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사용중인 웹 메일 호스팅 가격을 연장하려고 가격을 뽑아보니 대략 좌절 -_-
그런 이유로 공개되어 있는 웹 메일이 생각이 나서 fckeditor를 지원안하나? 검색을 해보니
당연히(!) plugin 형태로 지원을 하고 있다.

[링크 : http://squirrelmail.org/plugin_view.php?id=209]
[링크 : http://squirrelmail.org]

'프로그램 사용 > ckeditor(웹에디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editor full과 standard 그리고 옵션 설정  (0) 2019.04.03
ckeditor 모드별 모양  (0) 2019.03.08
ckeditor file upload with node.js  (0) 2019.03.07
ckeditor / fckeditor?  (0) 2014.07.16
ckeditor 사용하기  (0) 2013.02.22
Posted by 구차니
프로그램 사용/wiki2011. 6. 14. 22:41
위키 엔진은 어떻게 업그레이드 해야하나 ? 고민을 하다가 검색을 해보니
(db 덤프하고 사진들 다 백업하고 쇼해야 하나 -ㅁ-!)

Command line
From the command line, or an SSH shell or similar, change to the maintenance directory and execute the update script:
$ php update.php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Manual:Upgrading]
[링크 : http://www.mediawiki.org/wiki/Manual:Update.php] 

매우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update.php 를 제공한다!
Posted by 구차니
에어컨이 25도 설정하면 작동했다 안했다 하면서 냄새가 난다.
그래서 24도를 설정하면 얼어죽고 -_-
26도는 꾸준히 냄새가 나고 -_- 


24.5도 이런 설정은 좀 없남?!?!?!?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 마이 허리!  (0) 2011.06.27
메일 호스팅 비싸긴 비싼데...  (0) 2011.06.18
퇴근  (4) 2011.06.04
회 용  (0) 2011.06.03
딸기맛도 아니고 이거 머야~  (2) 2011.06.01
Posted by 구차니
Microsoft2011. 6. 13. 10:31
ntpasswd 와 ophcrack인데
ophcrack은 사전 방식으로 brute force 해버리고 (다르게 말하면 암호를 찾아줌)
ntpasswd는 NTLM/SAM 파일을 직접 수정해 버린다 (암호를 덮어씀)

[링크 : http://pogostick.net/~pnh/ntpasswd/]
[링크 : http://ophcrack.sourceforge.net/]

'Microso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tendable vhd에서 fixed vhd로 변환하기  (0) 2013.10.27
Vista 와 Win7의 점수차이  (0) 2011.08.13
lsass.exe 바이러스!?!??!?!  (2) 2011.05.24
ISA Server  (0) 2011.05.23
windows embeded  (4) 2010.10.0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11. 6. 12. 15:15
일단 따라는 했는데 되려나? ㅠ.ㅠ
가비아는 메뉴가 좀 오락가락해서 직관적으로 쓰기에는 좀 불편한 느낌인데...

아무튼, 대부분의 설정은 무료 부가 서비스인 "네임 플러스"를 사용하면 된다.

[링크 : http://domain.gabia.com/service/nameplus/nameplus_step1.php]


현재 사용중인 설정들은
블로그 연결메일 호스트(MX 레코드) 설정 두가지 이고, 세부 설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비아 호스팅 / 티스토리 블로그 / 다음 e-mail 연결)


질풍노도님의 글 참고!
[링크 : http://zilpoongnodo.com/154]

'개소리 왈왈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걸 신고해 말어?  (2) 2011.06.28
이싸람들이~ 왜 남에 댓글에서 놀고그래!?  (2) 2011.06.24
블로그 minimonk.net 도메인 연결!  (0) 2011.06.12
도메인 메일과 연결하기  (2) 2011.06.09
계륵  (2) 2011.06.09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블로그2011. 6. 12. 14:55
이벤트도 당첨되었으니 감사합니다~ 하고 가입 고고고

그런데.. 막상 환경설정에서 도메인을 추가하려니 안된다 ㅠ.ㅠ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가비아에서는 "무료 네임 플러스" 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데
 
도메임을 때려박고!
관리 기능선택에서 "블로그 연결"을 확 선택하고! 


오오 "다음 Tistory" 보인다 보여!


그리고 나서 환경설정에서 다시 연결하니 된다!!!

[링크 : http://goodforus.net/6]
[링크 : http://www.indianabobs.com/160
Posted by 구차니
하드웨어2011. 6. 11. 23:04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키보드는 iRocks KR-6300 이다.
(하지만 멸종당해서 같은 품명인 KR-6300 frog 라는 넘과 병행 사용)


[링크 : http://pc.danawa.com/price_right.html?defSite=PC&cate1=861&cate2=881&cate3=1005&cate4=0&pcode=226883]
[링크 : http://blog.danawa.com/prod/?prod_c=1188854&cate_c1=861&cate_c2=881&cate_c3=1005&cate_c4=0]


아무튼, 예전에 받아온거 한번 큰 맘(?) 먹고 써볼려고 꺼냈는데
아이락스 키보드에 적응이 되고 가벼운 싸구려 마우스에 적응이 되서인지
이래저래 마음에 안드는 부분만 보인다.

마음에 안드는 부분으로는
1. F1~F11의 키감 / 크기 위치 마음에 안들어!
   Ctrl -F4 로 창을 닫는데 많이 쓰이는 녀석인데 F키들이 동일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익숙함의 차이)
   작은데다가, 반발력이 세서 누르는데 힘이 많이 들어간다.
 

    게다가, F 키를 누르려면 이상한 키를 눌러줘야 한다. 아니 F키가 기본이 되어야 하는거 아냐?!?!


2. 키보드 곡률이 달라서 손목에 힘에 힘이 들어가자나!
    손목을 완전히 펴고 힘없이 타자를 하는 스타일이라서 손목 받침대(?)가 추가 된것이 저~~~언혀 반갑지 않고
    게다가 asdf 라인이 안으로 움푹 들어간 곡선을 그리는 문제로 인해 은근 타자가 힘들다.

    사진을 보면 키보드의 시작 높이 부터가 다르고, 상대적으로 중앙이 낮게 구성되어 있다.


    사진에서 보이듯이 상승을 하다가 중앙에만 푹~ 꺼져 버리는 반면
    이에 반해 아이락스 키보드는 같은 각도로 상승을 한다.

 


3. 으아 마우스 드럽게 크네!
    손이 큰편은 아니지만 작은 마우스에 익숙해진데다가 AA 건전지 2개의 무게로 인해 묵직~한 느낌이다. 
 

4. 휠이 부드러워!!!!
    개인 취향이지만 딱딱딱 끊어지는게 아니라 멈추지 않고 스스스~ 움직이는 휠이라서 멈출수가 없어!!!


하지만 마음에 드는 부분도 있는데
1. 오오 프로그래머를 위한 배려 계산기!!
    누르면 한번에 계산기가 실행된다!!!!!


2. 유리가 깔린 책상에서도 작동되는 마우스!
    사진을 보면 보이겠지만, 유리가 깔리고 그 아래 녹색 부직포가 있는 환경인데 마우스가 잘 따라다닌다



익숙함의 차이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iRock 키보드에 더 마음에 든다.

물론 기본적인 키감이나 마우스의 촉감은 매우 좋은 편이지만
Win7 최적화 이고, 배터리 내장형으로 인해 무게나 크기가 무시 못하고
개발자와 친근한 키들이 보조로 밀려나는 컨셉상의 차이로 인해 쉽사리 친근해지기는 어려운 감이 없진 않다.


[링크 : http://lazion.com/2511747]
[링크 : http://blog.danawa.com/prod/?prod_c=912763&cate_c1=861&cate_c2=881&cate_c3=1006&cate_c4=0


결론 : 그냥 난 싸구려 키보드가 좋음 ㅋㅋ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cend SD 4GB 분해  (0) 2011.07.09
HDD 전송속도  (0) 2011.06.25
MLCC 부품 용량 읽는법  (0) 2011.05.04
NVIDIA 3D vision kit  (0) 2011.03.19
wayland에서 파생된 잡다한 용어들  (0) 2011.02.06
Posted by 구차니
Programming/openGL2011. 6. 9. 20:55
openGL에서 List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저장해 놓는 기능을 한다(고 한다)

glGenLists() 를 통해 배열을 만들고
glNewList() 와 glEndList() 사이의 gl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리스트는 glCallList()를 통해 사용한다.
New가 있으면 Delete가 있듯, glDeleteLists()로 생성한 List를 삭제하면 된다.

이러한 list에는 상태관련 명령어는 들어가지 못한다.

Remember that you cannot place any client state commands in the display list, therefore,glEnableClientState()glVertexPointer() and glNormalPointer()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display list.

[링크 : http://www.songho.ca/opengl/gl_displaylist.html] 
 

Some OpenGL commands cannot be stored in a display list; for example: 
 
glColorPointer() 
glDeleteLists() 
glDisableClientState() 
glFlush() 
glGenLists() 
glGet*() 
glNormalPointer() 
glPixelStore() 
glReadPixels() 
 
-   Commands that set client state and commands that retrieve state values are executed immediately 
-   Calling glNewList within a glNewList / glEndList pair will generate an error
 
[링크 : http://www.movesinstitute.org/~mcdowell/mv4202/notes/lect9.pdf] 

[링크 : http://ivis.cwnu.ac.kr/wiki/index.php/MultipleViewport]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CallList.xml]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CallLists.xml]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GenLists.xml] glGenLists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NewList.xml] glNewList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EndList.xml] glEndList
[링크 : http://www.opengl.org/sdk/docs/man/xhtml/glDeleteLists.xml]

'Programming > openG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GL  (0) 2011.09.24
depth buffer  (0) 2011.09.02
glutIdleFunc  (0) 2011.05.13
openGL 좌표계  (0) 2011.05.06
openGL - DoF  (2) 2011.05.03
Posted by 구차니
Linux2011. 6. 9. 16:25
IBM 이 갑이제~


alog를 man 쳐봐도 안나오는 희한한 좌절스런 시스템 ㅠ.ㅠ

[링크 : http://publib.boulder.ibm.com/infocenter/pseries/v5r3/index.jsp?topic=/com.ibm.aix.doc/doc/base/commandsreference.htm]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ub 부팅 옵션 vga=771  (0) 2011.09.16
intel pro 1000 계열 리눅스 드라이버  (2) 2011.06.24
TSC - Time Stamp Counter  (0) 2011.06.05
zip 파일은 UTF-8을 지원안하려나?  (2) 2011.04.07
fstab  (4) 2011.03.22
Posted by 구차니
분류가 모호한 글2011. 6. 9. 10:47

결론은 NTSC 흑백 버전과 호환성을 위해 칼라정보를 따로 넣고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색상과 FM 소리 주파수를 띄우다 보니 30프레임이 못미치는 29.97fps가 나왔다는 것

The "compatible color" standard retained full backward compatibility with existing black-and-white television sets. Color information was added to the black-and-white image by adding a color subcarrier of 4.5 × 455/572 = 315/88 MHz (approximately 3.58 MHz) to the video signal. To reduce the visibility of interference between the chrominance signal and FM sound carrier required a slight reduction of the frame rate from 30 frames per second to 30/1.001 (approximately 29.97) frames per second, and changing the line frequency from 15,750 Hz to 15,750/1.001 Hz (approximately 15,734.26 Hz).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TSC]
 

개정된 표준안은 이전의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와 완벽하게 호환되도록 하였으며 추가된 색상 정보는 흑백 영상 신호에 3.58 MHz 의 색상 부반송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포함되었다. 색상 부반송파가 추가됨에 따라 기술 상의 문제로 인해 프레임 속도가 초당 30 프레임에서 29.97 프레임으로 약간 줄어들게 되었다.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NTSC]
 


'분류가 모호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ThreeGo  (0) 2011.06.29
dyndns.org 프로토콜 링크  (0) 2011.06.24
잉여력 충전 완료  (0) 2011.06.06
검색봇 막기  (0) 2011.06.05
자격증 - 기술사 / 기능장  (6) 2011.06.01
Posted by 구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