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에 해당되는 글 13358건

  1. 2010.04.27 DHCP / BOOTP / TFTP 4
  2. 2010.04.26 비온다. 8
  3. 2010.04.25 S.M.A.R.T monitor for windows 2
  4. 2010.04.25 PXE 부팅하기
  5. 2010.04.25 광화문 / 경복궁 4
  6. 2010.04.24 기자가 안티! 4
  7. 2010.04.23 cvs2svn 사용방법 2
  8. 2010.04.23 svn / svnadmin 도움말
  9. 2010.04.23 SAX (Simple API for XML)
  10. 2010.04.23 태국어(Thai) / 히브리어(Hebrew)
확인은 좀 해봐야겠지만, BOOTP와 TFTP의 연관관계가 궁금해졌다.

일단 bootp는 BOOTstrap Protocol의 약자이고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TFTP는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이며, FTP가 TCP로 전송하는데 반해, TFTP는 UDP를 사용한다.

BOOTP 역시 DHCP와 동일하게 IP를 주어주지만,
DHCP 와는 다르게, 부팅시에만 아이피를 주며 부팅이후에 아이피를 변경하는데 관여하지는 않는다.

아무튼 가장 궁금했던 bootp와 tftp의 연관은, 아래에 설명이 되어있다.

다음과 같이 2 단계 bootstrap 구성 프로세스를 설명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BOOTP 서버에 연결하여 주소를 결정하고 부팅 파일 이름을 선택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에 연결하여 부팅 이미지의 파일을 전송합니다.

[링크 :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cc781243%28WS.10%29.aspx]
bootp는 아이피랑 부팅 파일을 알려주고
tftp를 통해 부팅 이미지 파일을 보내준다.

윈도우에서는 tftpd32 라는 프로그램이 tftp + bootp의 역활을 했기에 단일 프로그램으로 가능했지만
리눅스에서는 bootp + tftp 의 조합으로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d-i.alioth.debian.org/manual/ko.powerpc/ch04s05.html]

group {
         filename "Xncd19r";
         next-server ncd-booter;

         host ncd1 { hardware ethernet 0:c0:c3:49:2b:57; }
         host ncd4 { hardware ethernet 0:c0:c3:80:fc:32; }
         host ncd8 { hardware ethernet 0:c0:c3:22:46:81; }
       }

[링크 : http://www.daemon-systems.org/man/dhcpd.conf.5.html]

be BootP exclude tag list
   bf    Bootfile

bi BootP include tag list
   bs    Bootfile size in 512-octet blocks
   cf    Client FQDN
   cl    (DHCP) Client Identifier (unquoted hex string)

[링크 : http://www.net.princeton.edu/hostmaster/fieldInfo/bootptab.5.html]

머, dhcp에도 bootp에도 부팅용 파일을 설정하는 구문이 있는것 봐서는
dhcp + tftp 조합이나, bootp + tftp 조합으로 PXE를 진행하면 될것으로 추측된다.

'프로그램 사용 > PXE(네트워크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xe boot  (0) 2023.06.21
DHCP hostname  (0) 2020.10.14
PXE 부팅하기  (0) 2010.04.25
PXE를 통한 우분투/XP 설치  (0) 2009.12.09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0. 4. 26. 17:52
펑펑온다.





누굴 위한 비일까....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ffice를 기억하시나요?  (0) 2010.05.12
페이스북 가입!  (4) 2010.04.28
참 혹은 거짓. 그리고 경계  (0) 2010.04.21
딸기  (8) 2010.04.18
전 지대로 컴맹이빈다 /ㅁ/  (8) 2010.04.14
Posted by 구차니
파일방2010. 4. 25. 23:33
SMART는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or S.M.A.R.T. (sometimes written as SMART), is a monitoring system for computer hard disks to detect and report on various indicators of reliability, in the hope of anticipating failure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M.A.R.T.]
요런 뜻이다. 머 하드디스크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자기 스스로 확인을 하는 것이다.

완전하게 windows용으로 포팅된게 아니라,
GUI도 없이 콘솔에서 작동해야 하며, 명령어에 리눅스식 하드디스크 명명법을 사용한다.!




[링크 : http://sourceforge.net/projects/smartmontools/]

'파일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Reverse Engineering Compiler) / Decompiler  (0) 2010.05.01
WOL(Wake On LAN)  (4) 2010.04.28
파일 자르기 (file split , rzsplit, rzjoin)  (4) 2010.04.14
구차니즘 스킨 [백업용]  (0) 2010.03.31
CCleaner 좋은데?  (0) 2010.01.06
Posted by 구차니
tftpd32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하는 방법을 따라해 보았다.
[링크 : http://blog.cuwoom.net/117]


나의 경우에는, 192.168.0.1 이 공유기이다.
공유기가 있어서 DHCP 충돌나지는 않을까 bootp에 문제가 없을까 걱정했는데
아무런 문제없이, tftpd32에서 제대로 받아갔다.

차이점.
1. pxelinux.0 파일은 링크와는 다르게!!
   ftp://archive.ubuntu.com/ubuntu/dists/karmic/main/installer-i386/current/images/netboot/netboot.targ.z
   을 받아, ./ubuntu_installer/i386/ 디렉토리를 추출하여 사용했다.
   그냥 압축을 풀어보면 용량이 0로 나오고, 부팅을 진행하면 install을 눌러도 넘어가지 않는다.
   0바이트 파일은 sybmolic link라서 윈도우에서는 제대로 연결을 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 에 존재하는 파일은 용량이 0 이다.
i386의 내용중 pxelinux.cfg와 pxelinux.0를 tftpd32 루트로 옮겨준다.

이런식으로 옮겨주면 된다.

PXE 부팅 설정으로 들어가려면 Shift-F10을 누르라고 하는데
들어가도 설정한건 없어서 그냥 나왔으니 패스 -ㅁ-!

꼼지락 대면서 BOOTP를 통해 ip와 pxelinux.0를 받으려고 한다.

받아온 아이피는 192.168.0.200 그리고 DHCP 서버는 tftpd32가 설치된 0.100 이다.
tftp를 통해 pxelinux.cfg 파일을 읽고 내용을 받아와서 부팅이 된다.


'프로그램 사용 > PXE(네트워크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xe boot  (0) 2023.06.21
DHCP hostname  (0) 2020.10.14
DHCP / BOOTP / TFTP  (4) 2010.04.27
PXE를 통한 우분투/XP 설치  (0) 2009.12.09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영화2010. 4. 25. 20:09
광화문 지하의 전시관 - '세종이야기'
분할화면에서 이어지도록 구성하여 수묵화 느낌으로 동영상을 구성했는데 멋졌다.

정이품송 나무를 저기다가 옮겨놔야.... (응?)

문양이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한참을보다 보니
기다란 막대에 짧은 녀석들로 구성된 문양.
그건 그렇고.. 촌스러워지기 쉬운 녹색인데 이쁘게 잘 고른 조상의 지혜?!

경성전철안내도
TV에서나 보던 과거의 전철모형에 붙어있던 노선도이다.
그때도 왕십리까지는 노선이 있었군!

옆에 도망가던 까치 한마리



'개소리 왈왈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렉 포에버(2010, Dreamworks) + 4DPlex  (2) 2010.07.04
아이언맨 2  (8) 2010.05.02
애인네 고양이  (9) 2010.04.21
free for what?  (0) 2010.04.02
end of D+848  (0) 2010.03.29
Posted by 구차니

위는 기자가 안티인 예!


아래는 기자가 광팬인 예!


Posted by 구차니
예전글에서 프로젝트 리비전을 분할관리 해야할 것 같아서 다시 한번 시도를 해봤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

USAGE:
cvs2svn [OPTIONS]... [-s SVN-REPOS-PATH|--dumpfile=PATH|--dry-run] CVS-REPOS-PATH
cvs2svn [OPTIONS]... --options=PATH
CVS-REPOS-PATH The filesystem path of the part of the CVS repository that you want to convert. It is not possible to convert a CVS repository to which you only have remote access; see the FAQ for details. This doesn't have to be the top level directory of a CVS repository; it can point at a project within a repository, in which case only that project will be converted. This path or one of its parent directories has to contain a subdirectory called CVSROOT (though the CVSROOT directory can be empty).
Configuration via options file
--options=PATH Read the conversion options from the specified file. See section options file method for more information.
Output options
-s PATH
--svnrepos PATH
Write the output of the conversion into a Subversion repository located at PATH. This option causes a new Subversion repository to be created at PATH unless the --existing-svnrepos option is also used.

[링크 : http://cvs2svn.tigris.org/cvs2svn.html]



예를들어
/home/cvs
|-- CVSROOT
|-- Project1
|-- Project2
`-- Project3
이런구조의 cvs repository라면,

$ cvs2svn --svnrepos /home/svn/ --encoding=cp949 /home/cvs/
으로 할경우, 리비전이 전부 하나로 묶이고, 프로젝트가 분리되지 않는다.

$ cvs2svn --svnrepos /home/svn/Project1 --encoding=cp949 /home/cvs/Project1
$ cvs2svn --svnrepos /home/svn/Project2 --encoding=cp949 /home/cvs/Project2
$ cvs2svn --svnrepos /home/svn/Project3 --encoding=cp949 /home/cvs/Project3
이렇게 하면 개별 프로젝트로 repository가 생성이 된다.
(부가적으로 revision이 단순해져서 변환도 상대적으로 빨라지는 듯하다)

2009/05/10 - [프로그램 사용/CVS / SVN / GIT] - cvs2svn 사용방법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SVN  (0) 2010.09.09
TortoiseSVN tag/branch = copy  (2) 2010.04.30
svn / svnadmin 도움말  (0) 2010.04.23
CVS / SVN 장단점, 차이점 비교  (6) 2010.04.07
GIT는 리눅스에서 받으시는걸 추천합니다.  (0) 2010.03.18
Posted by 구차니
자세히 보면 티가 나지만, 어떤녀석은 URL 이고 어떤 녀석은 PATH이다.
일단 URL에서 파일 경로일 경우에는 file:/// 이라고 / 개 3개가 들어가야 한다.

$ svnadmin create [repository direcotry name]
$ svn checkout file:///[absolute path] [name of repository which will create]

머.. 일단 콘솔에서는 이렇게 초기화 하고 만들면 될 듯.

$ svnadmin help
general usage: svnadmin SUBCOMMAND REPOS_PATH  [ARGS & OPTIONS ...]
Type 'svnadmin help <subcommand>' for help on a specific subcommand.

Available subcommands:
   crashtest
   create
   deltify
   dump
   help (?, h)
   hotcopy
   list-dblogs
   list-unused-dblogs
   load
   lslocks
   lstxns
   recover
   rmlocks
   rmtxns
   setlog
   verify

$ svnadmin help create
create: usage: svnadmin create REPOS_PATH

Create a new, empty repository at REPOS_PATH.

Valid options:
  --bdb-txn-nosync         : disable fsync at transaction commit [Berkeley DB]
  --bdb-log-keep           : disable automatic log file removal [Berkeley DB]
  --config-dir arg         : read user configuration files from directory ARG
  --fs-type arg            : type of repository: 'fsfs' (default) or 'bdb'

$ svn help
usage: svn <subcommand> [options] [args]
Subversion command-line client, version 1.3.2.
Type 'svn help <subcommand>' for help on a specific subcommand.

Most subcommands take file and/or directory arguments, recursing
on the directories.  If no arguments are supplied to such a
command, it recurses on the current directory (inclusive) by default.

Available subcommands:
   add
   blame (praise, annotate, ann)
   cat
   checkout (co)
   cleanup
   commit (ci)
   copy (cp)
   delete (del, remove, rm)
   diff (di)
   export
   help (?, h)
   import
   info
   list (ls)
   lock
   log
   merge
   mkdir
   move (mv, rename, ren)
   propdel (pdel, pd)
   propedit (pedit, pe)
   propget (pget, pg)
   proplist (plist, pl)
   propset (pset, ps)
   resolved
   revert
   status (stat, st)
   switch (sw)
   unlock
   update (up)

Subversion is a tool for version control.
For additional information, see http://subversion.tigris.org/

$ svn help list
list (ls): List directory entries in the repository.
usage: list [TARGET[@REV]...]

  List each TARGET file and the contents of each TARGET directory as
  they exist in the repository.  If TARGET is a working copy path, the
  corresponding repository URL will be used. If specified, REV determines
  in which revision the target is first looked up.

  The default TARGET is '.', meaning the repository URL of the current
  working directory.

  With --verbose, the following fields will be shown for each item:

    Revision number of the last commit
    Author of the last commit
    If locked, the letter 'O'.  (Use 'svn info URL' to see details)
    Size (in bytes)
    Date and time of the last commit

Valid options:
  -r [--revision] arg      : ARG (some commands also take ARG1:ARG2 range)
                             A revision argument can be one of:
                                NUMBER       revision number
                                "{" DATE "}" revision at start of the date
                                "HEAD"       latest in repository
                                "BASE"       base rev of item's working copy
                                "COMMITTED"  last commit at or before BASE
                                "PREV"       revision just before COMMITTED
  -v [--verbose]           : print extra information
  -R [--recursive]         : descend recursively
  --incremental            : give output suitable for concatenation
  --xml                    : output in XML
  --username arg           : specify a username ARG
  --password arg           : specify a password ARG
  --no-auth-cache          : do not cache authentication tokens
  --non-interactive        : do no interactive prompting
  --config-dir arg         : read user configuration files from directory ARG

$ svn help checkout
checkout (co): Check out a working copy from a repository.
usage: checkout URL[@REV]... [PATH]

  If specified, REV determines in which revision the URL is first
  looked up.

  If PATH is omitted, the basename of the URL will be used as
  the destination. If multiple URLs are given each will be checked
  out into a sub-directory of PATH, with the name of the sub-directory
  being the basename of the URL.

Valid options:
  -r [--revision] arg      : ARG (some commands also take ARG1:ARG2 range)
                             A revision argument can be one of:
                                NUMBER       revision number
                                "{" DATE "}" revision at start of the date
                                "HEAD"       latest in repository
                                "BASE"       base rev of item's working copy
                                "COMMITTED"  last commit at or before BASE
                                "PREV"       revision just before COMMITTED
  -q [--quiet]             : print as little as possible
  -N [--non-recursive]     : operate on single directory only
  --username arg           : specify a username ARG
  --password arg           : specify a password ARG
  --no-auth-cache          : do not cache authentication tokens
  --non-interactive        : do no interactive prompting
  --config-dir arg         : read user configuration files from directory ARG
  --ignore-externals       : ignore externals definitions


'프로그램 사용 > Version Contr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rtoiseSVN tag/branch = copy  (2) 2010.04.30
cvs2svn 사용방법 2  (0) 2010.04.23
CVS / SVN 장단점, 차이점 비교  (6) 2010.04.07
GIT는 리눅스에서 받으시는걸 추천합니다.  (0) 2010.03.18
TortoiseGIT  (0) 2010.03.18
Posted by 구차니
expat도 SAX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방식측면에서는 event-driven 이니 SAX는 맞는것 같다.

아무튼, DOM 구조가 없으니 navigation은 힘든편.

SAX (Simple API for XML) is a serial access parser API for XML. SAX provides a mechanism for reading data from an XML document. It is a popular alternative to the Document Object Model (DOM).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Simple_API_for_XML]

DOM vs SAX 파서

두 가지 유형의 XML 문서 파서가 있다. 이들은 XML 문서에 액세스하는 방식부터 다르다:

  • Document Object Model (DOM). XML 문서로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에 사용된다. DOM의 장점은 메모리 안에 문서의 전체 모델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모든 XML 엘리먼트에 어떤 순서로든지 액세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큰 문서의 경우 둔해 질 수 있다. 메모리에서 실행시키지 않으면 시스템이 한계에 다다를 때 퍼포먼스가 느려진다.
  • Simple API for XML (SAX). 순차적 액세스(sequential access)에 사용된다. SAX의 장점은 문서의 한 부분이 메모리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문서를 핸들할 수 있다는 점이다. SAX의 단점은 엘리먼트를 순서대로 처리해야 하며 한번에 볼 수 있는 문서 부분도 작다. SAX를 이용하여 문서를 파싱할 때 XML 부분을 저장할 수 있다.

[링크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j-xmljava/]

Simple API for XML (SAX) 이벤트 중심 API이다. XML 마크업의 다른 부분들(시작과 끝 태그, 텍스트, 엔터티)에서 실행된 특정 이벤트용 핸들러 코드를 등록한다. 이 파서는 인풋 XML에 기반하여 이러한 이벤트들의 스트림을 보내면, 핸들러 코드는 이를 처리한다.

[링크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xml/standards/x-saxspec.html]

SAX is the Simple API for XML, originally a Java-only API. SAX was the first widely adopted API for XML in Java, and is a “de facto” standard.

[링크 : http://www.saxproject.org/] SAX 공식


Posted by 구차니
위는 태국어
아래는 히브리어


태국어가 획이 많을뿐, 느낌은 비슷하다?

이스라엘에서 국어로서 히브리어/아랍어를 사용하며,
아랍어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쓴다.
유니코드 상에서는 0x0590 ~ 0x05FF 영역이며, 0xFB1E ~ 0xFB4F 영역에도 존재한다. (뒤에 영역은 머지?)
모양을 보니, 아랍어와 같이 첨자가 붙어 조합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링크 :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X32946] 타이어
[링크 :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X12664] 히브리어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타이]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이스라엘]
[링크 : http://www.hope-ind.com/Elpis/Elpis_home.htm]


아무튼 계통이 전혀 다른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유사해 보이는건.. 특이한 경우인가?
 언어 계통따이까다이어족
 깜따이어파
  Be-Tai
   Tai-Sek
    타이어군
     남 서타이
      동타이
       Chiang Saeng
        타이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 부셈어
    북서셈어
     가나안어
      히 브리어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