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증관련해서 물어보니
원래 사업자등록이 된 곳에서 조립해서 팔면 인증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럼 소규모 조립업자는 조립을 다 포기하라는 이야기 밖에 안되려나?
사양의 획일화가 뻔히 보이는데... (인증받고 그 모델의 세부 부품만 팔고?)
아니면 조립은 절대 안해주고 부품만 묶어서 팔게 되려나?
이러다가 조립하는 책이나 블로거들 다 너네가 불법 조립을(응?) 조장하니 벌금 똭! 이러는거 아냐?
머 조립할 능력이 되는 능력자들이야 상관없지만
그정도도 못하면 그냥 대기업꺼나 사서쓰세요~ 라는 기분?
Step 2. Help - Install New software에서
"http://download.gna.org/eclox/update" 를 추가하여 eclox 를 설치함
Step 3. 재시작 하고 나면 @ 아이콘이 생기는데 이걸 누른다.
Step 4. 저걸 처음 누르면 Preferences가 뜨는데 자동으로 인식을 하지 못하면 Doxygen이 설치된 위치를 추가해준다.
최초 설정 이후에는 이 메뉴로 들어가려면 doxygen 작업중 cancel을 누르면 들어갈지를 물어본다.
Step 5. Doxygen을 적용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적어주면 자동으로 Doxyfile 이라는 확장자가 붙는다.
Step 6. 해당 doxygen 설정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기본값에 가까운(Scan recursively 가 꺼져있다) 설정으로 필요에 따라 옵션을 바꾸어 주면 된다.
필수 사항으로는 Input Directories(프로젝트 최상위 폴더로 선택) Scan recursively 선택
output directory는 비워두면 프로젝트 폴더의 HTML / LATEX 라는 폴더가 생성되므로
docs나 docs 폴더를 생성후 그곳을 output 으로 정해주는 것이 좋다.
driverlib 관련 분석 내용 / uart 예제사용
전반적으로 초기화 설정을 보면 무언가.. 중복되도록 설정하는 느낌?
특히 UART의 경우에는 몇단계를 통해서 설정을 하는 것을 보면...
함수설명
extern void SysCtlClockSet(unsigned long ulConfig); // 클럭설정을 하도록 함.
extern void SysCtlPeripheralEnable(unsigned long ulPeripheral); // 포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함 extern void GPIOPinConfigure(unsigned long ulPinConfig); // GPIO로 쓸지 하드웨어 내장 기능을 쓸지 설정함
extern void GPIOPinTypeGPIOInpu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 해당 포트의 해당핀을 입력용으로 설정
extern void GPIOPinTypeGPIOOutpu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 해당 포트의 해당핀을 출력용으로 설정
extern void GPIOPadConfigSe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unsigned long ulStrength, unsigned long ulPadType);
// 해당 포트의 해당핀에 대한 GPIO 드라이브 전류와 pull-up / open-drain 설정
예제설명
int main(void)
{
char cThisChar;
// 시스템 클럭설정
SysCtlClockSet(SYSCTL_SYSDIV_1|SYSCTL_USE_OSC|SYSCTL_OSC_MAIN|SYSCTL_XTAL_16MHZ);
// UART0 기능을 사용하도록 함
SysCtlPeripheralEnable(SYSCTL_PERIPH_UART0);
// UART 핀이 포함된 GPIOA 포트를 사용하도록 함
SysCtlPeripheralEnable(SYSCTL_PERIPH_GPIOA);
// GPIO A의 0번 핀을 U0 RX로 사용하도록 함
GPIOPinConfigure(GPIO_PA0_U0RX);
// GPIO A의 1번 핀을 U0 TX로 사용하도록 함
GPIOPinConfigure(GPIO_PA1_U0TX);
// GPIO A의 0번 1번 핀을 UART에 할당함
GPIOPinTypeUART(GPIO_PORTA_BASE, GPIO_PIN_0 | GPIO_PIN_1);
// UART의 클럭소스와 Baudrate등을 설정함
UARTConfigSetExpClk(UART0_BASE, SysCtlClockGet(), 115200,
(UART_CONFIG_WLEN_8|UART_CONFIG_STOP_ONE|UART_CONFIG_PAR_NONE));
do
{
// UART0로 부터 1문자를 받아옴(blocking 방식)
cThisChar = UARTCharGet(UART0_BASE);
// 받아온 문자을 UART0로 출력함
UARTCharPut(UART0_BASE, cThisChar);
} while((cThisChar != '\n') && (cThisChar != '\r'));
return(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