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I-Ex가 대세인데 PCI-X를 산걸 지금와서 후회해서는 모하냐마는..
아무튼! 1000 MT Server Adapter는 VISTA까지 지원하고 7은 드라이버(In-box)는 제공하지만
ANS나 SNMP 등의 서비스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VISTA에서는 드라이버 및 ANS를 제공하고 있다.
[링크 : http://downloadcenter.intel.com/Detail_Desc.aspx?...Vista%20Ultimate...DownloadType=Drivers]

 아무튼, 이 녀석의 Win7 드라이버를 찾으면
다운로드 가능한 목록이 없고, Windows7에 포함(In-box)되어 있다고만 나오는데
[링크 : http://downloadcenter.intel.com/Detail_Desc.aspx...Windows%207%2C%2032-bit*&DownloadType=Drivers]

In-Box는 되어있지만, Full Support는 되지 않고 있다고 되어있다.


Is my Intel® Ethernet Adapter supported in Microsoft Windows 7*?

그런 이유로 Manual Download를 선택해서 링크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Win7용 ANS를 받을수 있다.

Drivers and software for Intel® Gigabit and PRO/1000 Wired Ethernet Adapters


대충 정리 하자면,
Windows7용 드라이버 및 ANS를 제공하는 녀석과 제공하지 않는 녀석으로 나뉘고
독립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녀석은 Manual Download를 하면 된다.


일단 집에가서 테스트는 해봐야 할듯?

----
2011.08.05 추가

OEM의 경우 다른데서 받을수도 있는 것 같지만, 여전히 Win7 버전에는 맞지 않거나
위의 내용중 드라이버는 MT 어댑터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냥 속편하게 VISTA도 깔아야 하나? -_-
[링크 : http://www.intel.com/p/en_US/support/detect/network]
[링크 : http://www.intel.com/support/network/adapter/pro100/sb/CS-025637.htm]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1. 8. 2. 22:54
AMD4600+x2 CPU를 사용중이고
원래 2.6Ghz 인데 1.0Ghz로 다운클럭하고 체험지수를 재보는데 똑같은 5.1점이 나온다.
희한하네 -_-

아무튼 내장형 ATI Radeon 2100으로 3.3 점이면 썩 나쁘진 않은듯?

 
Posted by 구차니
1. 수능 100일전
    이라는데 머 나랑 무슨 상관있냐 내년엔 있을지도 모르겠군 -_- 
    친척들 중에 고3이 발생할 예정.. OTL

2. 오늘의 운세
    지르지 말라고 되어 있는데 질렀더니..
    배송업체 휴가라서 내일 보낸다고 전화오는 센스~! 
Posted by 구차니
윈도우에서 무선랜카드를 이용해서 공유를 잡는건
ad-hoc으로 잡히는거라 안드로이드 계열에서는 특별한 설정을 하기 전에는 안된다고 한다.
(대신 iOS에서는 ad-hoc을 접속할수 있다고 한다)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32150/can-android-do-peer-to-peer-ad-hoc-networking]

그래서 등장한게 이런류의 프로그램이라는디.. 안써봤으니 일단 잠시 패스
[링크 : http://www.connectify.me/index.html]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Windows2011. 8. 1. 17:25
지우는건 [-HKEY....]
혹은 
"value" =-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310516]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kb/310516/en-us
Posted by 구차니
심심해서 소비전력 문제도 있고 하니
일단 다운클럭 시도중

AMD 4600+x2 이고 원래는 x12 배율로 2400Mhz 클럭으로 작동한다.
무리하게 건드리지 않고, BIOS에서 배율만 수동으로 조절해 주었는데 1.0Ghz 까지 떨어트리는데는 일단 성공
(미친척 800Mhz 까지 떨어지는 x4를 했더니 부팅도 안되네 -_-)


그나저나 Maximum FSB Multiplier는 존재하는데
왜 명시적으로 Minimum FSB Multiplier는 존재하지 않으려나?


아무튼 내 컴퓨터에서는 4배에서 12배 까지 존재한다.
5배인 1Ghz 까지는 내릴수 있었지만, 4.5배와 4.0배에서는 부팅조차 되지 않는다.


아무튼 5배인 1Ghz에서는 웹이나 동영상 웬만큼은 다 돌아간다.
나중에 소비전력 측정이 가능하면 좋으련만... 

'하드웨어 > 클럭 소비전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i-ex 및 그래픽 카드 전원  (0) 2018.11.08
다운클럭 + CPU 전압 강하  (0) 2011.08.15
클럭별 전력사용량 변화  (2) 2011.08.05
Posted by 구차니
.DATA? 지시어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면
컴파일된 프로그램의 크기를 줄일수 있다고 한다.
C 언어라던가 일반적인 초기화 되지 않은 변수들을 선언했다고 해서
프로그램 용량이 늘어나는건 아니니 차이를 못느낄수도 있겠지만

x86 계열에서
.data?
bigArray DWORD 5000 DUP(?)
 
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늘어나지 않지만

.data
bigArray DWORD 5000 DUP(?)
 
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20000 byte 만큼 늘어난다고 한다.

Assembly language for intel-based computer 4th ed. 87page
KIP R. IRVINE 

'Programming > Assembly(어셈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셈블리 관련  (0) 2015.06.11
ia32 어셈블리 언어  (0) 2013.12.12
x86 register  (2) 2011.07.17
PowerPC(PPC) 어셈관련 내용  (0) 2011.04.04
어셈블리 메모리 참조 (x86 memory addressing)  (0) 2010.05.03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31. 10:19
여러가지 벤치마크를 하기에는 귀차나서 대충해봤더니
기본값이 Stripe 256k 보다 16k 에서의 벤치마크 결과가 일반적으로 좋게 나왔다.

 
RAID0 - 16k


RAID0 - 256k


RAID0 - 16k


RAID0 - 256k


RAID5 - 16k


RAID5 - 256k


펌웨어 버전이나 드라이버 버전보다는 stripe size에 영향을 많이 받는듯..
물론 그래봤자.. 단일하드 하나 속도겨우 나오는데 머 -_-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의미 그 이상도 이하도 없는듯 하다.

Stripe size, if appropriate for the RAID level
 
In general, smaller stripe sizes are better for sequential I/O, such as video, and 
larger stripe sizes are better for random I/O (such as databases)
Striping size is not applicable for RAID 1, because it is a mirrored array without striping. 
Using the default stripe size of 64KB usually gives you the best performance 
for mixed I/Os. If your application has some specific I/O pattern (purely sequential or purely random),
you might want to experiment with a smaller or larger stripe size. 
 
사용자 메뉴얼 곳곳에 들어있는 내용들이다.
벤치마크 특성상 sequential 한게 눈에 많이 들어 오기 때문에
아무래도 16KB 로 할경우가 가장  빠르게 나오는것 같다.


---
2011.08.05 추가

[링크 : http://www.tomshardware.com/forum/50554-32-raid-stripe-size-performance]
[링크 : http://www.tomshardware.com/reviews/RAID-SCALING-CHARTS,1735-4.html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30. 23:44
공식적인 문서를 찾아봐야겠지만
BBU(Backup Battery Unit) 미 장착시에는 데이터 손실을 막기위해 쓰는 속도를 제한한다고 한다.

 What is happening to your card is that it sees that you do not have a backup battery supply. It automatically defaults to the very slow read and write speeds because of it to ensure no loss of data in case of a power failure. I very strongly recommend that you have the battery backup unit that can attach to the card or a UPS attached to the computer. You paid a lot of money for the card and drives so you do really need that battery backup to prevent the card from requiring you to do a rebuild of the Raid system if there is an interruption of power to it or a blue screen reboot. But on the other hand you can override the settings in your web based browser. Beware though that if you do not have a battery backup, you may be required to replace a dropped drive in your Raid with a new drive and not allow you to just do a rebuild. 

Log in as Management and click the management tab. Under Unit Policies change the following setting to:
Write Cache: checked
Read Cache: Intelligent
Auto Verify: checked
Queuing: checked
StorSave: Performance
It will come up with several warnings that it does not see a battery backup. Override at your own peril to increase your speeds.

[링크 : http://hardforum.com/showthread.php?t=1510547] 


예전 설정사진에서도 보면 BBU가 없으면 Write Cache 를 Enable 했을 경우 데이터 손실이 있을수 있다고 하는데
BBU 없이 Write Cache를 켤 경우에 퍼포먼스 제한이 생긴다면, Write Cache만 Disable 해보면 차이가 날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여러종류의 RAID를 테스트해본 결과에서도 3ware가 썩 좋은 결과는 얻지 못했는데
아마도 BBU가 문제라면 이 테스트의 결과가 뒤집힐수도 있겠다.


[링크 : http://tweakers.net/reviews/557/all/comparison-of-nine-serial-ata-raid-5-adapters.html

--- 2011.707.31 추가
펌웨어 업데이트 / 드라이버 업데이트 / Write Cache 꺼도 속도는 거의 변화가 없다 -_-
BBU 를 질러야하나? OTL

펌웨어 / 드라이버를 교체하고 테스트 해보았지만 유의미한 결과는 보이지 않는다.

버전 업데이트 전


버전 업데이트 후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RAID2011. 7. 30. 23:14
메인보드에 내장된 녀석인데.. RAID 0 / 1을 지원한다.
설정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Win7에서 드라이브로 인식 안되는 문제 발생 -_-


BIOS 설정화면
IDE configuration - OnBoard S-SATA Channels에서
Configure S-ATA as RAID를 켜주면 된다.


그러면 부팅시에 Intel(R) Embeded Server RAID Technology 라고 뜨며
Ctrl - E를 누르면 설정화면으로 들어갈수 있다.


메뉴는 컬러풀! 하며 Configure에서 하단의 도움말을 따라가면서 하면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READY는 아직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SPACE를 눌러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Online으로 변경된다.


F10을 눌러 Configure를 들어가서


SPACE를 누르면 SPAN-1이 라고 뜨며


F2를 누르면 Child Information이


F3를 누르면 Slot Information이


F10을 누르면 Configuration이 뜬다. RAID 0과 RAID 1을 선택하면 아래의 Size가 변경된다.



설정후에는 Accept를 선택하고 나와야 하며


혹시나 해서 Initialize를 해주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Consistency는 상당히 오래 걸리지만, Initialize는 빨리 끝난다. 

 


아무튼 설정이 되고 나서 리부팅 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된 Logical drive 목록이 뜨게 된다.


BIOS 상에서는 아래와 같이 Intel(R) MD Raid 라는 장치가 추가되며


Secondary IDE Master / Slave는 사라진다 -_-


'하드웨어 > RA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pe size에 따른 속도변화  (0) 2011.07.31
3ware 9500s 속도 제한걸리는 이유?  (0) 2011.07.30
3ware Disk Manager - 3DM 2  (0) 2011.07.29
사용중인 하드의 속도들...  (0) 2011.07.29
Intel 내장형 SCSI RAID 풀기  (0) 2011.07.29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