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 만료인게 몇개 있다고 해서 모은김에 또 기부!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협상(?) 메일 (3) | 2019.03.25 |
---|---|
Copy of: 온라인 명예훼손 출석통지서 - 피싱메일 (4) | 2019.03.08 |
별별 희한한 제약을 다 만들었네 -_- (4) | 2019.01.28 |
오랫만에 마음에 드는 티스토리 개편 (3) | 2018.10.10 |
티스토리 선조치 후보고? (0) | 2018.07.12 |
3월 31일 만료인게 몇개 있다고 해서 모은김에 또 기부!
저작권 협상(?) 메일 (3) | 2019.03.25 |
---|---|
Copy of: 온라인 명예훼손 출석통지서 - 피싱메일 (4) | 2019.03.08 |
별별 희한한 제약을 다 만들었네 -_- (4) | 2019.01.28 |
오랫만에 마음에 드는 티스토리 개편 (3) | 2018.10.10 |
티스토리 선조치 후보고? (0) | 2018.07.12 |
node.js랑 그래도 작동하는건 확인했는데..
임시 파일이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네?
아래 링크는 파일 / 이미지 / 동영상 세파트로 나누어져 있으니 참고
(index.html 파일 내용도 조금씩 다르니 주의)
[링크 : https://www.froala.com/wysiwyg-editor/docs/server/nodejs/file-upload]
+
일단은 이녀석.. localhost를 제외하면 라이센스 경고를 띄운다.
쓰는건 보류!
node.js 사용자 모듈 만들기 (0) | 2019.03.13 |
---|---|
ckeditor 와 php, node.js 연동 (0) | 2019.03.11 |
wysiwyg editor / node.js (0) | 2019.02.26 |
node.js 파비콘 설정하기 (0) | 2019.02.22 |
node.js apache 스타일 로그 (0) | 2019.02.22 |
클래식
상단에 툴바 항상 나오고 그 바로 아래에 수정할 영역이 나옴
인라인
그냥 일반 문장 같은데
클릭하면 편집 가능하도록 변경됨
벌룬
인라인과 유사한데 드래그로 선택해야 툴바가 풍선으로 뜸
벌룬블록
선택영역에 따라 문단과 블록에 따라 서로 다른 툴바가 뜸
디커플러
툴바와 편집창을 분리해서 쓸 수 있다.
(문단별로 편집창을 띄우되 가장 위에 고정하는 식으로 운영 가능, 스크롤 할때 상단에 툴바 고정용으로 쓸 듯)
[링크 : https://ckeditor.com/docs/ckeditor5/latest/builds/guides/quick-start.html]
ckeditor full과 standard 그리고 옵션 설정 (0) | 2019.04.03 |
---|---|
ckeditor file upload with node.js (0) | 2019.03.07 |
ckeditor / fckeditor? (0) | 2014.07.16 |
ckeditor 사용하기 (0) | 2013.02.22 |
fckeditor plugin for squirrelMail (0) | 2011.06.14 |
첫애가 생일이라서 마트 키즈카페 놀러갔다가 맞은편에 있는 VR 코너를
아내와 첫애가 해봤는데 아내 평으로는 생각외로 화질이 안 좋다고
애는 어지러워 하고이래저래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았던 듯.
걍 한번 해본걸로 됐다 정도?
가격은 개당 30만원 정도인데
5.5인치에 2560*1440P(PPI 534)
어떻게 보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급의 해상도는 되는 듯?
그럼 Stream VR 통해서 재생하는 설정이 문제거나.. 컨텐츠가 문제거나
게다가 시야도 연동 안되고 고정 시야라고..
근데 스펙상으로는 6 DOF 인데? 머야 -ㅁ-
가격은 산게 26만원. 디스플레이 스펙을 보면 그리 비싼것도 아닌 듯?
[링크 : http://item.gmarket.co.kr/Item?goodsCode=1512970342]
[링크 : https://eleparts.co.kr/goods/view?no=6949223]
[링크 : http://prod.danawa.com/info/?pcode=6226272]
[링크 : http://en.3dinlife.com/prod_view8.aspx?FId=t3:72:3&Id=191&TypeId=72&IsActiveTarget=True]
VaR VR 플레이어 한글 자막 문제 (0) | 2019.03.09 |
---|---|
마이크로 SD 64GB에 만원이라니.. (3) | 2019.03.09 |
바쁜.. 월..요일이 아니라 목요일이네? (0) | 2019.02.07 |
노트2 / 노트4 볼륨이 다른가? (0) | 2019.02.05 |
요금제 고민.. (0) | 2019.02.04 |
-
[링크 : https://gist.github.com/RedactedProfile/ac48c270d2bbe739f9f3]
[링크 : https://ckeditor.com/docs/ckeditor4/latest/examples/fileupload.html]
[링크 : https://hashcode.co.kr/questions/3187/nodejs-ckeditor로-이미지를-올리기]
[링크 : https://www.npmjs.com/package/ckeditor]
+
2019.03.08
ckeditor 4.11 을 기준으로 만든거고, 5.x 대에도 가능한지는 아직 테스트 하지 못함
express -e
를 이용하여 ejs로 express-generator로 생성후 아래의 파일을 수정함
index.js
index.ejs
4.11과 4.9 둘 다 작동되는 것 확인
+
ckeditor 5 기준. 4랑 비교해서 에디터 생성하는 방법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작동한다.
index.ejs
[링크 : https://okky.kr/article/461219]
[링크 : https://www.cikorea.net/bbs/view/qna?idx=19725&view_category=&lists_style=]
[링크 : https://ckeditor.com/docs/ckeditor4/latest/guide/dev_file_upload.html]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7699763/ckeditor-using-and-integration-in-node-js-web-page]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378630/node-js-sails-js-wysiwyg-editor-images]
[링크 : https://github.com/sca-/sails-ckeditor-sample]
ckeditor full과 standard 그리고 옵션 설정 (0) | 2019.04.03 |
---|---|
ckeditor 모드별 모양 (0) | 2019.03.08 |
ckeditor / fckeditor? (0) | 2014.07.16 |
ckeditor 사용하기 (0) | 2013.02.22 |
fckeditor plugin for squirrelMail (0) | 2011.06.14 |
일단 프록시 설정이 먼가 잘못되었나 싶어서 고민했는데
알고보니.. 망할 포트를 잘못 설정해서 502 bad gateway 뿜뿜..
결론은.. 머.. 잘 돌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 홈페이지 1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domain.co.kr www.domain.co.kr;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20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 // 홈페이지 2, 특정 하위 주소에 다른 서비스를 연결함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domain2.co.kr www.domain2.co.kr;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30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location /sub1 { proxy_pass http://localhost:40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 // 다른 서비스로 연결되는 녀석을 서브 도메인으로 연결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sub1.domain2.co.kr;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40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 // 홈페이지 3, 서비스를 서브 도메인으로도 연결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sub2.domain2.co.kr;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50000/;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 } |
nginx 리버스 프록시 와 ckeidtor upload 413 에러 (0) | 2019.04.03 |
---|---|
nginx 502 bad gateway와 audit (0) | 2019.03.20 |
nginx load balance (0) | 2019.03.05 |
nginx reverse proxy (2) | 2018.10.30 |
nginx fastcgi 캐싱 (0) | 2015.09.10 |
어제 오전 10시 부터 포맷해서 걸어놓은건데..
어제 퇴근전 30%대
오늘 아침에 확인하니 71%대
지금 확인하니 98%..
근데 로그 상으로는 오전 10시에 24시간에 걸쳐서 끝나긴 했는데
RAID 상태를 확인해보면 98%
도대체 어느게 맞는 값일까?
iscsi mdadm (0) | 2019.03.13 |
---|---|
LSI raid ir it mode (0) | 2019.03.11 |
raid5 vs raid6 vs raid10 (0) | 2019.03.04 |
(Linux)OS 작동중에 하드를 뽑으면 어떻게 될까? (0) | 2019.02.28 |
PERC foreign RAID import (0) | 2019.02.26 |
LVM은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이다.
꽤 오래전부터 기본으로 사용은 했는데 싫어서 매번 삭제하고 임의로 ext3나 ext4로 써왔는데
서버 밀면서 처음 써보다 보니 헤매고 있다.. -_ㅠ
아무튼 정리하자면
PV(Physical Volume)
VG(Volume Group)
LV(Logical Volume)
앞의 세개가 접두이고, 그 이후에 명령어들이 존재한다.
pvchange pvck pvcreate pvdisplay pvmove pvremove pvresize pvs pvscan |
lvchange lvcreate lvextend lvmconf lvmdiskscan lvmetad lvmsadc lvreduce lvrename lvs lvconvert lvdisplay lvm lvmconfig lvmdump lvmpolld lvmsar lvremove lvresize lvscan |
vgcfgbackup vgck vgdisplay vgimport vgmknodes vgrename vgsplit vgcfgrestore vgconvert vgexport vgimportclone vgreduce vgs vgchange vgcreate vgextend vgmerge vgremove vgscan |
PV는 /dev/sd? 에 매핑되는 녀석으로 물리적 하드에 대한 관리를 하게되고 VG는 PV를 기반으로 생성하게 된다.
기존의 Volume Group에 추가하려면 vgextend
새로운 Volume Group으로 Physical Volume을 추가하려면 vgcreate로 하면 된다.
Use vgcreate(8) to create a new VG on the PV, or vgextend(8) to add the PV to existing VG. |
그리고 PV를 VG로 묶을때 설정에 따라 RAID 처럼 묶을수도 있고 JBOD으로 묶을수도 있다.
생성 순서로 보면
# pvcreate /dev/sd??
# vgcreate vgname /dev/sd??
# lvcreate -L 용량 vgname -n lvname
Centos7 기준
/dev/mapper/centos-[lvname]
/dev/centos/lvname
/dev/dm-0
/dev/dm-1
식으로 되어있는데
/dev/dm-? 이 실제 장치이고
그 외에는 전부 심볼릭링크로 /dev/dm-? 으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 https://jangpd007.tistory.com/235]
[링크 : https://sgbit.tistory.com/13]
[링크 : https://support.hpe.com/hpsc/doc/public/display?docId=emr_na-c01847647]
[링크 : https://closed0402.tistory.com/103]
[링크 : https://support.hpe.com/hpsc/doc/public/display?docId=emr_na-c01847647]
+
selinux가 또 태클을 거는데..
mount: /home/test does not contain SELinux labels. You just mounted an file system that supports labels which does not contain labels, onto an SELinux box. It is likely that confined applications will generate AVC messages and not be allowed access to this file system. For more details see restorecon(8) and mount(8). |
이것만 해서는 안되고.. 서버 리부팅 까지 해주니 마운트가 되네.. 머냐...
# restorecon -Rv /raid1 # fixfiles relabel |
lvm as ssd cache (0) | 2022.02.14 |
---|---|
애증의.. LVM? centos 기본값 설치에서 변형했더니... (0) | 2019.03.05 |
lvm raid (0) | 2019.01.15 |
LVM - Logical Volumegroup Management (0) | 2009.01.22 |
어라.. RAID-6 볼륨이 원래 4.36TB 인데
lvm 으로 해서 4.74TB가 잡혀서 어디서 왔나 했더니..
SSD랑 HDD랑 같은 pool로 잡혀서 그런식으로 걸쳐 있는 듯?
pool 부터 다시 잡아야 하나.. 아니면 런타임에 pool을 변경이 가능하려나?
ssm 이라는 녀석 설치!
# yum install system-storage-manager |
[링크 : https://www.linuxsysadmin.biz/lvm-gui-centos-7/]
# ssm list ------------------------------------------------------------- Device Free Used Total Pool Mount point ------------------------------------------------------------- /dev/sda 465.25 GB PARTITIONED /dev/sda1 1.00 GB /boot /dev/sda2 4.00 MB 464.24 GB 464.25 GB centos /dev/sdb 4.36 TB /dev/sdb1 0.00 KB 4.36 TB 4.36 TB centos ------------------------------------------------------------- ------------------------------------------------ Pool Type Devices Free Used Total ------------------------------------------------ centos lvm 2 4.00 MB 4.82 TB 4.82 TB ------------------------------------------------ -------------------------------------------------------------------------------------- Volume Pool Volume size FS FS size Free Type Mount point -------------------------------------------------------------------------------------- /dev/centos/root centos 50.00 GB ext4 50.00 GB 43.00 GB linear / /dev/centos/swap centos 31.44 GB linear /dev/centos/samba centos 4.74 TB ext4 4.74 TB 4.46 TB linear /home/samba /dev/sda1 1.00 GB ext4 1.00 GB 787.87 MB part /boot -------------------------------------------------------------------------------------- |
개념부터 봐야겠다..
[링크 : https://kit2013.tistory.com/199]
+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centos-root 50G 4.3G 43G 10% / devtmpfs 32G 0 32G 0% /dev tmpfs 32G 0 32G 0% /dev/shm tmpfs 32G 11M 32G 1% /run tmpfs 32G 0 32G 0% /sys/fs/cgroup /dev/sda1 976M 150M 760M 17% /boot /dev/mapper/centos-samba 4.8T 89M 4.5T 1% /home/samba tmpfs 6.3G 0 6.3G 0% /run/user/0 tmpfs 6.3G 4.0K 6.3G 1% /run/user/42 tmpfs 6.3G 44K 6.3G 1% /run/user/1000 |
# lvdisplay --- Logical volume --- LV Path /dev/centos/samba LV Name samba VG Name centos LV UUID 9Aa0oO-Ndwh-5IfX-O5vW-KZ8Z-tAFF-RBcKLq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Creation host, time localhost, 2019-03-05 10:32:46 +0900 LV Status available # open 1 LV Size <4.74 TiB Current LE 1242061 Segments 2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256 Block device 253:2 --- Logical volume --- LV Path /dev/centos/swap LV Name swap VG Name centos LV UUID uYmqZR-s3FZ-w56s-97cm-eaYn-Vj6Y-SEvcWS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Creation host, time localhost, 2019-03-05 10:32:50 +0900 LV Status available # open 2 LV Size <31.44 GiB Current LE 8048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256 Block device 253:1 --- Logical volume --- LV Path /dev/centos/root LV Name root VG Name centos LV UUID 8PH4I2-Amfo-YuDh-J9h5-Hwhq-jSjZ-MrEUNK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Creation host, time localhost, 2019-03-05 10:32:50 +0900 LV Status available # open 1 LV Size 50.00 GiB Current LE 12800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auto - currently set to 256 Block device 253:0 |
# pvdisplay --- Physical volume --- PV Name /dev/sda2 VG Name centos PV Size <464.25 GiB / not usable 3.00 MiB Allocatable yes PE Size 4.00 MiB Total PE 118847 Free PE 1 Allocated PE 118846 PV UUID bxRHju-AXnI-7xwe-MEo5-LNWq-A0tw-VngA83 --- Physical volume --- PV Name /dev/sdb1 VG Name centos PV Size 4.36 TiB / not usable 2.00 MiB Allocatable yes (but full) PE Size 4.00 MiB Total PE 1144063 Free PE 0 Allocated PE 1144063 PV UUID Z2jJnF-h4Uu-T0gF-yKyb-jSat-wPMr-7j2RtC |
lvm as ssd cache (0) | 2022.02.14 |
---|---|
LVM 관리 (0) | 2019.03.05 |
lvm raid (0) | 2019.01.15 |
LVM - Logical Volumegroup Management (0) | 2009.01.22 |
설정이 되어있는걸 보는데...
reverse proxy 용도가 아니라 load balance 용도로 설정을 해둔거였나...
[링크 :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35357063]
[링크 : http://nginx.org/en/docs/http/ngx_http_upstream_module.html]
nginx 리버스 프록시 와 ckeidtor upload 413 에러 (0) | 2019.04.03 |
---|---|
nginx 502 bad gateway와 audit (0) | 2019.03.20 |
nginx rever proxy with virtual host(+ subdomain) (0) | 2019.03.07 |
nginx reverse proxy (2) | 2018.10.30 |
nginx fastcgi 캐싱 (0) | 201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