpi 와 윈도우 드라이버 차이? (0) | 2021.12.25 |
ISS(국제우주정거장) 궤도 (0) | 2021.12.25 |
grc 파일을 받아서 화살표 왼쪽의 것을 누르면 파이썬 파일로 저장되고
화살표를 누르면 실행되는 척 하다가 바로 Done이 뜬다.
아무튼 혹시나 해서 스크립트를 직접 실행하니 먼가 되는 것 같긴한데
$ ./multi_dongle_s4_8_gqrx_fifo.py gr-osmosdr 0.2.0.0 (0.2.0) gnuradio 3.8.1.0 built-in source types: file osmosdr fcd rtl rtl_tcp uhd miri hackrf bladerf rfspace airspy airspyhf soapy redpitaya freesrp Using device #0 Realtek RTL2838UHIDIR SN: 00000001 Found Rafael Micro R820T tuner [R82XX] PLL not locked! [R82XX] PLL not locked! gr-osmosdr 0.2.0.0 (0.2.0) gnuradio 3.8.1.0 built-in source types: file osmosdr fcd rtl rtl_tcp uhd miri hackrf bladerf rfspace airspy airspyhf soapy redpitaya freesrp Using device #1 Realtek RTL2838UHIDIR SN: 00000001 Found Fitipower FC0012 tuner Press Enter to quit: |
gqrx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넣어서 하라는데,
홈페이지의 인자와 생성된 파일이 변수가 달라서 재생이 2배속을 되거나 1/2배속이 되어서
아래처럼 rate의 값과 config에서의 input rate를 맞춰주면되고, freq는 고정되서 gqrx에서 변경이 불가능 하니 주의해야 한다.
file=/tmp/fifo_gqrx,freq=951e5,rate=4.8e6,repeat=false,throttle=false |
몇번 해보는데 작동하다가 부하가 걸리면 죽고
파이썬 자체에서 fifo로 내보내야 하는데 fifo가 이상해지는지
다시 gqrx를 실행하면 아까 나온대로 나오다가 죽는걸 보면..
gqrx를 통해 생성한 스크립트가 문제가 있는걸지도 모르겠다.
그게 아니라면 CPU 성능이 후달리는게 아닐까 의심이..
파이썬 스크립트 돌리는데 cpu 살살 녹네 -_ㅠ
[링크 : https://blog.fusionimage.at/2016/01/update-4-rtl-sdrs-8-4-mhz-bandwidth-gqrx/]
[링크 : https://www.rtl-sdr.com/combining-the-bandwidth-of-multiple-rtl-sdrs-now-working-in-gqrx/]
부품 도착! + 공짜 도착! (2) | 2021.12.27 |
---|---|
wxtoimg linux (0) | 2021.12.26 |
rtl-sdr rpi 와 윈도우 드라이버 차이? (0) | 2021.12.25 |
ISS(국제우주정거장) 궤도 (0) | 2021.12.25 |
gnu radio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