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ximum length of a standard USB cable (for USB 2.0 or earlier)
is 5.0 metres(16.4 ft). The primary reason for this limit is the
maximum allowed round-trip delay of about 1,500 ns. If USB host
commands are unanswered by the USB device within the allowed time, the
host considers the command lost. When adding USB device response time,
delays from the maximum number of hubs added to the delays from
connecting cables, the maximum acceptable delay per cable amounts to be
26 ns.[28]
The USB 2.0 specification requires cable delay to be less than 5.2 ns
per meter (192,000 km/s, which is close to the maximum achievable speed
for standard copper cable).[29]
This allows for a 5 meter cable. The USB 3.0 standard does not directly
specify a maximum cable length, requiring only that all cables meet an
electrical specification. For copper wire cabling, some calculations
have suggested a maximum length of perhaps 3m. No fiber optic cable
designs are known to be under development, but they would be likely to
have a much longer maximum allowable length, and more complex
construction.
Maximum useful distance
USB 1.1 maximum cable length is 3 metres (9.8 ft).[30]USB 2.0 maximum cable length is 5 metres (16 ft). Maximum permitted
hubs connected in series is 5. Although a single cable is limited to 5
metres, the USB 2.0 specification permits up to five USB hubs
in a long chain of cables and hubs. This allows for a maximum distance
of 30 metres (98 ft) between host and device, using 6 cables 5 metres
(16 ft) long and five hubs. In actual use, since some USB devices have
built-in cables for connecting to the hub, the maximum achievable
distance is 25 metres (82 ft) + the length of the device's cable. For
longer lengths, USB extenders that use CAT5 cable can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USB devices up to 50 metres (160 ft).
ZV 포트는 예전 486 이전 시절의 노트북에 장착되어 있던 녀석인데..
이름이 비슷하지만 기억속에 잊혀진 녀석이다. 아무튼 문득 기억이 나서 검색을 해보니 무시무시한 녀석이다.
(그래픽 카드 프레임 버퍼로 바로 때려박는다) 물론 과거의 컴퓨터에서는 MPC Level 1 , 2 이런 이야기가 나올정도로
CPU 파워도 약했고, 실질적으로 패러럴 포트를 제외하면 SCSI가 가장 빠르던 시절이니 비디오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In computing, a zoomed video port(often simply ZV port) is a unidirectionalvideobus allowing a device in a PC card slot to transfer video data directly into a VGAframe buffer, so as to allow laptops to display real-time video. The standard was created by the PCMCIA to allow devices such as TV tuners, video inputs and MPEGcoprocessors to fit into a PC card form factor and provide a cheap solution for both the laptop manufacturer and consumer.
The ZV port i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PC card slot and VGA
controller. Video data is transferred in real time without any buffering, removing the need for bus mastering or arbitration.
The ZV port was invented as an alternative to such methods as the VAFC (VESA Advanced Feature Connector).
A ZV-enhanced PCMCIA port accepts standard cards in addition to Motion Picture Experts Group (MPEG) cards that are ZV-compliant. A ZV-compliant MPEG card utilizes internal software to change the pin-out configuration of the port
in order to provide a dedicated video bus. The card also features
built-in ports for accepting video-in signals. By connecting devices to
the video-in ports on the ZV-card, the ZVport becomes a capture port.
Using the ZVport with a MPEG ZV-compliant
card, a laptop or notebook can capture television programs and record
them to hard disk. The incoming signal is first displayed full-screen,
then software hands off the signal to the CPU to process for storage on the hard disk. A ZVport card also captures digital audio and can play back in full digital surround sound. The MPEG ZV-card is the equivalent of an add-on desktop TV tuner card.
In addition to capturing programs, a ZVport
card can also be used for streaming live video conferencing, gaming
applications, and making home movies. Software provides the ability to
edit movies for a professional-style home video studio.
Video input ports vary on MPEG ZV-compliant cards depending on the card itself. Most cards include composite video-in, S-Video and cable-in. Some utilize a single proprietary port that uses a multi-purpose cable or dongle which accommodates all of these tasks, even supporting a remote control. Typically, ZVport
cards also feature composite and S-Video output for watching the movies
you’ve created on an external monitor such as a television.
$ tree --help
usage: tree [-adfgilnpqrstuxACDFNS] [-H baseHREF] [-T title ] [-L level [-R]]
[-P pattern] [-I pattern] [-o filename] [--version] [--help] [--inodes]
[--device] [--noreport] [--nolinks] [--dirsfirst] [--charset charset]
[<directory list>] -a All files are listed. -d List directories only.
-l Follow symbolic links like directories.
-f Print the full path prefix for each file.
-i Don't print indentation lines.
-q Print non-printable characters as '?'.
-N Print non-printable characters as is.
-p Print the protections for each file.
-u Displays file owner or UID number.
-g Displays file group owner or GID number.
-s Print the size in bytes of each file.
-D Print the date of last modification. -F Appends '/', '=', '*', or '|' as per ls -F.
-r Sort files in reverse alphanumeric order.
-t Sort files by last modification time.
-x Stay on current filesystem only. -L level Descend only level directories deep.
-A Print ANSI lines graphic indentation lines.
-S Print with ASCII graphics indentation lines.
-n Turn colorization off always (-C overrides).
-C Turn colorization on always.
-P pattern List only those files that match the pattern given.
-I pattern Do not list files that match the given pattern.
-H baseHREF Prints out HTML format with baseHREF as top directory.
-T string Replace the default HTML title and H1 header with string.
-R Rerun tree when max dir level reached.
-o file Output to file instead of stdout.
--inodes Print inode number of each file.
--device Print device ID number to which each file belongs.
--noreport Turn off file/directory count at end of tree listing.
--nolinks Turn off hyperlinks in HTML output.
--dirsfirst List directories before files.
--charset X Use charset X for HTML and indentation line output.
tree는 트리 구조로 보여주는 녀석인데, 기본적으로 Recursive 하게 디렉토리를 검색해서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조금은 귀찮았던 녀석인데, directory depth를 제한 할 수 있는 옵션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사고/보수 통제시에 몇개 차선을 통제 하게 되는데
길어야 몇백 미터 앞에서 한번에 몇개 차선을 잡아 버린다.
물론 2개 차선을 통제 한다고 하면 사선으로 끼어 들도록 만들어 놓지만,
몇백 미터 이내에 달리던 차들이 통제되는 상황은 유쾌하지 않을뿐더러
끼어들기로 인해서 상당히 지체가 되는 문제가 있다.
어쩌면 500m 이런 짧은 구간이 아닌 2km 나 3km 전부터 단계적으로 한차선씩 좁혀 나가면서 사고구간이나
공사구간은 1차선만 사용하도록 멀리서 부터 전체적인 교통의 흐름을 제한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강변북로 4차선중, 도로 교량 보수로 인해 3차선을 통제 하는데,
대략 2km가 마비 되었고, 통제 구간은 길어야 200m 정도를 통제했다.
이럴바에는 차라리 이전의 3km 구간 정도를 500m 정도씩 거리를 두고 1차선씩 줄여 나가
자연스럽게 1차선으로 합쳐지도록 유도를 하고, 통제구간인 1차선을 가도록 하면 훨신 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이번에도 애인님이 보여주신 영화!
솔찍히 매우 기대하고 본 영화이지만, 너무 기대를 해서일까. 그리 좋은 평은 내리지 못할것 같다.
물론 노잉의 막장 시나리오에 비하면 조금은 나은편이긴 하지만 말이다.
그래픽 : 5/5
시나리오 : 3/5
긴장감 : 2/5
사운드 : 4/5
솔찍히 별점을 주자면, 2점~3점 / 5점 을 주고 싶은 영화이다.
물론 돈주고 보기에는 나쁜 영화는 아니지만,
조금은 억지스러운 웃음을 지어내게 하는 코믹연기와 약간은 개연성이 부족한 전개
그리고 보여주기 위한 어거지성 3D 롤러코스터 액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영화가 나쁘지 않음은
싸구려 인류애를 조금은 자극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157분이라는 상영시간이 그리 길게만은 느껴지지 않은 시간 때우기에는 좋은 영화이다.
(보고나서 영화정보에서 시간을 확인하고 화들짝 놀람 -ㅁ-)
개인적으로 마음에 안드는건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처음의 도입부분에, 중성미자(뉴트리노) 검출장치가 지하에 있는데 뉴트리노와 물이 반응해서 뜨거워지고 있고 이 중성미자는 태양풍을 타고 지구로와 지구를 데운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중성미자는 현재까지는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걸로 알고 있는데 왜 그러냐는 말에 별다른 과학적 제시를 하지 못하고 그냥 현상만 보여준다. 부글부글 끓는 빛나는 물.
이건 머.. 패러다임의 변화 정도가 아니라 과학붕괴 수준?
그리고 나서는 지각이 녹아 내리네 대륙이 급속이 이동하네 이런식의 전개밖에 나오지 않는다는점.
시간당 1도(지구 크기를 감안하면 경도/위도 1도면 엄청난 거리이다) 정도의 엄청난 속도의 지각이 이동하는데 내륙의 티벳 에 비밀리에 건조중인 ark가 그다지 손상을 입지 않았다는 것도 좀 웃기다. 물론 그 이전의 지진으로 인해 하나의 ark가 손상을 입긴 하지만, 이정도의 전지구적인 변동이 3년 정도에 이루어 진다는 점, 극단적으로 몇일 사이에 대부분의 대륙이 파괴되며 새로 개편되는 정도의 손상을 입으면서 이러한 시설들은 손상을 입지 않는 다는 설정역시 좀 어거지. 물론 상대적으로 지각이 안정적이며 두터운 부분이라고 생각이 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늦게 손상을 입긴 하겠지만 확실히 개연성을 느끼기에는 2% 부족한 설정이다.
지구는 거의 괴멸 상태인데 멀쩡하게 작동하는 전자장비들과, 인공위성들. 위에서 중성미자가 물과 반응해서 온도를 데우는 정도라면, 우주에서 오는 우주선(cosmic ray)에 실린 중성미자들은 위성은 다 파괴하고, 별다른 EMP 대책이 세워져 있지 않은 대부분의 민간용 장비들은 교란을 받아 실제로 사용하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그리고 Ark 는... 말도 안되는 막장 내구도. 무슨 빙하게 부딛히고 그래도 끄덕도 안하고, 탱크보다 더 튼튼한거 같다. 배끼리 부딛혀도 꿈적도 안하는데 마지막에 보면 창문식으로 되서 열리는 구조.. 탱크보다 튼튼한 made in china 제품.
아무튼.. 먼가 그럴싸하게 진행되서 우주선일줄 알고 기대했더니.. 배 OTL. 머.. Ark 자체가 노아의 방주로 해석되고 배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성경에 매우 충실한 해석을 따르고 있긴 하지만, 함교라던가 이런 느낌은 스타트렉으로 난 우주로 날아 갈줄만 알았다 ㄱ-
(마침 나오는 여배우도 스타트렉에서 나왔던거 같은데, 미션 임파서블 3 여주인공이 무려! 대통령 딸래미로)
마지막에 방주는 3개 밖에 안보이는데 다른건 어찌 되었는지는 일단 모르겠고.. 물에도 침수되지 않은 아프리카의 희망봉으로 떠난다고 하는데. 물에 침수가 되지 않았다는건 인류가 살아 있다는 것이고, 그말은 또 다시 제 2의 아메라케의 인디언이 발생하는건 아닐까 라는 씁쓸함이 몰려왔다. 과학기술로 살아 남은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토착민들을 학살하고 신인류로서 살아가는 모습. 그리고 그 인류들 마저도 돈으로 연명한 목숨들..
러시아 비행기로 나오는 녀석은 도대체 정체를 모르겠다.
크기라던가 이런 느낌으로 봐서는 AN-22 인거 같기도 하고, AN-124 같기도 하고..
검색을 계속 해보니.. AN-225 인거 같기도 하고.. 결국은 큰게 장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