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은 SNMP쪽 뿐이고, 그 외에는 업체 자체 규격인듯
[링크 : https://networkupstools.org/ups-protocols.html]
+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AD 단축키 (0) | 2019.12.18 |
|---|---|
| ArduinoDroid (0) | 2019.06.12 |
| 열해석 프로그램(오픈소스) (0) | 2019.03.31 |
| 배터리 체크 유틸리티 (2) | 2019.03.25 |
| hdsentinel (0) | 2019.03.15 |
표준은 SNMP쪽 뿐이고, 그 외에는 업체 자체 규격인듯
[링크 : https://networkupstools.org/ups-protocols.html]
+
| TOAD 단축키 (0) | 2019.12.18 |
|---|---|
| ArduinoDroid (0) | 2019.06.12 |
| 열해석 프로그램(오픈소스) (0) | 2019.03.31 |
| 배터리 체크 유틸리티 (2) | 2019.03.25 |
| hdsentinel (0) | 2019.03.15 |
피곤피곤
| 개복이 구름다리 건넘 (2) | 2019.05.23 |
|---|---|
| 공사 빡세다.. (2) | 2019.05.19 |
| 분노쓰 (0) | 2019.04.27 |
| 피곤 (0) | 2019.04.20 |
| 아이에게 조심해라가 잘못된 걸까? (2) | 2019.04.18 |
분노분노
| 공사 빡세다.. (2) | 2019.05.19 |
|---|---|
| 피곤쓰 (2) | 2019.04.28 |
| 피곤 (0) | 2019.04.20 |
| 아이에게 조심해라가 잘못된 걸까? (2) | 2019.04.18 |
| 또 하루의 정신없는 끝 (0) | 2019.04.14 |
KVM을 통해서 하는데 노트북이 1280x1024 밖에 안되다 보니
SPICE를 통해 보면 잘려서 어떻게 해야 하려나?
[링크 : https://www.linux-kvm.org/page/SPICE]
[링크 : https://patchwork.ozlabs.org/patch/484821/]
[링크 : https://www.linux-kvm.org/images/b/b2/01x10b-QEMUGfraphics.pdf]
| kvm virsh console 사용하기 (0) | 2019.05.16 |
|---|---|
| libvirtd와 webvirtmgr (0) | 2019.04.30 |
| VDI GPU passthrough (0) | 2019.04.24 |
| kvm live add cpu (0) | 2019.04.16 |
| kvm과 HT 그리고 affinity (0) | 2019.04.16 |
node.js 에서 내용을 못 까길래 이상하다 싶어서 보는데 나온 용어.
혹시 node.js 에서 TLSv1.3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인가.. 정책상 못풀게 되어 있어서 못 건드는걸까?
|
Perfect Forward Secrecy was optional up to TLSv1.2, but it is not optional for TLSv1.3, because all TLSv1.3 cipher suites use ECDHE. TLSv1.3 does not support renegotiation. |
[링크 : https://nodejs.org/api/tls.html]
[링크 : https://medium.com/sjk5766/ecdhe-왜-패킷을-보여주지-않는거야-6abc43d5ac9e]
[링크 : https://rsec.kr/?p=455]
| resizable table cell (0) | 2019.06.17 |
|---|---|
| web framework (0) | 2019.06.05 |
| css position (0) | 2019.03.28 |
| webpack (0) | 2019.02.20 |
| ajax bearer token header (0) | 2019.02.07 |
프록시 만들어 보다보니
그냥 사용중에는 티가 안나는데 저장된 파일은 단순하게 http meta equiv도 없이 리다이렉션 되서 찾아봄
[링크 : https://www.netmanias.com/.../cdn-http-network-protocol/http-redirection-using-302-found]
[링크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302]
| 웹에서 f5 갱신 막기 (0) | 2019.06.04 |
|---|---|
| cose network graph (0) | 2019.06.03 |
| closure (0) | 2019.04.24 |
| 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 (0) | 2019.04.23 |
| javascript 배열 초기화(벤치마크) (0) | 2019.04.12 |
심심해서(?) 2TB Seagate SSHD 끼리 복제하는데
2.5인치 하드라 그래도 100MB/s 정도는 찎어줄 녀석이라고 생각했는데 하드가 느린가..
4시간 동안 겨우 75% 불 들어온것 봐서는
완료까지 5~6시간 걸릴듯?
100MB/s * 60 = 6GB/m = 360GB/h
최소 5시간은 걸리겠네.. 큽... 망할 HDD 전송 속도의 한계 같으니라고 ㅠㅠ
[링크 : http://www.ez-net.co.kr/new_2012/product/view.php?cid=2&sid=10&q=NEXT-812FCU3&seq=362...]
| intel HD3000 win10에서 openGL 미지원? (0) | 2019.04.30 |
|---|---|
| L3 캐시 용량에 따른 성능 변화? (0) | 2019.04.30 |
| z170 extreme4 1.0 부팅 오래 걸리는 문제 (0) | 2019.04.26 |
| 파일 정리.. 메인보드 드라이버 (0) | 2019.04.07 |
| 2760p 수리! + 상태 (2) | 2019.03.27 |
UEFI Version : Z170 Extreme4 P1.00 인데..
초기형 버전이려나?
아무튼 검색해보니 BIOS 문제로 초기 부팅이 15초 이상 걸리는 문제가 있어서 베타 펌웨어 올라왔다는데
[링크 : http://playwares.com/hwboard/47312513]
공식 홈페이지에서 보니 1.80 에서 boot time 개선되었다고 하니
최신버전인.. 7.50을 깔면 빨라지려나?
| 1.80 2015/9/24 7.74MB Instant Flash업데이트 방법 1. Improve DRAM compatibility. 2. Improve Boot time 3. Update ME,RC and Microcode. |
[링크 : https://www.asrock.com/mb/Intel/Z170%20Extreme4/index.kr.asp#BIOS]
+
근데 랜선 꽂고 BIOS에서 바로 업데이트 하려니 다운로드 받으려다가 배짼다 -_ㅠ
이래저래 USB FAT32로 포맷하고 해주어야 할 듯
+
해보니.. Advanced 모드는 그대로 모양을 유지하고, Easy 모드가 추가된 전형적인 ASUS 보드 BIOS
그리고 12초 정도 걸리던 초기 부팅이 8초 정도로 줄어들긴 했는데 그래도 느리긴 느리네..
| L3 캐시 용량에 따른 성능 변화? (0) | 2019.04.30 |
|---|---|
| NEXT-812FCU3 (1) | 2019.04.26 |
| 파일 정리.. 메인보드 드라이버 (0) | 2019.04.07 |
| 2760p 수리! + 상태 (2) | 2019.03.27 |
| hp 2760p 획득! (8) | 2019.03.26 |
오메 신기한 것
중심점으로 부터 멀어지면 커지고, 중심점으로 가까워지면 작아지니까
그걸 이용해서 일정 비율로 줄이거나 크게 옮겨 그릴수 있는
아날로그 시절(?)의 기계
| lock-in amplifier (LIA) (0) | 2022.07.11 |
|---|---|
| FMS(Frequency modulation spectroscopy) (0) | 2022.06.20 |
| 호모그래피 (0) | 2019.01.14 |
| 게라레 현상? (0) | 2017.09.13 |
| 열영상 이미지 - 컬러 (0) | 2017.08.24 |
wifi와는 달리 10/100/1000 정도의 선택지 밖에 없는 듯
| # ethtool -s eth0 speed 10 duplex half autoneg off |
[링크 : https://www.shellhacks.com/change-speed-duplex-ethernet-card-linux/]
| diff: memory exhausted (0) | 2019.06.18 |
|---|---|
| plymouth (0) | 2019.06.14 |
| ip별 대역폭 제한하기 (0) | 2019.04.25 |
| systemctl restart 시그널 (0) | 2019.04.23 |
| ata1 comreset failed (errno=-16) (0) | 2019.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