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Windows2011. 7. 26. 14:31
Step 1.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Windows 구성 요소 추가/제거" 를 선택


Step 2.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자세히"를 선택


Step 3. "UPnP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


Step 4. "내 네트워크 환경"을 더블클릭해서 들어오면 다음과 같이 희한한 녀석들이 나타난다.
           현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UPnP 장비의 목록이 나오고 더블 클릭하면 웹 페이지가 뜬다 -ㅁ-
           (하나는 공유기, 하나는 IP Camera 임. 다른 장비들은 어떻게 뜰지 모르겠음)


---
2011.08.01 추가
기다리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트레이에 뜨기도 한다.

---

[링크 : http://www.bitwiseim.com/wiki/index.php?title=Using_UPnP_on_Windows_XP]
Posted by 구차니


아래의 안전 모드 : 설정을 클릭하여 사용하지 않음으로 바꾸면 동영상을 볼 수 있다.
(19금이라던가 여러가지 sensorship 관련 제한을 필터링 해주는 옵션인듯)


[링크 : http://blog.naver.com/hahaj1/20109681239]
Posted by 구차니
영업이랑 싸우다 보면 항상 듣는 소리가 바로
"이 사람들은 전문가라구요. 그 정도도 확인 안해 봤겠어요?" 



근데...
전문가라면서 해결 못해서 헬프 외치고
답은 나에게서 나오는데 그런 소리하는 영업의 심리는 멀까?




전문가의 의미가 바뀐건가?
혼란스럽네 -_-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는 아작나고~ 지름신은 오시고~  (2) 2011.08.08
수능 100일전! + 오늘의 운세  (4) 2011.08.02
일하기 싫어병?  (2) 2011.07.24
지름신고 - 20110721  (6) 2011.07.21
먼가 하는거 없이 바빠  (2) 2011.07.19
Posted by 구차니
원래 삼성안티라 졸라 까고 싶긴하지만
이번 사태를 보면 삼성SDS 개발자들이 무슨죄가 있나 싶긴한데..

일단 16자리까지 나타내는건 어떻게 보면 별거 아닌거 같지만
double 형이 나타낼수 있는 최대 자릿수이고
굳이 이렇게 까지 소수점 자리를 끌어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컴퓨터로서는 한계 자릿수인데 말이다 -_-

그리고 동일 점수일때 처리과정은
개발자가 지정하는게 아니라 윗선에서 내려오는 지시대로 받아서
작성할것일 뿐일텐데 이상하게 화살은 개발자들에게 날아가는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그리고 삼성SDS도 하청에 하청을 주고 만들었을텐데
이러한 구조를 깔생각은 안하고
말단 개발자만 깔 생각을 하니 -_- 에효~

[링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25/2011072500100.html]
Posted by 구차니
embeded/AVR (ATmega,ATtiny)2011. 7. 25. 11:10
2.31E 버전의 경우
Options - Settings - Make Control 에
Message Filtering Level 이라는 설정을 All로 바꾸어 주면된다. (기본은 Messages 였던듯)
물론, 빌드이기 때문에 수정사항이 있거나 Build All을 해주어야 원하는 코드 사이즈가 나온다.


Rebuilding target Debug...
filename.c
ICCAVR: --cpu=m64 -ms -o D:\prj\Debug\Obj\ -I C:\Program Files\IAR Systems\Ew23 Evaluation version\avr\SRC\CLIB\INC\ -e -y --initializers_in_flash -z9 --no_clustering --cross_call_passes=2 --debug -DENABLE_BIT_D

   IAR Atmel AVR C/EC++ Compiler V2.28A/WIN, Evaluation Version
   Copyright 1996-2002 IAR Systems. All rights reserved.

  14983 bytes of CODE memory (+ 12 bytes shared)
    599 bytes of DATA memory (+ 40 bytes shared)

Errors: none
Warnings: none
Linking...
XLINK: D:\prj\Debug\Obj\filename.r90 C:\Program Files\IAR Systems\Ew23 Evaluation version\avr\lib\cl3s-ec-sf.r90 -o D:\prj\Debug\Exe\filename.hex -Fintel-standard -
 17 213 bytes of CODE memory (8 range fill)
    801 bytes of DATA memory
Errors: none
Warnings: none
 
Total number of errors: 0
Total number of warnings: 0 

[링크 : http://www.avrfreaks.net/index.php?name=PNphpBB2&file=viewtopic&t=35464]
Posted by 구차니
대신 Mod 라는 명령어로 나머지 연산을 해주면 된다.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se0w9esz(v=vs.80).aspx]
Posted by 구차니
WPS는 약자가 좀 많은데,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PS]

공유기에서 나오는 WPS는 Wi-Fi Protected Setup의 약자이다.
버튼을 가지고 간단하게 WiFi를 설정할수 있는거라는데.. 장비가 없으니 -_-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i-Fi_Protected_Setup]
    [링크 : http://iptime.co.kr/~iptime/bbs/view.php?id=faq_setup&no=266]

아무튼, WPS는 WiFi를 이용한 위치정보 를 얻어오는 녀석이다.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Wi-Fi_Positioning_System]
    [링크 : http://mobizen.pe.kr/724]

Posted by 구차니
아침에 몸이 찌뿌둥~
허리도 조금더 아프고, 어깨도 아프고 배도 아프고...

그래도 할일+돈 땜시 출근 ㅠ.ㅠ
회사에 가까워 질수록 몸에서는 기운이 빠지고
설사가상으로 에어컨 바람에도 속이 뒤틀려
화장실 변기를 전세 내질 않나 -_-


웃긴건 지하철에서 까지도 골골대다
집에발을 들이는 순간 부활! 


일하기 싫어병 말기인듯 -_-

'개소리 왈왈 > 직딩의 비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100일전! + 오늘의 운세  (4) 2011.08.02
여기는 전문가라구요!  (2) 2011.07.26
지름신고 - 20110721  (6) 2011.07.21
먼가 하는거 없이 바빠  (2) 2011.07.19
잡소리  (0) 2011.07.16
Posted by 구차니
개소리 왈왈2011. 7. 23. 18:32
요즘은 더운계절이고 하니
노출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서 눈이 즐거워야 할텐데..
즐겁지 아니하고 웬지 민망하다고 해야 하나..


신화에서는 판도라의 상자를 여자에게 주고 열지 말라고 했는데 열어서 재앙이 뛰쳐나왔다고 하지만 
남자 입장에서는 여자란 존재 자체가 판도라의 상자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가끔은 뾰족하게 솟은 가슴이 창으로 보이기도 하고
하얗게 드러낸 쭉빠진 다리는 몽둥이로 보이기도 한다.

성의 무기화
라고 해야하려나?

아무튼 늑대 본성으로 인해서 쳐다보다가 눈이 마주치면
죄를 지은냥 고개를 돌리게 되는걸 보면..

판도라의 상자가 아니라
이거 머.... 메두사 같기도 하고... 

'개소리 왈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넌 모하는 스팸이야?  (2) 2011.08.08
무지와 무식의 차이  (0) 2011.08.05
테크노마트 흔들렸다고!?  (4) 2011.07.05
스케일링? 스켈링?  (2) 2011.07.02
이런건 좀 정상참작 안됨?  (4) 2011.06.15
Posted by 구차니
일반적인 PC에는 BIOS가 존재한다.
BIOS는 Basic Input Output System이고 기본적인 입출력을 관할하는데
예전 DOS 시절에는 텍스트 출력 / 비디오 출력 / 키보드 입력등 모든 것들을 관할했는데
요즘에는 커질대로 커지는 것도 문제지만, 대부분이 장치 Driver를 통해 직접 제어하다 보니 효용이 많이 줄은듯 하다.

아무튼 어셈블리 공부를 하다보면
INT 명령어를 통해 인터럽트를 걸어 바이오스에 특정 명령을 날리는데 아무래도 인터럽트라서 성능저하가 있는걸려나?

일단 각설하고,
EFI는 매킨토시에서 도입을 가장먼저 했고, 찾아보니 샌디브릿지 관련 칩셋에서 도입이 되는 중인것으로 보인다.
또한 AMD는 아직.. 소식이 없... OTL (불도저 부터 도입된다는데 소식이 없네..)
일단 EFI를 사용하다 보니 같은 Intel cpu라고 해도 WinXP를 설치하여 작동할수는 없고
WinXP SP3 이후 버전은 가능하다고 한다.


BIOS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16-bit, 32-bit, and the beginning of the 64-bit architecture eras, while EFI is used for some newer 32-bit and 64-bit architecture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BIOS]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Unified_Extensible_Firmware_Interface]


---
잡솔

1. Vista의 경우에는 BIOS에 시리얼 키를 넣는식으로 OEM 제품을 인증한다고 한다.
    그래서 메인보드가 바뀌면 인증이 안된다는 슬픈 이야기.
    어떻게 보면 PC 완본체가 아니라 메인보드 인증이라고 해야하나...

2. 비스타는 BIOS로 인증을 하는데, 다르게 말하면 바이오스를 덮어쓰거나 그 값을 흉내낼수 있다면
    그 OEM 버전으로 속일수가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크랙을 한다는데...

3. 이렇게 크랙을 하는 것 처럼 EFI도 BIOS 처럼 속이면 되지 않냐는 관점에서 나온게
    아마도 해킨토시. Intel CPU에서 작동하는 개발자 버전을 수정해서 EFI가 아닌 BIOS에서 작동하도록 했다고 한다.

4. 아무튼 속설에는 맥북에 Win7 깔면 거의 동일한 스펙의 노트북보다 빠르다는데
    BIOS는 아무래도 16bit real mode에서 돌기 때문에 (게다가 인터럽트를 걸어야 하니)
    이러한 성능적인 하락을 막을수 있는 EFI의 영향이 큰게 아닐까 생각된다.

5. 생각을 해보면 임베디드 장비는 BIOS가 없는 대신 부트로더가 존재하는데
    이 부트로더에서 기본적인 메모리 구획이나 여러가지 설정을 다 잡아주는 역활을 한다.
    즉, BIOS는 프로그래머블 브트로더에 CUI를 입힌 형태이며,
    다르게 말하면 CPU 기동시 0x00000000 번지(초기 프로그램이 위치하는 번지)에 연결된 프로그램이
    BIOS 형태가 아닌 SD 메모리 등에 내장된 부트로더여도 상관은 없다라는 이야기 일수도 있다.
    (물론 이렇게 되려면 여러가지 장비들을 읽을수 있어야 하니 내장된 플래시에 저장을 해 놓는 걸지도)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OSx86] 해킨토시 
[링크 : http://ask.nate.com/qna/view.html?n=6399684


---
아쉽게도 내용이 날아감
그래서 구글에서 캐쉬된 내용을 저장!



[링크 :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kese111.tistory.com/]
[링크 :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kese111.tistory.com/] 

'이론 관련 > 컴퓨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IW - Very Long Instruction Word  (0) 2013.10.08
펜타일(Pentile) 방식 디스플레이  (2) 2011.10.15
KiB / MiB  (0) 2011.07.22
GPS / A-GPS / S-GPS / D-GPS  (2) 2010.10.23
ABI (Application binary interface)  (0) 2010.05.18
Posted by 구차니