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 빡세다
'개소리 왈왈 > 육아관련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탈, 몸살, 피곤 (0) | 2023.09.06 |
---|---|
피곤 (0) | 2023.09.03 |
처갓댁 방문 (0) | 2023.08.13 |
낮잠을 잘 수가 없네!!! (0) | 2023.08.12 |
피곤 (0) | 2023.08.11 |
어우 빡세다
배탈, 몸살, 피곤 (0) | 2023.09.06 |
---|---|
피곤 (0) | 2023.09.03 |
처갓댁 방문 (0) | 2023.08.13 |
낮잠을 잘 수가 없네!!! (0) | 2023.08.12 |
피곤 (0) | 2023.08.11 |
참고 문서는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되고
[링크 : https://askubuntu.com/questions/377937/how-do-i-set-a-custom-resolution]
[링크 : https://ubuntuhandbook.org/index.php/2017/04/custom-screen-resolution-ubuntu-desktop/]
결과만 말하자면 일단 윈도우 때 처럼 산뜻하게 나오지도 않고
동영상을 틀 방법을 아직 찾지 못해 셔터글라스만 작동하는 것 까지만 확인함
edid 수집하고
$ sudo get-edid This is read-edid version 3.0.2. Prepare for some fun. Attempting to use i2c interface No EDID on bus 0 No EDID on bus 3 No EDID on bus 4 No EDID on bus 5 No EDID on bus 6 2 potential busses found: 1 2 Will scan through until the first EDID is found. Pass a bus number as an option to this program to go only for that one. 256-byte EDID successfully retrieved from i2c bus 1 ������ ��,%x ���[V�%O]��E|a|a�����@�@� �Q 0H�6�0xc �BENQ �MP780ST ������� ��,%x ���[V�%O]��E|a|a�����@�@� �Q 0H�6�0xc �BENQ �MP780ST Looks like i2c was successful. Have a good day. |
rgb로 연결하고 edid를 파싱했는데 benq MP780ST 모델에 2010년 37주차 생산
수직 해상도 48~120로 나오고 1280x800은 보이는데 83.50 이면.. 웬지 60p일 느낌인데
$ parse-edid < /tmp/edid Checksum Correct Section "Monitor" Identifier "MP780ST" ModelName "MP780ST" VendorName "BNQ" # Monitor Manufactured week 37 of 2010 # EDID version 1.3 # Analog Display Option "SyncOnGreen" "true" # Display Physical Size not given. Normal for projectors. Gamma 2.20 Option "DPMS" "false" Horizsync 31-99 VertRefresh 48-120 # Maximum pixel clock is 170MHz #Not giving standard mode: 1280x720, 120Hz #Not giving standard mode: 800x600, 12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024x768, 12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024x576, 6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280x1024, 6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440x900, 6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400x1050, 60Hz #Not giving standard mode: 1600x1200, 60Hz Modeline "Mode 0" 83.50 1280 1352 1480 1680 800 803 809 831 -hsync +vsync EndSection |
xrandr 하니 xwayland 혹시나 해서 진행했지만 설정이 안 먹어서 x.org로 교체 하고 다시 시도
$ xrandr Screen 0: minimum 16 x 16, current 2560 x 800, maximum 32767 x 32767 XWAYLAND0 connected primary 1280x800+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260mm x 160mm 1280x800 59.81*+ 1024x768 59.92 800x600 59.86 640x480 59.38 320x240 59.52 720x480 59.71 640x400 59.20 320x200 58.96 1280x720 59.86 1024x576 59.90 864x486 59.92 720x400 59.55 640x350 59.77 XWAYLAND1 connected 1280x800+128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0mm x 0mm 1280x800 59.63*+ 1024x768 59.68 800x600 59.47 640x480 59.38 320x240 59.52 720x480 59.71 640x400 59.20 320x200 58.96 1280x720 59.65 1024x576 59.58 864x486 59.45 720x400 59.55 640x350 58.91 |
$ cvt 1280 800 120 # 1280x800 119.85 Hz (CVT) hsync: 103.07 kHz; pclk: 179.75 MHz Modeline "1280x800_120.00" 179.75 1280 1376 1512 1744 800 803 809 860 -hsync +vsync |
$ xrandr --listmonitors Monitors: 2 0: +*XWAYLAND0 1280/260x800/160+0+0 XWAYLAND0 1: +XWAYLAND1 1280/339x800/212+1280+0 XWAYLAND1 |
$ xrandr --addmode XWAYLAND1 1280x800_120.00 |
x.org로 하면 LVDS-1 / VGA-1과 같이 좀 익숙한(?) 용어가 나온다.
역시 wayland는 아직까진 x.org를 대체하기에는 너무 부족한듯..
edid를 기반으로 생성될텐데 1280x800에 120은 없다.
$ xrandr Screen 0: minimum 320 x 200, current 2560 x 800, maximum 8192 x 8192 LVDS-1 connected primary 1280x800+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261mm x 163mm 1280x800 59.98*+ 59.98 39.98 1280x720 59.98 1024x768 59.98 960x720 59.98 928x696 59.98 896x672 59.98 1024x576 59.97 960x600 59.98 960x540 59.98 800x600 59.98 840x525 59.98 864x486 59.97 700x525 59.98 800x450 59.98 640x512 59.98 700x450 59.98 640x480 59.97 720x405 59.98 684x384 59.98 640x360 59.97 512x384 59.97 512x288 59.97 480x270 59.98 400x300 59.97 432x243 59.97 320x240 59.97 360x202 59.97 320x180 59.97 VGA-1 connected 1280x800+128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0mm x 0mm 1280x800 59.81*+ 1600x1200 60.00 1400x1050 59.98 1280x1024 75.02 60.02 1440x900 59.89 1152x864 75.00 1024x768 75.03 70.07 60.00 832x624 74.55 800x600 72.19 75.00 60.32 640x480 75.00 72.81 66.67 59.94 720x400 70.08 HDMI-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DP-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
장치가 추가해야 하니 장치명을 다시 확인하고
$ xrandr --listmonitors Monitors: 2 0: +*LVDS-1 1280/261x800/163+0+0 LVDS-1 1: +VGA-1 1280/339x800/212+1280+0 VGA-1 |
타이밍을 확인해서
$ cvt 1280 800 120 # 1280x800 119.85 Hz (CVT) hsync: 103.07 kHz; pclk: 179.75 MHz Modeline "1280x800_120.00" 179.75 1280 1376 1512 1744 800 803 809 860 -hsync +vsync |
신규 해상도를 타이밍 값에서 modeline을 제외하고 붙여넣어주면 끝
$ xrandr --newmode "1280x800_120.00" 179.75 1280 1376 1512 1744 800 803 809 860 -hsync +vsync |
그리고는 스크린에 해당 해상도를 추가해주면
$ xrandr --addmode VGA-1 1280x800_120.00 |
디스플레이 설정에 120Hz가 나온다.
3d 영상을 리눅스에서 재생하기 (0) | 2023.08.20 |
---|---|
benq edid part2 - hdmi 800p120 / ubuntu / 3세대 실패 (0) | 2023.08.20 |
MP780ST USB 및 QPresenter (0) | 2023.08.17 |
pixel clock 픽셀클럭 계산기 (2) | 2023.08.17 |
benq mp780st 120p (0) | 2023.08.16 |
리눅스에서 edid를 보는 또 다른 유틸리티. edid-decode 는 순수하게(?) 해석만 한다면
해당 패키지는 get-edid로 모니터로 부터 edid를 수집하고, parse-edid로 해석을 해준다
$ sudo get-edid > /tmp/edid $ parse-edid < /tmp/edid |
[링크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114359/how-to-get-edid-for-a-single-monitor]
ubuntu pro? (2) | 2024.01.31 |
---|---|
debian nvme tool (0) | 2023.08.28 |
ubutnu file(파일) 에서 삼바 목록 안나오고 부적절한 인수 에러 (0) | 2023.07.24 |
htop graph style (0) | 2023.07.07 |
mono-complete (0) | 2023.07.05 |
USB 디스플레이가 된다고 해서 찾아보니, Q Presenter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혹은 USB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인듯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USB C to HDMI 혹은 USB VGA 와 같은 확장 디스플레이로 작동하는건 아닌 듯.
• LAN 디스플레이 4-1 (1 대의 프로젝터당 최대 4 대의 PC/ 노트북 표시 ) • LAN 및 USB 디스플레이 1-M 을 위한 원격 데스크톱 기능 (8 대의 프로젝터당 최대 1 대의 PC/ 노트북을 동시에 표시 가능 ) • USB 디스플레이는 USB 미니 B 타입 케이블을 이용해 A 타입 케이블에 연결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 • USB 리더기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 디스플레이를 지원합니다 . |
benq edid part2 - hdmi 800p120 / ubuntu / 3세대 실패 (0) | 2023.08.20 |
---|---|
benq edid 2세대 노트북 시도 실패 (0) | 2023.08.18 |
pixel clock 픽셀클럭 계산기 (2) | 2023.08.17 |
benq mp780st 120p (0) | 2023.08.16 |
3d ready 빔 프로젝터 + 팟 플레이어 (0) | 2023.08.15 |
DMT랑 CVT-RB랑 동일하다.
CVT CVT-RB CVT-RBv2 CEA-861 DMT Custom Aspect Ratio 16:10 16:10 16:10 16:10 16:10 Pixel Clock 179.75 146.25 138.23 146.25 131.539 MHz H Total 1744 1440 1360 1440 1360 Pixels H Active 1280 1280 1280 1280 1280 Pixels H Blank 464 160 80 160 80 Pixels H Front Porch 96 48 8 48 Pixels H Sync 136 32 32 32 Pixels H Back Porch 232 80 40 80 Pixels H Sync Polarity - + + + H Freq 103.068 101.563 101.64 101.563 96.72 kHz H Period 9.702 9.846 9.839 9.846 10.339 us V Total 860 847 847 847 806 Lines V Active 800 800 800 800 800 Lines V Blank 60 47 47 47 6 Lines V Blank Duration 582 463 462 463 62 us V Front Porch 3 3 33 3 Lines V Sync 6 6 8 6 Lines V Back Porch 51 38 6 38 Lines V Sync Polarity + - - - V Freq 119.846 119.909 120 119.909 120 Hz V Period 8.344 8.34 8.333 8.34 8.333 ms |
[링크 : https://tomverbeure.github.io/video_timings_calculator]
일단은.. vesa 표준이니 이 타이밍이 맞겠지?
Adopted: 5/1/07 Resolution: 1280 x 800 at 120 Hz (non-interlaced) REDUCED BLANKING EDID ID: DMT ID: 1Fh; Std. 2 Byte Code: n/a; CVT 3 Byte Code: n/a Method: Generated using CVT (Reduced Blanking) Formula Detailed Timing Parameters Timing Name = 1280 x 800 @ 120Hz CVT (Reduced Blanking); Hor Pixels = 1280; // Pixels Ver Pixels = 800; // Lines Hor Frequency = 101.563; // kHz = 9.8 usec / line Ver Frequency = 119.909; // Hz = 8.3 msec / frame Pixel Clock = 146.250; // MHz = 6.8 nsec ± 0.5% Character Width = 8; // Pixels = 54.7 nsec Scan Type = NONINTERLACED; // H Phase = 1.1 % Hor Sync Polarity = POSITIVE; // HBlank = 11.1% of HTotal Ver Sync Polarity = NEGATIVE // VBlank = 5.5% of VTotal Hor Total Time = 9.846; // (usec) = 180 chars = 1440 Pixels Hor Addr Time = 8.752; // (usec) = 160 chars = 1280 Pixels Hor Blank Start = 8.752; // (usec) = 160 chars = 1280 Pixels Hor Blank Time = 1.094; // (usec) = 20 chars = 160 Pixels Hor Sync Start = 9.080; // (usec) = 166 chars = 1328 Pixels // H Right Border = 0.000; // (usec) = 0 chars = 0 Pixels // H Front Porch = 0.328; // (usec) = 6 chars = 48 Pixels Hor Sync Time = 0.219; // (usec) = 4 chars = 32 Pixels // H Back Porch = 0.547; // (usec) = 10 chars = 80 Pixels // H Left Border = 0.000; // (usec) = 0 chars = 0 Pixels Ver Total Time = 8.340; // (msec) = 847 lines HT – (1.06xHA) Ver Addr Time = 7.877; // (msec) = 800 lines = 0.57 Ver Blank Start = 7.877; // (msec) = 800 lines Ver Blank Time = 0.463; // (msec) = 47 lines Ver Sync Start = 7.906; // (msec) = 803 lines // V Bottom Border = 0.000; // (msec) = 0 lines // V Front Porch = 0.030; // (msec) = 3 lines Ver Sync Time = 0.059; // (msec) = 6 lines // V Back Porch = 0.374; // (msec) = 38 lines // V Top Border = 0.000; // (msec) = 0 lines |
benq edid 2세대 노트북 시도 실패 (0) | 2023.08.18 |
---|---|
MP780ST USB 및 QPresenter (0) | 2023.08.17 |
benq mp780st 120p (0) | 2023.08.16 |
3d ready 빔 프로젝터 + 팟 플레이어 (0) | 2023.08.15 |
빔 프로젝터 구매! (0) | 2023.08.14 |
지시자. 그러니까 아래서 make foo로 시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건식이 없는걸로 봐서는 그 이전에 미리 조건식에 의해서 분기를 처리하고
그 아래에서는 조건식 없이 해야 하는건가?
libs_for_gcc = -lgnu normal_libs = ifeq ($(CC),gcc) libs=$(libs_for_gcc) else libs=$(normal_libs) endif foo: $(objects) $(CC) -o foo $(objects) $(libs) |
[링크 : https://www.gnu.org/software/make/manual/html_node/Conditional-Example.html]
[링크 : https://www.gnu.org/software/make/manual/html_node/Conditionals.html]
makefile 매크로(?) (0) | 2023.08.28 |
---|---|
cmake ninja, cmake 옵션주기 (0) | 2022.12.07 |
cmake 옵션 확인 (0) | 2021.01.20 |
cmake 빌드 에러시 (0) | 2021.01.19 |
make order (0) | 2016.06.16 |
RGB로 연결해볼 장비가 없어서 오실로스코프로 연결하는 미친짓을 시도!
다행히(?) 인텔 내장으로도 되긴한데.. 얘가 몇 세대 cpu 더라?
일단 집에 있는 카비레이크 + win10에서는
1024x768 75hz / 1280x800 에는 60Hz만 된다. 800p120은 어떻게 해야하나
결론만 말하자면 3d로는 쓰기 힘들 느낌..
1280 x 800 @ 120p를 RGB(DB-15)를 통해 넣어주어야 3D 메뉴가 활성화 된다.
집에서 사용중인 1050에는 DVI-D 라서 아날로그 빠져있고
120p를 지원하는건 구세대 전용이라면 cpu 성능이 부족해서 컨텐츠를 못 돌릴테고 계륵이로다..
USB A로 연결하면 BenQ projector라는 마우스, 키보드 및 펜으로 인식되는데, USB HID class로 인식되는 듯.
출근길에 찾아보니 원래 PointDraw 라는 2.4GHz 기반의 무선펜이 있고
동시 두개 까지 사용이 가능해야 하는데 중고로 산거라 없는건지, 리퍼비시라고 되어있는데 처음부터 없었던 건진 모르겠다.
MP780ST USB 및 QPresenter (0) | 2023.08.17 |
---|---|
pixel clock 픽셀클럭 계산기 (2) | 2023.08.17 |
3d ready 빔 프로젝터 + 팟 플레이어 (0) | 2023.08.15 |
빔 프로젝터 구매! (0) | 2023.08.14 |
USB-C to HDMI 컨버터 회로 (0) | 2022.01.24 |
pixel clock 픽셀클럭 계산기 (2) | 2023.08.17 |
---|---|
benq mp780st 120p (0) | 2023.08.16 |
빔 프로젝터 구매! (0) | 2023.08.14 |
USB-C to HDMI 컨버터 회로 (0) | 2022.01.24 |
e-paper 보드 발견 (0) | 2022.01.21 |
너무 가격이 더 내려가서
죄송한 마음에 내리기 전 가격으로 구매 ㅋㅋ
이제 DLP link 를 구매해봐야 하나 ㅎㅎ
HDMI 연결해서 해보는데 3d 메뉴가 없어서
메뉴얼을 찾아보니(benq 홈페이지에는 안보여서..) 수직해상도가 120이면 활성화 된다고.
그러면.. side by side나 top and bottom은 미지원인가?
benq mp780st 120p (0) | 2023.08.16 |
---|---|
3d ready 빔 프로젝터 + 팟 플레이어 (0) | 2023.08.15 |
USB-C to HDMI 컨버터 회로 (0) | 2022.01.24 |
e-paper 보드 발견 (0) | 2022.01.21 |
ddi tcon (0) | 2019.06.24 |
이번에는 KT로 가야할 차례인데 어우.. 드럽게 많이 올랐네
기존에 10기가에 5천원도 안했는데 왜이렇게 오른거야 -_-
아무튼 고민하게 되는건 아래 두개 요금제. 그나마 싼게 이거라니..
7기가 + 무제한
10기가 + 무제한
내용 비교해봐도, 주요 제목 제외하면 상세 비용이 동일한데 굳이 10G 갈 필요 없을 것 같아
1원이라도 아끼기 위해 싼걸로 ㄱㄱ!
다만 6개월간만 이 가격이라 또 난민 .ㅠㅠ
유심 쓰던거 재사용하려는데 새거 아니라고 무조건 상담원 행 ㅠㅠ
아무튼 신청중에 거의 롯데카드 필수로 만들어 버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