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Storage2019. 2. 28. 20:43

직구 만세를 외칠수 밖에 없는건가!!

와.. 이 가격차이는 너무 사기 아니냐 -_-


24800원

[링크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268590180]


3.98$

[링크 : https://www.ebay.com/...hash=item2ab5c97cbf:g:hCAAAOSw6VRbHeHe:rk:13:pf:0]

'하드웨어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 로그인 시도 차단하기  (2) 2019.07.30
disk error recovery - TLER(WD)  (0) 2019.03.13
시게이트 SSHD 스펙  (0) 2019.01.16
synology 로그..  (0) 2018.09.18
synology 기분 탓인가.. 늦게 켜지네  (0) 2018.07.27
Posted by 구차니

오늘 보면서 궁금했던 2번이 정말 그래픽 카드 파워인가 궁금했는데 맞긴 하네


16 베이 백플레인 인데.. 꽂히는건 8 베이랑 동일하다?

반대로 생각하면.. 백 플레인이 바뀌지 않으면 현재 시스템에서는 확장이 불가능 하다는 건데..


요건 8 베이 SAS 케이블 위치가 다르단걸 제외하면 2개인건 동일하다.

[링크 : https://topics-cdn.dell.com/pdf/poweredge-r730_owners-manual_en-us.pdf]

'하드웨어 > Server Case &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리던던시) 파워  (0) 2019.05.02
idrac 재시작 하기  (0) 2019.03.12
iDRAC 에러 메시지 제거  (0) 2019.02.26
dell cable management  (0) 2019.02.25
idrac update via FTP  (0) 2019.02.14
Posted by 구차니

webalizer를 보다보니..

이 태그는 재생이 끝나면 또 다시 서버에 요청해서 비디오를 다운로드 받아서 또 재생한다.

그냥 브라우저의 캐시에 저장된걸 다시 재생하는 줄 알았는데


트래픽 문제가 있거나 모바일일 경우에는 video loop에 대해서는 고민을 좀 해봐야 할 듯..

[링크 : https://www.w3schools.com/tags/att_video_loop.asp]

'Programming > javascrip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 초기화(벤치마크)  (0) 2019.04.12
js 난독화  (0) 2019.03.14
자바 스크립트 다시 공부 - 이벤트 관련  (0) 2019.02.28
js import babel transpiler  (0) 2019.01.10
js class extend  (0) 2019.01.10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 > javascrip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난독화  (0) 2019.03.14
HTML video 태그 loop 와 webalizer hit  (0) 2019.02.28
js import babel transpiler  (0) 2019.01.10
js class extend  (0) 2019.01.10
img vertical-align  (0) 2018.12.28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docker2019. 2. 28. 15:51

현재 컨테이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

(컨테이너에 할당된 볼륨의 경로라던가)


[링크 : https://www.joinc.co.kr/w/man/12/docker/Guide/DataWithContainer]

[링크 :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commandline/inspect/]

[링크 : http://pyrasis.com/book/DockerForTheReallyImpatient/Chapter20/14]

'프로그램 사용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cassandra selinux  (0) 2019.03.20
centos docker compose iptable error  (2) 2019.03.20
docker 복원하기  (2) 2019.02.27
docker 개념 다시 조사..  (0) 2019.02.01
docker 설명..  (0) 2019.02.01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9. 2. 28. 14:11

심심해서 어떻게 날리면 재미있을까? 라고 고민하다가

켠채로 RAID 볼륨 날리는걸로 결정 ㅋㅋㅋ


두근두근 하면서 눌렀고

초기화 되는 중에 후다닥 콘솔 열어서 명령어 쳐보니

실행이 되다가 어느정도 날아가고 나서는 실행이 되지 않게 된다.

(init이나 shutdown reboot 모두 명령어라 안 먹어서 끌수도 없다 ㅋㅋ)

# dmesg

[112092.188419] megasas:span 0 rowDataSize 2

[112092.188420] megasas:span 0 rowDataSize 2

[112092.188422] megasas:span 0 rowDataSize 2

[178173.500160] XFS (sda1): Unmounting Filesystem

[178173.500621] XFS (sda1): metadata I/O error: block 0x7de89 ("xlog_iodone") error 19 numblks 64

[178173.500627] XFS (sda1): xfs_do_force_shutdown(0x2) called from line 1180 of file fs/xfs/xfs_log.c.  Return address = 0xffffffffa036fb1e

[178173.500637] XFS (sda1): Log I/O Error Detected.  Shutting down filesystem

[178173.500639] XFS (sda1): Please umount the filesystem and rectify the problem(s)

[178173.500667] XFS (sda1): Unable to update superblock counters. Freespace may not be correct on next mount.

[178173.500675] XFS (sda1): xfs_log_force: error -5 returned. 


pwd나 cd는 bash 내장 명령어니까 메모리에 올라가 있어서 작동은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테이블(inode)는 어느정도 메모리에 올려져 있다는 건가?

[root@localhost ~]# dmesg

-bash: /usr/bin/dmesg: Input/output error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root@localhost /]# pwd

/

[root@localhost /]# ll

-bash: /usr/bin/ls: Input/output error 


초기화 되고 나서 보니 이제 모두 Ready~

'하드웨어 > R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6 라서 오래 걸리나.. 백그라운드 초기화라 오래 걸리나?  (0) 2019.03.06
raid5 vs raid6 vs raid10  (0) 2019.03.04
PERC foreign RAID import  (0) 2019.02.26
foreign, degraded  (0) 2019.02.25
raid 복구?  (0) 2019.02.25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docker2019. 2. 27. 22:20

container의 내용을 저장하고 복구하는 방법


commit 으로 저장하고

save로 파일로 저장하고

load로 파일에서 불러와 복원한다


라는데 db도 되려나?


[링크 : https://blog.naver.com/chandong83/221006388637]

'프로그램 사용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docker compose iptable error  (2) 2019.03.20
docker inspect  (0) 2019.02.28
docker 개념 다시 조사..  (0) 2019.02.01
docker 설명..  (0) 2019.02.01
docker run = create + start  (0) 2019.02.01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squid2019. 2. 27. 20:36

퇴근길에 검색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문서

squid에서 HIER/NONE 이라고 뜨는 녀석은 캐싱이 안되는데

기본값으로 원래 서버로 요청을 돌려주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parent가 누굴 지칭하는지 모르겠지만 global hit rate에는 영향을 못 미치면서 latency만 늘어난다라...


#  TAG: nonhierarchical_direct

# By default, Squid will send any non-hierarchical requests

# (matching hierarchy_stoplist or not cachable request type) direct

# to origin servers.

#

# If you set this to off, then Squid will prefer to send these

# requests to parents.

#

# Note that in most configurations, by turning this off you will only

# add latency to these request without any improvement in global hit

# ratio.

#

# If you are inside an firewall then see never_direct instead of

# this directive.

#

#Default:

# nonhierarchical_direct on 

[링크 : http://www.squid-cache.org/mail-archive/squid-users/200203/att-0514/squid.conf]


+

캐시 hierarchy 라는게 있어서 찾아보기..

[링크 : https://wiki.squid-cache.org/Features/CacheHierarchy]


+

헐?

[링크 : http://www.squid-cache.org/Doc/config/offline_mode/]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how-can-squid-be-configured-to-cache-all-downloaded-files]

'프로그램 사용 > squ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uid url_rewrite_program  (0) 2019.03.14
squid log code  (0) 2019.03.01
squid용 인증서 관련 (인증서 변환하기)  (0) 2019.02.25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 squid  (0) 2019.02.25
squid as transparent proxy  (0) 2019.02.19
Posted by 구차니
Linux/centos2019. 2. 27. 17:42

centos 에서 nfs 마운트 하려는데 에러나면

# mount -t nfs 0.0.0.0:/ temp

mou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0.0.0.0:/,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for several filesystems (e.g. nfs, cifs) you might

       need a /sbin/mount.<type> helper program)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 try

       dmesg | tail or so. 


nfs 패키지를 깔아줘야 한다. (망할!)

# yum install nfs-utils nfs-utils-lib


[링크 : https://moongblog.tistory.com/9]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d + php + selinux..  (0) 2019.03.20
'abrt-cli status' timed out  (0) 2019.03.01
centos timezone 변경  (2) 2019.02.23
svn on centos  (0) 2019.02.22
smb on centos  (0) 2019.02.13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apache2019. 2. 27. 12:54

virtualhost 라는 기능으로 구현이 가능한데..

웹 서버에서 하는건가? haproxy나 squid로 안되는걸려나? ㅠㅠ


[링크 : https://mynewparadigm.tistory.com/entry/1개의-ip로-2개의-도메인을-연결하는-방법]

[링크 : https://blog.readiz.com/29]

[링크 : https://hudi.kr/node-js-node-js-에서-vhost-사용/]


+

기본적으로 이 기능은 L4 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apache / nginx / node.js 등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host-multiple-node-js-sites-on-the-same-ip-server-with-different-domain]

[링크 : https://www.joinc.co.kr/w/man/12/Nginx/virtualhost]

[링크 : https://gist.github.com/jakebellacera/590803]

[링크 : https://docs.nginx.com/nginx/admin-guide/web-server/reverse-proxy/]

'프로그램 사용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s enceypt apache  (0) 2024.04.22
apache2 HSTS 활성화 하기  (0) 2024.04.18
mod_rewrite 테스트..  (4) 2017.04.12
mod_rewrite 로그설정  (0) 2017.04.12
라즈베리 파이 mod_rewrite 활성화  (0) 2017.04.1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