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와 한국을 떠나요~ /ㅁ/



70년대의 한강의 기적을 일으키기 위해서
2012년을 40년 되돌리다 못해 1700년대로 되돌릴 기세군 -_-

[링크 : http://www.it.co.kr/news/mediaitNewsView.php?nBoardSeq=60&nSeq=2096159]


+
인증관련해서 물어보니
원래 사업자등록이 된 곳에서 조립해서 팔면 인증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럼 소규모 조립업자는 조립을 다 포기하라는 이야기 밖에 안되려나?
사양의 획일화가 뻔히 보이는데... (인증받고 그 모델의 세부 부품만 팔고?)
아니면 조립은 절대 안해주고 부품만 묶어서 팔게 되려나?
이러다가 조립하는 책이나 블로거들 다 너네가 불법 조립을(응?) 조장하니 벌금 똭! 이러는거 아냐?



머 조립할 능력이 되는 능력자들이야 상관없지만
그정도도 못하면 그냥 대기업꺼나 사서쓰세요~ 라는 기분? 
Posted by 구차니
Step 1. doxygen을 설치한다. graphviz 설치는 옵션!
           [링크 : http://www.stack.nl/~dimitri/doxygen/]
           [링크 : http://www.graphviz.org/

Step 2. Help - Install New software에서
           "http://download.gna.org/eclox/update" 를 추가하여 eclox 를 설치함


Step 3. 재시작 하고 나면 @ 아이콘이 생기는데 이걸 누른다.


Step 4. 저걸 처음 누르면 Preferences가 뜨는데 자동으로 인식을 하지 못하면 Doxygen이 설치된 위치를 추가해준다.
           최초 설정 이후에는 이 메뉴로 들어가려면 doxygen 작업중 cancel을 누르면 들어갈지를 물어본다.


 Step 5. Doxygen을 적용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적어주면 자동으로 Doxyfile 이라는 확장자가 붙는다.


Step 6. 해당 doxygen 설정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기본값에 가까운(Scan recursively 가 꺼져있다) 설정으로 필요에 따라 옵션을 바꾸어 주면 된다.
           필수 사항으로는 Input Directories(프로젝트 최상위 폴더로 선택) Scan recursively 선택
           output directory는 비워두면 프로젝트 폴더의 HTML / LATEX 라는 폴더가 생성되므로
           docs나 docs 폴더를 생성후 그곳을 output 으로 정해주는 것이 좋다.


 [링크 : http://home.gna.org/eclox/
    [링크 : http://download.gna.org/eclox/update]
[링크 : http://www.stack.nl/~dimitri/doxygen/]
[링크 : http://www.graphviz.org/]
 
[링크 : http://neodreamer.tistory.com/625]
[링크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108586/how-to-use-eclox-the-doxygen-plugin-for-eclipse]
Posted by 구차니
회사일/IP camera2012. 2. 7. 20:36
머 예상하듯 3G는 3rd Gen. 이니
HD-SDI 보다 2배의 대역폭을 지니는 SDI 이다.

압축 SDI는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JPEG2000으로 압축하는 듯한데 흐음.. 압축률이 무지 좋은가?

[링크 : http://www.altera.com/end-markets/broadcast/3g-sdi/bro-3g-sdi.html]
[링크 : http://catalogs.infocommiq.com/.../Nevion%20VS901-IED-GE%20Data%20Sheet.pdf]

'회사일 > IP came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lwip / uip  (0) 2015.11.20
imm4 codec  (2) 2012.06.22
pelco-D/P PC용 제어 프로그램  (0) 2011.12.30
egi, esp  (0) 2011.03.08
RTP RTSP RTCP  (0) 2011.02.11
Posted by 구차니
2 Transmitter 2 Receiver 라는데
MIMO와 연관되서 몇개의 스트림(stream)을 지원하냐를 의미한다.
특이(?)하게도 채널이라고 안하고 스트림이라고 하는 이유는 좀 찾아봐야 하려나?

아무튼 요즘 안테나가 4개까지 달린 넘들이 있던데
자세히 보건 아니지만 2.4Ghz / 5Ghz를 지원하는 듀얼밴드 제품으로 안테나 4개 짜리는 2T/2R인듯 하다.


아무튼.. 막상 사려면 비싸 ㅠ.ㅠ
[링크 : http://www.asrock.cn/microsite/Vision3D/wireless.swf]
[링크: http://forums.smallnetbuilder.com/showthread.php?t=2117]

아래 링크가 정리가 잘된듯 !!
[링크 : http://pickle.tistory.com/56 ]

'하드웨어 > Network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vs WIFI(802.11n)  (0) 2012.11.02
WOL / WoWLAN / PME  (0) 2012.06.04
IEEE 1394 속도 벤치마크 관련문서들  (0) 2011.12.13
iptime VPN 설정  (0) 2011.12.06
RTSP 포워딩 특성 - Anygate / Iptime  (0) 2011.11.14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Office2012. 2. 7. 17:39
한줄요약 : 시간대비 효과가 그리 좋지 않으니 시간남아 돌면 해보던가 -_-

PST 파일 만들어서 내용들 복사하고 나서
Step 1. 파일 - 보관


Step 2. "자동 보관 안 함"이 설정된 항목 포함 체크 하고 원하는 메일 폴더를 선택함. 시간이 촘 많이 걸림.


Step 3. 메일 폴더를 우클릭 해서 속성을 띄움


Step 4. 고급에서


Step 5. 지금 압축을 눌러주면 아까 걸린거의 2배 정도 더 걸려서 야곰야곰 파일들 삭제함. 시간 겁나 많이 걸림


[링크 : http://office.microsoft.com/ko-kr/outlook-help/HA001116603.aspx]
[링크 : http://office.microsoft.com/en-us/outlook-help/...HA001116603.aspx]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2012. 2. 7. 15:26
IE 기반의 중국산 브라우저이며 "360 안전 브라우저"라고 중국내 2위 점유율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IE가 1등이고 2등이 IE기반 브라우저니 중국도 실질적인 IE 천국인건가.. -_-

특정 문제가 있어서 테스트를 해볼일이 있었는데
PC에 설치된 IE 버전에 따라서 작동이 달라지며
IE6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탭을 지원하지 않고 새 창으로 열리며 테마가 적용되지 않는다.

특징 : IE에서 사용한 히스토리를 끌어가는 것으로 보임
         생각보다 빠르게 구동된다(IE8 대비)
         크롬(새 탭 화면) + IE의 느낌? activeX는 귀찮아서 안해봄 -_-



[링크 : http://se.360.cn/]
Posted by 구차니
주석 스타일을 doxygen 스타일로 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eclipse에 통합되서 jdt의 javadoc 처럼 바로 될수는 없는듯 하다.


[링크 : http://www.eclipse.org/forums/index.php/t/26571/]
    [링크 : http://blog.naver.com/athena805/130069223295]
    [링크 : http://forum.falinux.com/zbxe/?document_srl=516472]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Java2012. 2. 6. 21:09
머 이렇게 생겼군!

일단 이 예제에서 눈에 들어온 내용은,
XML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정형화된 XML 이름이 구조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것.

<?xml version="1.0"?>
<company>
	<staff>
		<firstname>yong</firstname>
		<lastname>mook kim</lastname>
		<nickname>mkyong</nickname>
		<salary>100000</salary>
	</staff>
	<staff>
		<firstname>low</firstname>
		<lastname>yin fong</lastname>
		<nickname>fong fong</nickname>
		<salary>200000</salary>
	</staff>
</company>

element가 달라져도 상관은 없지만, 프로그램에 일일이 xml의 element 이름을 바꾸어 줘야 하니까
그래서는 xml을 쓰는 의미가 많이 희석이 된다.(데이터와 구현을 분리하는 의미가 없어지니)

[링크 : http://www.mkyong.com/java/how-to-read-xml-file-in-java-dom-parser/]
    [링크 : http://docs.oracle.com/javase/1.5.0/docs/api/javax/xml/parsers/DocumentBuilder.html]
    [링크 :  http://docs.oracle.com/javase/1.5.0/docs/api/org/w3c/dom/Document.html]
    [링크 :  http://docs.oracle.com/javase/1.5.0/docs/api/org/w3c/dom/Element.html]
 
Posted by 구차니
embeded/Cortex-M3 Ti2012. 2. 5. 22:08
driverlib 관련 분석 내용 / uart 예제사용
전반적으로 초기화 설정을 보면 무언가.. 중복되도록 설정하는 느낌?
특히 UART의 경우에는 몇단계를 통해서 설정을 하는 것을 보면...

함수설명
extern void SysCtlClockSet(unsigned long ulConfig); // 클럭설정을 하도록 함.
 

extern void SysCtlPeripheralEnable(unsigned long ulPeripheral); // 포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함
extern void GPIOPinConfigure(unsigned long ulPinConfig); // GPIO로 쓸지 하드웨어 내장 기능을 쓸지 설정함

extern void GPIOPinTypeGPIOInpu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 해당 포트의 해당핀을 입력용으로 설정
extern void GPIOPinTypeGPIOOutpu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 해당 포트의 해당핀을 출력용으로 설정
extern void GPIOPadConfigSet(unsigned long ulPort, unsigned char ucPins, unsigned long ulStrength, unsigned long ulPadType);
                                                                                  // 해당 포트의 해당핀에 대한 GPIO 드라이브 전류와 pull-up / open-drain 설정
 

예제설명
int main(void)
{
    char cThisChar;

    // 시스템 클럭설정
    SysCtlClockSet(SYSCTL_SYSDIV_1|SYSCTL_USE_OSC|SYSCTL_OSC_MAIN|SYSCTL_XTAL_16MHZ);
    // UART0 기능을 사용하도록 함
    SysCtlPeripheralEnable(SYSCTL_PERIPH_UART0);
    // UART 핀이 포함된 GPIOA 포트를 사용하도록 함
    SysCtlPeripheralEnable(SYSCTL_PERIPH_GPIOA);
    // GPIO A의 0번 핀을 U0 RX로 사용하도록 함
    GPIOPinConfigure(GPIO_PA0_U0RX);
    // GPIO A의 1번 핀을 U0 TX로 사용하도록 함
    GPIOPinConfigure(GPIO_PA1_U0TX);
    // GPIO A의 0번 1번 핀을 UART에 할당함
    GPIOPinTypeUART(GPIO_PORTA_BASE, GPIO_PIN_0 | GPIO_PIN_1);
    // UART의 클럭소스와 Baudrate등을 설정함
    UARTConfigSetExpClk(UART0_BASE, SysCtlClockGet(), 115200,
                       (UART_CONFIG_WLEN_8|UART_CONFIG_STOP_ONE|UART_CONFIG_PAR_NONE));
    do
    {
        // UART0로 부터 1문자를 받아옴(blocking 방식)
        cThisChar = UARTCharGet(UART0_BASE);
        // 받아온 문자을 UART0로 출력함
        UARTCharPut(UART0_BASE, cThisChar);
    } while((cThisChar != '\n') && (cThisChar != '\r'));

    return(0);
}

'embeded > Cortex-M3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rt 인터럽트 / 폴링 충돌  (0) 2012.06.18
Ti lm3s1968 arm cortex m3 i2c  (0) 2012.02.20
Cortex-M3 인터럽트 관련 문서  (0) 2012.01.31
Cortex-M3 예제소스  (0) 2012.01.27
Cortex-M3 LM3S1968 Evaluation board  (0) 2012.01.27
Posted by 구차니
Linux/Ubuntu2012. 2. 5. 20:52
가끔 설치된 프로그램의 설정파일을 찾으려고 낑낑대는 적이 많았는데 -_-
dpkg 명령을 이용해서 해당 패키지의 설치경로를 알아내면 이런 고생은 안해도 되니 편할듯

$ dpkg -L [패키지 명]  

[링크 : http://newbiedoc.sourceforge.net/tutorials/apt-get-intro/info.html]  


단,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한함.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았다고 나옴
$ codeblocks
'codeblocks' 프로그램은 현재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을 입력하여 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codeblocks
 
$ dpkg -L codeblocks
`codeblocks' 패키지는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아카이브 파일 정보를 보려면 dpkg --info를 실행하시고 (= dpkg-deb --info)
아카이브 내용을 보려면 dpkg --contents를 실행하십시오 (= dpkg-deb --contents)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